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로당 프로그램 이용 실태 및 활용 전망
Status and Prospect of the Elderly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Using the Senior Citizens' Center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10 no.1, 2021년, pp.95 - 104  

박다솔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신가인 (백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우예신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혜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7월에서 9월까지 전국 5개 지역(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의 읍, 면, 리에 개설된 소규모의 경로당을 연구자가 방문하여 대인면접 설문조사 형태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경로당 이용자가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친구들이 있어서'이며 55.0%의 이용자가 일주일에 4-5회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용자들의 45.9%가 경로당 이용에 만족하고 있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20.2%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비이용자의 43.5%가 '마땅히 즐길만한 활동이 없어서'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46.5%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운동, 취미와 오락, 건강 프로그램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 중소도시 지역 거주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여부, 이용 목적,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개선점과 제한점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경로당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enior center programs to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enter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cities. Methods :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visited small and medium cities (Gyeonggi, Gyeongsang, Chungcheong, J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기법을 통해 중소도시 거주 고령자의 경로당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경로당에서 시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고령자 의견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추후 경로당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기초차료를 제공하고 임상적 활용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설문조사 기법으로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추후 활용전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의 54.
  • 이러한 점을 통해 고령자들의 욕구가 반영된 지속가능한 경로당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추후 활용전망을 분석하고자 한다.
  • Health and Welfare, 2018a). 커뮤니티 케어 정책은 돌봄 (Care)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지역사회(Community)에서 고립되지 않고 존엄성과 독립성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티 케어는 자신의 집에서 최대한 독립성을 유지하며 늙어가는 것(Aging in place)을 최종적인 목표로 생각하는 고령자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지역사회 서비스 차원에서도 개개인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계획 및 연계와 조정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곽윤진, 권오정. (2009). APT 단지 내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계획방안 제안.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29-234. 

  2. 류상열. (2005). 경로당 활성화 사업의 실태에 관한 사례 연구. 사회복지학연구, 14(12), 9-22. 

  3. Cho, C. Y. (2019).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enior citizen center programs in rural areas on happiness: Doub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program satisfaction.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16(1), 41-71. doi:10.38082/SWPR.2019.16.01.41 

  4. Choi, H. J., Jung, S. H., & Lee, D. S. (2014).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of dance program for vitalization of senior center.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3(5), 1125-1135. 

  5. Hong, S. H., & Kim, S. E. (2016). Constraints to participation in senior welfare centers: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regional typ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4), 125-156. doi:10.15709/hswr.2016.36.4.125 

  6. Hoogland, J., & Boomsma, A. (1998). Robustness studi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n overview and a meta-analysi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6(3), 329-367. doi:10.1177/0049124198026003003 

  7. Jeon, D. J., Lee, S. H., & Kim, Y. H. (2014). A study on the use status of senior centers for those functional vitalization-Focusing on the senior centers in Gyeongsangbuk-do ruralarea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4), 19-29. doi:10.6107/JKHA.2014.25.4.019 

  8. Jeong, G. H., Oh, Y. H., Kang, E. N., Kim, J. H., Son, W. D., Oh, M. Y., ... Park, B. M. (2014). Senior survey: Implications and polic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9. Kang, H. S. (2011). The study of senior centers leisure activity program improvement method: Focused on Seong-Nam city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10.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11. Kim, K. R., Lee, Y. K., Hwang, N. H., Suh, J. Y., & Bae, H. W. (2018). Study on measures to enhance convenience in daily life of elderly households through improvement of senior industry -Center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 Ko, G. S., & Lee, Y. C. (2017).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center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9), 473-481. doi:10.14257/ajmahs.2017.09.19 

  13. Kwak, J. H., & Choi, W. K. (2016). Relationship of the usage of senior centers,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degree of program vit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rural elderly people.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3(1), 29-44. 

  14. Lee, T. H., Kim, J. E., Song, G. R., Lim, S. B., & Nam, E. W. (201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Gyungrodang in rural area for community car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5(4), 7-15. doi:10.15682/jkiha.2019.25.4.7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a). Implementation of social services (community care) based on the community.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177&page1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b). 2018 Elderly welfare facilities.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17. Sim, M. K., Park, J. M. (2015).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between elders attending senior citizen clubs and elders not attending senior citizen club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Nursing Society, 17(3), 196-206. doi:10.17079/jkgn.2015.17.3.196. 

  18. Statistics Korea. (2018). Population census. Retrieved from http://kosis.kr/index/index.do 

  19. Um, K. W., & Park, I. A. (2005). A study on managing stateand improving way of senior centers in Gunsan c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0(30), 29-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