$\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수 치아를 상실한 한국 성인에서 가철성 의치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자료를 활용한 단면 연구
Relationship between usage of removable dentur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with loss of multiple teeth: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9 no.1, 2021년, pp.1 - 10  

심재승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  이영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홍성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노관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배아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김형섭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권긍록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백장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가철성 의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가철성 의치를 장착한 군과 가철성 의치의 장착이 필요하나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과 우울증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제 7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가철성 의치의 장착에 관한 자료로는 구강검진자료 중 보철물 상태, 보철물 필요 여부에 관한 변수를 이용하여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군, 가철성 의치가 필요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우울증에 관한 변수로는 PHQ-9의 값을 활용하여 정상(0-4), 경증 우울증(5-9), 중등도 우울증(10-19), 중증 우울증(20-27)로 구분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가철성 의치 장착 필요군에서, 가철성 의치를 장착하고 있는 군과 비교하여 중증 우울증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가철성 의치를 이용한 치료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중증 우울증 발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movable denture and depress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ach group by dividing them into a group that were using removable dentures and a group that needed removable dentures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수치를 상실한 환자에서 가철성 의치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본연구는 경희대학교치과병원 통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IRB no.
  •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한국 성인에서 가철성 의치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다수치가 상실된 한국 성인에서 가철성 의치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정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대한민국 전 국민을 목표모집단으로 층화집락추출변수, 분산추정층을 활용하여 추출된 표본자료로서, 순환 표본설계 방법(Rolling Survey Sampling)을 유지하였다.
  • Yang과 Baek 은 저작 문제의 경우, 단독으로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고 하였으며 Park 등은 성인 여성에서는 외모만족도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저작기능의 감소나 심미성의 저하 등의 치아 상실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기반으로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들이며, 이번 연구는 상실된 치아 부위를 가철성 의치 장착을 통해 치료되었을 때 우울증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치아의 상실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근거했을 때, 가철성 의치의 장착이 필요한 집단은 치아 상실로 인한 저작기능의 감소, 심미성의 저하, 발음의 어려움, 사회생활의 위축 등이 우울증의 발병과 정도의 심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분석되며,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철성 의치의 장착 여부는 위의 언급한 요인들에 영향을 미쳐 우울증의 발병과 정도와 연관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arr AB, Brown DT. McCracken's removable partial prosthodontics. 12th ed. St. Louis; Elsevier Mosby; 2011. 

  2. Shillingburg, HT, Sather DA, Wilson Jr, EL, Cain, JR, Mitchel DL, Blanco LJ.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4th ed. Chicago; Quintessence; 2012. 

  3. Gerritsen AE, Allen PF, Witter DJ, Bronkhorst EM, Creugers NH. Tooth los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0;8:126. 

  4. Riekman GA, el Badrawy HE. Effec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axillary incisors on speech. Pediatr Dent 1985;7:119-22. 

  5. Okoro CA, Strine TW, Eke PI, Dhingra SS, Balluz L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and use of oral health services and tooth los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2;40:134-44. 

  6. Okamoto N, Morikawa M, Tomioka K, Yanagi M, Amano N, Kurumatani N. Association between tooth loss and the development of mild memory impairment in the elderly: the Fujiwara-kyo study. J Alzheimers Dis 2015;44:777-86. 

  7. Kanasi E, Ayilavarapu S, Jones J. The aging population: demographics and the biology of aging. Periodontol 2000 2016;72:13-8. 

  8. Choi C, Bum CH. Physical leisure activity and work f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 Phys Educ Sport 2019;19:1230-5. 

  9. American Psychiati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0. GBD 2017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54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Lancet 2018;392:1789-858. 

  11. Ferrari AJ, Charlson FJ, Norman RE, Patten SB, Freedman G, Murray CJ, Vos T, Whiteford HA. Burden of depressive disorders by country, sex, age, and year: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PLoS Med 2013;10:e1001547. 

  12. Onyike CU, Crum RM, Lee HB, Lyketsos CG, Eaton WW. Is obesity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Epidemiol 2003;158:1139-47. 

  13. de Groot M, Anderson R, Freedland KE, Clouse RE, Lustman PJ.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diabetes complications: a meta-analysis. Psychosom Med 2001;63: 619-30. 

  14. Sarfo FS, Jenkins C, Singh A, Owolabi M, Ojagbemi A, Adusei N, Saulson R, Ovbiagele B. Post-stroke depression in Ghana: 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J Neurol Sci 2017;379:261-5. 

  15. Sararoudi RB, Motmaen M, Maracy MR, Pishghadam E, Kheirabadi GR. Efficacy of illness perception focused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J Res Med Sci 2016;21:125. 

  16. Richardson LP, Lozano P, Russo J, McCauley E, Bush T, Katon W. Asthma symptom burden: relationship to asthma severity and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Pediatrics 2006;118:1042-51. 

  17. Shin HS, Ahn YS, Lim DS. Association between chewing difficul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m Geriatr Soc 2016;64:e270-8. 

  18. Hwang SH, Park S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eriodontal diseases. Community Dent Health 2018;35:23-9. 

  19. Kwon SH, Kim HG. Influencing factors on anxiety and depression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in the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777-86. 

  20. Xie Q, Ding T, Yang G. Rehabilitation of oral function with removable dentures-still an option? J Oral Rehabil 2015;42:234-42. 

  21. Bessadet M, Nicolas E, Sochat M, Hennequin M, Veyrune JL. Impac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prosthesis on chewing efficiency. J Appl Oral Sci 2013;21:392-6. 

  22.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 Gen Intern Med 2001;16:606-13. 

  23. Moon E, Sakong JK, Jung SW, Sung HM, Lee JY, Koo BH, Kim YT, Shin IH, Cho H, Kim DH, Kim MK, Choi JS, Jung IM, Kim JB.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pression: focused on evaluation guidelin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24-31. 

  24.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18-23. 

  25. Schutt PE, Kung S, Clark MM, Koball AM, Grothe KB. Compar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depression measures in an outpatient bariatric clinic. Obes Surg 2016;26:1274-8. 

  26. Roohafza H, Afghari P, Keshteli AH, Vali A, Shirani M, Adibi P, Afshar H.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and psychological factors. Community Dent Health 2015;32:16-9. 

  27. Cho MJ, Ma JK.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19-25. 

  28. Yang CM, Baek JW.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chewing problems in Korean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J Dent Rehabil Appl Sci 2020;36:12-20. 

  29. Park YR, Son YJ.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35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