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운동촉진기술: 2 부-개념적 위계 및 핵심 기법
Oral-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art II-Conceptual Hierarchy and Key Point Technique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10 no.1, 2021년, pp.53 - 61  

민경철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 ,  서상민 (세명대학교 보건바이오대학 작업치료학과) ,  우희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론 : 구강운동촉진기술(OMFT)은 감각-운동, 운동 조절, 운동 학습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치료기법으로 주요 목표는 구강 운동 기능 증진이다. OMFT에서는 구강 운동 기능의 개념적 위계 및 발달 단계는 5단계이며, 1) 감각-운동 단계, 2) 운동요소 통합 단계, 3) 구조적 움직임 단계, 4) 기능적 구강 운동 단계, 5) 통합적 구강 운동 단계로 구분하였다. 본론 : OMFT는 총 3개의 기법, 10개 범주, 50개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1) 준비 기법: 감각 인식 및 적응, 치료 적응과 목의 움직임을 통한 준비 과정으로 2범주, 12하위 항목, 2) 핵심기법: 얼굴, 입술, 볼, 잇몸, 혀, 턱 등의 구강 구조물에 치료사의 직접적인 자극을 통한 구강 운동 기술 촉진과 씹기 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7개 범주, 30개 하위 항목, 3) 응용기법: 음식 섭취와 삼킬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적 접근법 1개 범주, 8개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다. 결론 : 본 논문은 OMFT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구강 관련 구조물의 기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준비 기법과 핵심 기법 및 섭식을 포함한 구강 기능의 종합적인 접근을 고려한 응용 기법에 대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 OMFT is a therapeutic technique based on sensorimotor, motor control and motor learning, and its major goal is to improve oral motor function. The oral motor conceptual hierarchical development is divided into 5 steps: 1) sensorimotor, 2) movement integration, 3) structural movement,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치료사의 전문적인 OMFT 제공을 위한 도수적 접근의 중요성과 치료적 효과, 방법을 상기시킴으로써, 구강 운동 치료 전문가의 개별적인 판단이 아닌 프로토콜로써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였다. OMFT는 치료사의 도수적 접근과 대상자의 참여를 통해 목표하는 구강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매우 민감하고 상호적인 구강 운동 치료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간단히 소개하였다. 따라서 개인 간 편차에 따른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시행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재활 치료 방법이 그렇듯 전문가의 슈퍼비전이 더해질 경우 더 효과적이다.
  • OMFT는 근거 중심의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로써 아동 및 성인, 신경계 및 근골격계의 구강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OMFT의 이론적 배경, 실제적 접근을 위한 세부 요소 및 해부학적 구조물의 분류에 따른 중재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rnardi, N. F., Darainy, M., & Ostry, D. J. (2015). Somatosensory contribution to the initial stages of human motor learning. Journal of Neuroscience, 35(42), 14316-14326. doi:10.1523/JNEUROSCI.1344-15.2015 

  2. Bordoloi, K., & Deka, R. S. (2018). Scientific reconciliation of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rood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ciences and Research, 8(9), 225-234. 

  3. Cattaneo, L., & Pavesi, G. (2014). The facial motor system.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38, 135-159. doi:10.1016/j.neubiorev.2013.11.002 

  4. Haggard, P., & de Boer, L. (2014). Oral somatosensory awareness.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47, 469-484. doi:10.1016/j.neubiorev.2014.09.015 

  5. Hindle, K., Whitcomb, T., Briggs, W., & Hong, J. (2012).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Its mechanisms and effects on range of motion and muscular function. Journal of Human Kinetics, 31, 105-113. doi:10.2478/v10078-012-0011-y 

  6. Hwang, N. K., Kim, H. H., Shim, J. M., & Park, J. S. (2019). Tongue stretching exercises improve tongue motility and oro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troke: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Oral Biology, 108, 1-5. doi:10.1016/j.archoralbio.2019.104521 

  7. Kitago, T., & Krakauer, J. W. (2013). Motor learning principles for neurorehabilitation.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110, 93-103. doi:10.1016/B978-0-444-52901-5.00008-3 

  8. Lazarus, C., Clark, H., Arvedson, J., Schooling, T., & Fymark, T. (2011, December).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Effects of oral sensory-motor treatment on swallowing in adults.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1-42. 

  9. Lee, S. H., Ryu, J. A., Yu, H. E., Lee, J. H., & Shin, S. J. (2016). Comparison of effects according to type of oral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in Gangneung cit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6(6), 424-431. doi:10.17135/jdhs.2016.16.6.424 

  10. Marcus, S., & Breton, S. (2013). Infant and child feeding and swallowing: Occupational therapy. Bethesda: AOTA Press 

  11. Morgan, A. T., Dodrill, P., & Ward, E. C. (2012). Interventions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1-13. doi:10.1002/14651858.CD009456.pub2 

  12. Morris, S. E., & Klein, M. D. (2000). Pre-feeding skills: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mealtime development. San Antonio, TX: Therapy Skill Builders. 

  13. Park, J. S., Jeong, C. H., & Oh, D. H. (2014). Effect of tongue pressure resistance training on tongue strength,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stage of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11-24. doi:10.14519/jksot.2014.22.3.02 

  14. Perry, B. J., Richburg, B. D., Pomahac, B., Bueno, E. M., & Green, J. R. (2017). The effects of lip-closure exercise on lip strength and function following full facial transplantation: A case repor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6(2), 682-686. doi:10.1044/2017_AJSLP-16-0101 

  15. Seo, S. M. & Min, K. C. (2019). Systematic review of method for application of oral sensorimotor intervention for feeding disord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8(3), 31-41, doi:10.22683/tsnr.2019.8.3.031 

  16. Sheppard, J. J. (2008). Using motor learning approaches for treating swallowing and feeding disorders: A review.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9(2), 227-236. doi:10.1044/0161-1461(2008/022) 

  17. Shin, M. K., Choi, H. J., Jeon H, J., & Kim, Y. J. (2019).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s of a swallowing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dysphagia,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8(1), 1-10. doi:10.15724/jslhd.2019.28.1.001 

  18. Steele, C. M., Bayley, M. A., Peladeau-Pigeon, M., & Stokely, S. L. (2013). Tongue pressure profile training for dysphagia post stroke (TPPT): Study protocol for an explorato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14(1), 126-131. doi:10.1186/1745-6215-14-126 

  19. Steele, C. M., & Miller, A. J. (2010). Sensory input pathways and mechanisms in swallowing: A review. Dysphagia, 25(4), 323-333. doi:10.1007/s00455-010-9301-5 

  20. van den Engel-Hoek, L., Harding, C., van Gerven, M., & Cockerill, H. (2017). Pediatric feeding and swallowing rehabilitation: An overview. Journal of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10(2), 95-105. doi:10.3233/PRM-170435 

  21. Zwicker, J. G., & Harris, S. R. (2009). A reflection on motor learning theory i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6(1), 29-37. doi:10.1177/0008417409076001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