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미간 우주정책 체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U.S. space policy system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15 no.1, 2021년, pp.1 - 6  

황진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초록

미국은 우주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 인력, 자금을 확보하고 있는 국가이며, 우주의 영역을 단순한 과학기술 뿐 아니라, 산업, 국가안보와 깊이 연결시키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우주정책이 위성, 발사체 등 우주시스템의 개발 위주로 되어 있다. 양국간의 우주정책 체계도 상이하다. 이로 인해 미국과의 우주협력을 얘기하는데 상호이해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미국의 우주정책 체계를 소개하고 양국의 우주정책 체계를 비교함으로써, 미국과의 협력에 있어 효과적인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 contains the best technology, man power, and big investment in space. It considers space as not only a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area, but also as an industry and national security related area. Korea's space polic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space systems such as satellites and launch v...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계획은 5년 단위 계획이기는 하지만, 정책의 일관성 및 예측가능성을 위해 장기간의 비전과 목표를함께 제시한다. 2018년에 수립된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은 2040년까지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한 바있다.
  •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우주정책 체계를 소개하고, 미국과 한국의 우주정책 체계를 비교함으로써 미국의 우주 정책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Michael C. Mineiro (2012), Space Technology Export Control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Outer Space. Springer Press. pp.5-6. 

  2. Goldman, Nathan C. (1992), Space Policy: An introduction.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 Eligar Sadeh (2002), Space Politics and Policy, Kluwer Academic Publisher, pp.337-338 

  4.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ct (1958) 

  5. Ram S. Jakhu (2010), National Regulation of Space Activities, Springer Press, p.376 

  6. National Space Committee (2018), The 3rd National Space Plan for Space Develop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