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을 경험한 아버지의 부모역할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Parental Role of Fathers Who Experienced Parental Leav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1, 2021년, pp.125 - 150  

최혜영 (창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ental role that men experience during parental leave. From the moment when a man decides to take parental leave, to his experiences during parental leave, and to the father's role that lasts until after reinstatement, this course will be exam...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32)

  1. 고용노동부 (2020. 8.). 2020 상반기 남성육아휴직자 현황.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6107에서 2020년 9월 20일 인출 

  2. 김연진, 김수영 (2015).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에 대한 연구: 이분법적 젠더 역할에 대한 인식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4), 285-319. doi:10.16999/kasws.2015.46.4.285 

  3. 김영옥, 이택면, 강민정, 임희정, 나성은 (2014). 남성의 육아휴직 활용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11-1492000-000296-01). 세종: 고용노동부. 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72F798CB7A187D8ACE5FD2F16CE3A6D5.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490000-201500046&pageIndex285&leftMenuLevel160에서 2020년 9월 30일 인출 

  4. 김영철, 양진희 (2014). '슈퍼맨':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바람직한 아버지 상(像). 아시아교육연구, 15(4), 81-107. doi:10.15753/aje.2014.15.4.004 

  5. 김진숙 (2013). 애착이론의 내적 작동 모델과 상담적 적용점. 상담학연구, 14(4), 2485-2507. doi:10.15703/kjc.14.4.201308.2485 

  6. 김연진 (2020. 3.). 육아휴직제도관련 국외참고자료(스웨덴). 저출산고령화위원회. https://www.betterfuture.go.kr/front/policySpace/activityDetail.do:jsessionid4CC0351CA7ED0AA4B6F3A268D1BF5F44.node10?articleId35에서 2020년 9월 20일 인출 

  7. 김진욱, 권진 (2015).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 22(3), 265-302. doi:10.17000/kspr.22.3.201509.265 

  8. 나성은 (2014).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내재한 젠더 위계와 '신 도구적' 부성의 구성 : 맞벌이 중간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1), 1-39. doi:10.21478/family.26.1.201403.001 

  9. 박귀천 (2020). 육아휴직제도관련 외참고자료(독일). 저출산고령화위원회. https://www.betterfuture.go.kr/ front/policySpace/activityDetail.do?articleId101에서 2020년 9월 20일 인출 

  10. 박선권 (2018).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부모보험 도입방안.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11. 박진희 (2003). 아버지 양육태도의 세대간 전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오윤자, 최성희, 유가람 (2018). 빅데이터로 본 남성육아휴직 보도 경향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18-219. 

  13. 안수미 (2013).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지영 (2018). 육아휴직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사회보장법연구, 7(2), 139-166. 

  15. 이은주 (2020). 육아휴직제도관련 국외참고자료(프랑스). 저출산고령화위워원회. https://www.betterfuture.go.kr/front/policySpace/activityDetail.do?articleId40에서 2020년 9월 20일 인출 

  16. 이진민, 송승민, 도현심 (2011). 조부모 및 부모양육행동의 세대 간 전이. 가정과삶의질연구, 29(3), 85-97. 

  17. 조하영, 박성연 (2013). 아버지의 양육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3), 59-74. doi:10.5723/KJCS.2013.34.3.59 

  18. 최새은, 정은희, 최슬기 (2019). 육아휴직제를 사용한 남성의 가정 및 직장에서의 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9(4), 280-319. doi:10.15709/hswr.2019.39.4.280 

  19. 최숙희 (2016). 남성육아휴직제도 활성화에 대한 고찰-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18, 37-62. 

  20. 최혜영, 안효진 (2019). 양육기 어머니의 독박육아경험에 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생애학회지, 9(1), 39-56. doi:10.30528/jolss.2019.9.1.003 

  21. 허민숙 (2018). 남성 육아휴직제도의 국가 간 비교 및 시사점(122호). 지표로 보는 이슈. 국회입법조사처.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150&brdSeq23106에서 2020년 9월 20일 인출 

  22. 홍승아 (2018). 남성 육아휴직과 기업의 조직문화. 젠더와 문화, 11(1), 145-183. doi:10.20992/gc.2018.6.11.1.145 

  23. 황정해 (2006). 아버지됨(fathering) 경험이 남성의 성인기 발달에 미치는 의미탐색. 가정과삶의질 연구, 24(2), 43-60. 

  24. Ainsworth, M. D. S., & Bell, S. M. (1970). Attachment, exploration, and separation: Illustrated by the behavior of one-year-olds in a strange situation. Child Development, 41(1), 49-67. doi:10.2307/1127388 

  25. Bandura, A. (1969). Social-Learning theory of identificatory process. In D. A. Goslin (Ed.), Hand 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pp. 213-262). Chicago, IL: Rand McNally and Company. 

  26. Bretherton, I. (1992).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Developmental Psychology, 28(5), 759-775. doi:10.1037/0012-1649.28.5.759 

  27.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2008).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Elaborating a central construct in attachment theory. In J. Cassidy & P. R. Shaver (2nd ed),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102-127).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8. Chen, Z., & Kaplan, H. (200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onstructive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1), 17-31. 

  29. Keizer, R., van Lissa, C. J., Tiemeier, H., & Lucassen, N. (2020). The influence of fathers and mothers equally sharing child-care responsibilities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from early childhood to school age: An overlooked mechanism i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dis)advantag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36(1), 1-15. doi:10.1093/esr/jcz046 

  30. Lamb, M. E., & Lewis, C. (2013).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N. J. Cabrera., & C. S. Tamis-LeMonda(Eds.), Handbook of Father Involvement (pp. 119-134). New York: Routledge 

  31. Youhne, M. S. (2020). How to Increase Father Involvement i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9(2), 159-169. 

  32. Keizer, R. (2020). The role of fathers i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dis)advantages : Linking sociological stratification questions to developmental psychology research. H. E. Fitzgerald., K von Klitzing., N. Cabrera., J. S. de Mendonca., & T. Skjothaug (Eds.), Handbook of Fathers and Child Development (pp 47-64). Cham, Switzerlan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doi:10.1007/978-3-030-51027-5_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