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국내 융복합 학술연구 트렌드 분석
A Study on Trend Analysis in Convergence Research Applying Word Cloud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2, 2021년, pp.33 - 38  

김준환 (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학부) ,  문형진 (성결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이항 (가천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융복합 트렌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며, 이런 기대와 가능성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대응책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 간 융복합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주요 연구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적용하고 시각화하여 융복합에 대한 학술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융복합연구'에 게재된 2012년-2020년간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기간은 전반부 4년(2012년-2015년)과 후반부 4년(2016년-2019년) 두 기간으로 나눠서 비교분석하여 연구동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최근 1년의 연구동향에 대한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2020년의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융복합 분야의 핵심 주제어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vergence trend is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ue to such expectations and possibilities, various countermeasures are being sought in diverse fields.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o identify the trend of convergence research over the past 10 years. Specifica...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5)

  1. J. Lind. (2005). Ubiquitous Convergence: market redefinitions generated by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Industry Life Cycle. In DRUID Academy Winter 2005 Conference. 27-29. 

  2. W. J. Lee (2020). A Study on Word Cloud Techniques for Analysis of Unstructured Text Data.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4), 715-720. 

  3. E. Y. Lee, K. H. Chu & D. H. Lee. (2019). A Study on Recent Trend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Applying Word Cloud.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7(1), 1-7. DOI : 10.36345/kacst.2019.37.1.001 

  4. J. Y. Lee, J. Y. Moon & H. J. Kim. (2007).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45-372. DOI : 10.4275/KSLIS.2007.41.1.345 

  5. E. G. Seo. (2010). Trends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7-31. DOI : 10.3743/KOSIM.2010.27.4.007 

  6. J. Cho.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DOI : 10.3743/KOSIM.2011.28.4.065 

  7. J. H. Park & M. Song,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DOI : 10.3743/KOSIM.2013.30.1.007 

  8. Y, J. Han. (2016). Research Trend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121-131. DOI : 10.14400/JDC.2016.14.12.121 

  9. Y. J. Son & S. K. Lee.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obile health intervention for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121-131. DOI : 10.14400/JDC.2019.17.4.211 

  10. Y. P. Zhu & H. W. Park. (2019). Evaluating blockchain research trend using bibliometricsbase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6), 219-227. DOI : 10.14400/JDC.2019.17.6.219 

  11. N. Y. Lee, J. H. Kim & W. S. Lee. (2019). Exploration of Emotional Labor Research Trends in Ko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3), 68-74. DOI : 10.22156/CS4SMB.2019.9.3.068 

  12. M. S. Lee & W. S. Lee. (2020). A study on difference on gentrification perspectives: Comparison with the study of tourism and non-tourism.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9(4), 229-243. DOI : 10.24992/KJHT.2020.06.29.04.229 

  13. M. G. Kim. (2020). Examining popular key words listed for Airbnb properties using word cloud analysi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9(4), 347-363. DOI : 10.24992/KJHT.2020.06.29.04.347 

  14. B. E. Seo & C. M. Lee. (2014). Keyword Analyses of Diaspora Research and Its Trends in Korea. Journal of Diaspora Studies, 8(1), 43-69. 

  15. S. Y. Kwon.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to Network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Author Keyword based on the Position of Keywo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121-142. DOI : 10.3743/KOSIM.2014.31.2.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