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과대학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학습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Learning Behavior of Medical Students in Online Classe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3 no.1, 2021년, pp.46 - 55  

강예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김도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emergenc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dical schools have experienced a sudden, full-scale transition to online classes. As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and to assess their implications. This study explored perceptio...

Keyword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연구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의 연구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의과대학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 대해 갖는 인식을 살펴볼 것이다.
  • 먼저, 의과대학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 대해 갖는 인식을 살펴볼 것이다.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수업을 설계하고 수정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 더불어 학생들의 인식은 의과대학이라는 특수한 교육환경을 고려하여 논의 및 해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습자는 온라인 수업이 지니는 다양한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동시에 그들을 활용하기에, 대면수업에서 주로 보이는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를 통해서는 살펴보기 어렵고, 연구참여자의 시각과 경험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11].
  • 특히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여기서 ‘사례’란 경계를 가진 특정 현상으로서 연구를 통해 특정 현상 그 자체, 그리고 그 속에서의 경험의 의미를 깊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2].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상황 이후 진행된 온라인 수업을 사례로 간주하고,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 여기서 ‘사례’란 경계를 가진 특정 현상으로서 연구를 통해 특정 현상 그 자체, 그리고 그 속에서의 경험의 의미를 깊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2].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상황 이후 진행된 온라인 수업을 사례로 간주하고,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COVID-19 사태로 인해 전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해 어떤 인식을 형성하고 있는지,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면서 어떤 학습행동이 드러나는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행동’에 대한 몇 가지 논의가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lark RC, Mayer RE.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proven guidelines for consumers and designers of multimedia learning. 4th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16. 

  2. Parscal T, Riemer D. Assuring quality in large-scale online course development. Online J Distance Learn Adm. 2010;13(2). 

  3. Shachar M, Neumann Y.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distance education academic performances: a meta-analytic approach. Int Rev Res Open Distrib Learn. 2003;4(2):1-20. 

  4. Johnson MT. Impact of online learning modules on medical student microbiology examination scores. J Microbiol Biol Educ. 2008;9(1):25-9. 

  5. Lee A. Edutech teaching method for non-face-to-face medical education: focusing on flipped learning. Korean Med Educ Rev. 2020;22(3):217-9. 

  6. Davies RS, Dean DL, Ball N.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 Technol Res Dev. 2013;61(4):563-80. 

  7. O'Doherty D, Dromey M, Lougheed J, Hannigan A, Last J, McGrath D. Barriers and solutions to online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BMC Med Educ. 2018;18(1):130. 

  8. Han H, Nelson E, Wetter N. Medical students' online learning technology needs. Clin Teach. 2014;11(1):15-9. 

  9. Pei L, Wu H. Does online learning work better than offline learn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 Educ Online. 2019;24(1):1666538. 

  10. Gordon M, Patricio M, Horne L, Muston A, Alston SR, Pammi M, et al.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a rapid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63. Med Teach. 2020;42(11):1202-15. 

  11. Ragin CC. The comparative method: moving beyo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rategies, with a new introduction. Oakland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12. Stake R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13. Patton MQ. Two decades of developments in qualitative inquiry: a personal, experiential perspective. Qual Soc Work. 2002;1(3):261-83. 

  14. Tongco MD. Purposive sampling as a tool for informant selection. Ethnobot Res Appl. 2007;5:147-58. 

  15. Creswell JW, Baez JC. 30 Essential skill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020. 

  16. Morgan DL.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7. 

  17.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2006. 

  18. Flick U. Triangul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In: Flick U, von Kardorff E, Steinke I, editors. A companion to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4. p. 178-83. 

  19. Srinivasan DK.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and an anatomy teacher's personal experience using an e-learning platform for tutorials during the COVID-19 crisis. Anat Sci Educ. 2020;13(3):318-9. 

  20. Mukhtar K, Javed K, Arooj M, Sethi A. Advantage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online learning during COVID-19 pandemic era. Pak J Med Sci. 2020;36(COVID19-S4):S27-S31. 

  21. Heeter C. Being the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 Virtual Environ. 1992;1(2):262-71. 

  22. Joo YJ, Lim KY, Kim EK. Onlin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examining perceived level of presence, usefulness and ease of use as predictors in a structural model. Comput Educ. 2011;57(2): 1654-64. 

  23. Kessler R. The teaching presence. Holist Educ Rev. 1991;4(4):4-15. 

  24. Garrison DR, Anderson T, Archer W. Critical thinking, cognitive presence, and computer 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Am J Distance Educ. 2001;15(1):7-23. 

  25. Zimitat C.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Res Dev High Educ. 2006;29:386-92. 

  26. Derouin RE, Fritzsche BA, Salas E. E-learning in organizations. J Manag. 2005;31(6):920-40. 

  27. Corno L, Mandinach EB.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 Psychol. 1983;18(2):88-108. 

  28. Burns DD.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 Today. 2001;14(11):34-51. 

  29. Saddler CD, Sacks LA.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Psychol Rep. 1993;73(3 Pt 1):863-71. 

  30. Kidd TT, Song H. A case study of the adult learner's perception of instructional quality in web-based online courses. In: Inoue Y, editor. Online education for lifelong learning. Hershey (PA): IGI Global; 2007. p. 271-91. 

  31. Kaye C, Volkers E. Constructivism online: Vygotskian applications for 21st century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Inoue Y, editor. Online education for lifelong learning. Hershey (PA): IGI Global; 2007. p. 99-121. 

  32. Sandars J, Cleary TJ. Self-regulation theory: applications to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58. Med Teach. 2011;33(11):875-86. 

  33. Kebaetse MB, Kebaetse M, Mokone GG, Nkomazana O, Mogodi M, Wright J, et al.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for Year 1 medical stud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Educ. 2018;52(3):263-73. 

  34. Karnieli-Miller O, Vu TR, Frankel RM, Holtman MC, Clyman SG, Hui SL, et al.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Acad Med. 2011;86(3):369-7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