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놀이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s Playfulness on Children's Ego-Resilienc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3, 2021년, pp.19 - 37  

김수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김현경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s playfulness on children's ego-resiliency.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36 young children aged 3 to 5,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 19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69)

  1. 강수경, 김민정, 정미라 (2015).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36(3), 155-174. doi:10.5723/KJCS.2015.36.3.155 

  2. 강승지, 손유진 (2018). 유아 '놀이' 및 '학습'의 관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8(5), 211-231. doi:10.18023/kjece.2018.38.5.009 

  3. 강인숙, 문혁준 (2012).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놀이신념과 유아 리더십이 유아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5), 233-252. 

  4. 강주연, 이진희 (2020).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453-461. doi:10.5762/KAIS.2020.21.7.453 

  5. 고영희 (2010).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고정리 (2020). 유아의 놀이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 및 놀이 참여도의 매개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483-503. doi:10.22251/jlcci.2020.20.16.483 

  7. 고진영 (2020).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 193-211. doi:10.22251/jlcci.2020.20.6.193 

  8. 교육과학기술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9. 구현주, 이진희 (2019).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교육혁신연구, 29(4), 221-241. doi:10.21024/pnuedi.29.4.201912.221 

  10. 구희정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3), 271-291. 

  11. 구희정, 강정원 (2009).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1), 279-297. 

  12.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doi:10.5723/KJCS.2012.33.2.69 

  13.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14. 김명혜, 김광웅 (2006). 한국과 캐나다 거주 어머니들의 부모신념, 양육태도 및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아동복지연구, 4(3), 1-23. 

  15. 김민경, 오선진 (2016. 9).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년 추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6. 김미연 (2012). 아버지의 유아놀이신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선희 (2005). 유아의 탄력성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5(4), 191-209. 

  18.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doi:10.16978/ecec.2012.7.2.002 

  19. 김정수, 황혜신 (2020. 11).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20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20. 김정주, 박형신 (2017).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3), 29-48. doi:10.21213/kjcec.2017.17.3.29 

  21. 김진영, 최미숙 (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의 차이. 아동교육, 21(4), 189-206. 

  22. 남윤희, 김금주 (2013).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1), 61-80. 

  23. 문미지 (2016).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과 어린이집에서의 생활만족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문성영, 심성경 (2020).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2(1), 163-189. doi:10.36431/JPE.12.1.9 

  25. 박상미 (2013). 어머니 양육행동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성혜, 김광웅 (2003).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4(4), 1-14. 

  27. 박어진 (2012).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기 자녀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진희 (2016).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행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8(4), 89-106. 

  29. 배정민, 김소향 (2016).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3-49. doi:10.21183/kjcm.2016.09.15.3.23 

  30. 양지선 (202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양휘성 (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 놀이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오주현 (2013). 만 5세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우수경, 정영숙 (2003).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총, 7(1), 99-119. 

  34.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 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광자 (2014). 유아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또래상호작용과 유아리더십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남윤, 김혜순 (2017).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2), 19-40. 

  37. 이완정 (2002). 발달과정에서 위험요소에 노출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보호요인 분석. 아동학회지, 23(1), 1-16. 

  38. 최은정, 김금주 (2015).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135-154. 

  39. 이정은 (2020). 협동활동 중심 유아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진화 (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2), 325-344. 

  41. 이진화, 임원신, 조성연 (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정서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관계. 교육과학연구, 40(3), 149-170. 

  42. 이하정, 탁정화 (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39-61. doi:10.14698/jkcce.2015.11.4.039 

  43. 이한별 (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현주, 문혁준 (2011).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83-203. 

  45. 이현지, 정혜욱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4), 77-95. doi:10.16978/ecec.2016.11.4.004 

  46. 이효임, 신나리 (2020).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시간의 매개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59-77. doi:10.14698/jkcce.2020.16.03.059 

  47. 전은희 (2008).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정선영 (2019). 부모의 놀이신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상담심리교육복지, 6(4), 149-159. doi:10.20496/cpew.2019.6.4.149 

  49. 조아영, 김혜순 (2016). 어머니의 자녀성숙행동기대와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1), 117-137. 

  50. 채민경, 장경은 (2019).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중심 지지신념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9(1), 59-73. doi:10.21213/kjcec.2019.19.1.59 

  51. 최민혜 (2018). 조기교육 경험의 효과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최소라 (2007). 협동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정서인식능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태선 (2020).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유아 놀이성 관계에서 아버지의 놀이 참여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333-342. doi:10.21184/jkeia.2020.10.14.7.333 

  54. 최현정 (2014).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탁정화 (2020). 유아 놀이성에 대한 성격강점의 예측요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31-49. doi:10.14698/jkcce.2020.16.04.031 

  56. 하상목, 이순복 (2017).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6(1), 1-23. doi:10.21183/kjcm.2017.03.16.1.1 

  57. 한주희 (2017). 아동의 놀이성, 스트레스 대처능력, 성취동기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홍수경 (2010). 유아의 놀이에 관한 부모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Block, J., & Block, J. H. (2006).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American Psychologist, 61(4), 315-327. doi:10.1037/0003-066X.61.4.315 

  60. Brooks, R. B. (2005).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In S. Goldstein & R. B. Brooks (Eds.), The power of parenting(pp. 297-314). Boston, MA: Springer. 

  61. Condly, S. J. (2006). Resilience in children: A review of literature with implications for education. Urban Education, 41(3), 211-236. doi:10.1177/0042085906287902 

  62. Fogle, L. M., & Mendez, J. L.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doi:10.1016/j.ecresq.2006.08.002 

  63. Grusec, J. E. (1993, Mar). Mental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Parent Belief Systems, and Parenting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LA, USA. 

  64.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Lewisville, NC: Kaplan Press. 

  65. Magnuson, C. D., & Barnett, L. A. (2013). The playful advantage: How playfulness enhances coping with stress. Leisure Sciences, 35(2), 129-144. doi:10.1080/01490400.2013.761905 

  66.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doi:10.1037/0003-066X.56.3.227 

  67. Sheridan, M. D., Howard, J., & Alderson, D. (2011). Play in early childhood: From birth to six years(3rd Eds.). Abingdon, Oxon: Routledge. 

  68.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doi:10.1037/0022-3514.86.2.320 

  69. Werner, E. E., & Smith, R. S. (2001). Journeys from childhood to midlife: Risk, resilience, and recover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