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1, 2021년, pp.41 - 63
유광재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ce' project, a topic chosen based on children's interests to discover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and mathematical abilities, and creativity of four-year-old children. Methods: For this research, 34 four-year-old children f...
권유선, 최혜진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63-84.
김경숙, 김정준 (2017). 겨울 숲 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8(4), 85-106. doi:10.15854/jes.2017.12.48.4.85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김준희, 김지현 (2019). 순환학습기반 수과학 통합 유아 목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과학적 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40(6), 15-29. doi:10.5723/kjcs.2019.40.6.15
김판희, 임상도 (2001). 프로젝트수행방법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프로젝트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6(1), 173-197.
신미숙, 박성혜, 조형숙 (2009).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들풀프로젝트 활동의 적용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2), 299-324.
유승희, 성용구 (2013). 프로젝트 접근-레지오에밀리아의 한국 적용. 경기도: 양서원.
윤정희, 나귀옥 (2013). 겨울철 실외영역에서의 과학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33(6), 423-450. doi:10.18023/kjece.2013.33.6.018
윤정희 (2016). 자연놀이를 통한 유아의 과학개념 형성과정 탐색(연구보고 2014S1A5B5A07042236). 서울: 한국연구재단. 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0206&local_id10081582에서 2020년 12월 1일 인출
이경민 (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3.
이기숙 (2000).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이순형, 이소은 (2014).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윤영, 유영의 (2018).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20(3), 271-301. doi:10.15409/riece.2018.20.3.12
조홍자 (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홍순옥, 이홍란 (2003). 장난감 프로젝트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8, 81-96.
홍혜경 (2004).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경기도: 양서원.
황해익, 최혜진 (2007).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 경기도: 양서원.
Katz. L. G. & Chard. S. C. (1993). The Project Approach. In J. L. Roopnarine & J. E. Johnson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nd ed. (pp. 209-222). New York: Merrill.
Lind, K. K. (1999). Science in early childhood: Developing and acquiring fundamental concepts and skills. In AAAS (Ed.), Dialogue on Early Childhood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pp. 73-83). Washington, DC: AAAS.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Martin, D. J. (2000).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2nd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Osborn, A. F.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New York, NY: Charles Scribner's Sons.
Sperry-Smith, S. (1997). Early childhood mathematic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Torrance, E. P. (1990).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Urban, K. K. (1990). Recent treads in creativity: Research and theory Western Europe. European Journal for High Ability, 1(1), 99-11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