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 학생들의 시각적 대시보드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활동 경험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Using the Visual Dashboard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4 no.1, 2021년, pp.24 - 33  

진성희 (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  유미나 (경일대학교 평생교육컨설팅학부) ,  김태현 (티칭앤러닝) ,  김성은 (한밭대학교 전자제어공학과) ,  이현빈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최학남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line learning continues to be extended, many engineering colleges are engaged in online learning activitie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engineering students in a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is communication skill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re frequently used in educa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라인토론 활동에 대한 동료피드백, 교수자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함께 학습자들이 스스로 토론활동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자기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양적・질적 데이터를 분석해서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시각적 대시보드는 토론활동의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해 왔다(임규연 외, 2014; 조영환 외, 2015).
  • 토론의견의 질은 토론글을 얼마나 게시했는가보다는 다른 학습자들의 의견을 얼마나 많이 읽었는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시하였다. 상호작용 대시보드에는 팀원간 상호작용과 팀간 상호작용 현황을 제시해 주고 있고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보다 구체적인 상호작용 현황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는 공학을 전공하는 학습자들이 토론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과 시각적 대시보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공학도들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토론 활동에 참여하고,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 정보를 온라인 시스템의 시각적 대시보드를 통해 습득하는 과정에서의 학습자 경험에 대해 탐색하였다. 공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도출된 주제, 범주 및 코딩 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 온라인 토론활동은 공과대학에서 널리 활용되지는 않았으나 최근 전면 온라인 교육이 진행되면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연구에서는 공학도들의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토론활동에 대해 면밀하게 탐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온라인 토론 시스템을 활용하여 토론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경험과 토론 활동 과정 중에 제공받은 시각적 대시보드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양교과목을 수강하는 두 개 분반의 학생 72명 중 15명의 공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토론활동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을 때 시스템과 대시보드의 구성요소 중 어떤 것이 토론활동의 경험을 유의미하게 생각하게 하는지에 대해 탐색해 볼 필요가 있겠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온라인 토론 시스템을 활용하여 토론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경험과 토론활동 과정에서 제공받은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온라인 토론활동은 대체로 게시판 형태에서 진행하는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활동과 실시간 화상 플랫폼에서 진행하는 실시간 토론활동이 있는데 이 연구의 대상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활동으로 하였다.
  • 면대면 토론과는 다른 온라인 환경에서 시스템을 활용한 토론활동에 대한 인식과 토론 시스템에 제시된 시각적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질문하였다. 주요 질문으로 면대면 토론과는 다른 온라인 환경에서 토론활동 시스템 활용에 대한 경험(온라인 토론 시스템에서의 토론활동을 하면서 어떤 생각을 하였나요?), 토론 시스템에 나타난 시각적 대시보드에 대한 경험 (시각적 대시보드를 활용해 본 적이 있나요? 토론 시스템에 제시된 시각적 대시보드가 토론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토론활동 시스템을 활용한 자신의 토론 활동(토론활동시스템을 활용해서 의견을 제시할 때 어떤 점이 도움이 되었나요? 불편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등에 대한 의견을 물음으로써 온라인 토론활동과 시각적 대시보드 활용의 경험적 측면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진성희(2019)는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성찰 수준이 높을수록 토론활동에서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시각 적대시 보드를 통해 참여 동기가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명희 외(2010).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식된 튜터의 역할, 사회적 실재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 규명. 평생교육.HRD 연구, 6(4), 159-183. 

  2. 김은주.성명희(2017).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보건업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121-145. 

  3. 김희배(2015).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토론수업의 효과분석: 웹기반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645-665. 

  4. 남기찬.임효창.황국재(2002). 온라인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27(1), 75-94. 

  5. 남창우.이영태(2020).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Ingenium, 27(2), 31-33. 

  6. 신선경(2010). 공학인을 위한 발표와 토론 교육의 방향. 사고와표현, 3(1), 83-105. 

  7. 유미나.진성희(2018). 온라인 토론활동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대시보드 개발 및 적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3), 517-542. 

  8. 이응규.이종기(2006). e-Learning 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6(1), 1-21. 

  9. 임규연.박하나.김희준(2014).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사회연결망분석 기반 피드백이 상호작용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0(3), 443-466. 

  10. 임지영 외(2020). 사회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인식 탐색. 교육공학연구, 36(3), 443-477. 

  11. 조영환 외(2015). 온라인 토론 촉진을 위한 피드백의 역할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6(2), 289-313. 

  12. 진성희(2019).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5(2), 339-364. 

  13. 진성희.유미나(2019). 온라인 토론에서 찬반토론 현황 대시보드가 학습성과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9(7), 41-61. 

  14. 진성희.유미나(2020).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정보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6(3), 561-588. 

  15. 진성희.유미나.김태현(2015). 이러닝 학습참여활동 및 상호작용에 대한 대시보드 설계 연구. 교육공학연구, 31(2), 159-189. 

  16. Cilesiz, S.(2011).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experiences with technology: Current state, promise,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9(4), 487-510. 

  17. Gao, F., Wang, C. X. & Sun, Y.(2009). New Model of Productive Online Discussion and I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Exchange, 2(1), 65-78. 

  18. Govaerts, S. et al.(2012). The student activity meter for awareness and self-reflection. In Proceedings of CHI'12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869-884). ACM. 

  19. Hewitt, J.(2003). How habitual online practices affect the development of asynchronous discussion thread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28(1), 31-45. 

  20. Iandoli, L. et al.(2014). Socially augmented argumentation tools: Rationale, design and evaluation of a debate dashboard.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72(3), 298-319. 

  21. Larson, B. E. & Keiper, T. A.(2002). Classroom discussion and threaded electronic discussion: Learning in two arenas.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2(1), 45-62. 

  22. Murray, T. et al.(2013). A prototype facilitators dashboard: assessing and visualizing dialogue quality in online deliberations for education and work.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arning, e-Business,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and e-Government, Las Vegas, NV, USA. 

  23. Tan, J. P. L. et al.(2017). Learner dashboards a double-edged sword? Students' sense-making of a collaborative critical reading and learning analytics environment for fostering 21st century literacies. Journal of Learning Analytics, 4(1), 117-140. 

  24. Thomas, J.(2013). Exploring the use of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in healthcare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Computers & Education, 69, 199-215. 

  25. Weinberger, A. & Fischer, F.(2006). A framework to analyze argument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46(1), 7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