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종사자의 거주이전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Migration of the Public Institutes workers on Resettlement to Local c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221 - 231  

노용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제협력부) ,  이영환 (원광보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인구이동의 이론에 따라 혁신도시 이전기관 종사자 구성세대의 이동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개인 및 가구변수와 거리와 인구의 중력모델, 네트워크변수, 지방재정·지역경제·교육·문화·주택 등 전입지와 전출지의 상대적 유용성판단의 지역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의 이산성과 데이터의 구조를 감안하여 다층로짓모형 구축하였고 최종모형은 확률절편모델을 선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가구변수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30대 미만보다는 30-40대가, 대졸이하보다는 박사학위취득자가, 취업한 배우자보다는 미취업배우자의 이전종사자가 주민등록을 더하였다. 지역변수에서는 중력모델과 관련하여 기관까지 거리가 멀수록 주민등록을 더 한 반면, 이전 시기(t-1)의 일반 유입이 클수록 주민등록 이전을 덜 하였다. 지역간 상대적 유용성과 관련하여 전입지의 지역경제, 교육환경, 주거환경이 클수록 이전을 더하였고 지방재정의 경우는 반대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dentify factors of migration of employees' household who work for relocated public institutions. As a factors of migration, we consider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gravity model of distance and population and so on. Considering discrete dependant variable and structur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구이동의 이론에 따라 혁신도시 이전기관종사자 구성세대의 주민등록이전의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모형에서는 개인․가구변수와 시군구를 지역단위로 하여 전출지․전입지 지역변수로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이전 종사자의 혁신도시로 의이동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세 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 이에 참여정부(2003-2008)는 ‘21 세기 혁신주도형 균형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단핵집중구조를 다핵거점형구조로 재편하고 행복 도시․혁신도시․기업도시 등을 개발하여 각 지역별로 특성화된 발전전략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특히 혁신도시는 혁신주체의 지방분산을 위해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시․도별 지역전략산업과 관련된 공공기관을 이전시켜 혁신환경을 조성을 목표로 하였다.
  • 둘째, 직장을 찾아 가족이 이동하는 일반 인구이동과 국가의 정책으로 직장이 이전되어 가족이 이동하는 이동과의 차이를 주민등록이전이라는 결과의 관점에서 서로 비교하였다. 셋째, 향후 혁신도시 추진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정책 발굴 등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공공기관종사자의 인구이동은 직장이동이 전제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인구이동과는 구별되기 때문이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이동에 관한 이론을 배경으로 이전공공기관 종사자세대의 혁신도시로의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추출하고 이들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특히, 1수준에서 개인․가구를 동일수준으로 간주하였다. 설문응답자의 데이터가 가구 데이터에 포섭되지(nested)않는 점, 이동은 가구단위에서 최종선택한다는 선택적 과정설을 고려하였다. 개인․가구 변수는 성(남녀), 교육, 직업 등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나이, 학력, 결혼여부, 배우자 취업여부, 월평균 소득액 (세전)을 변수로 하였다.
  • 전출지의 지역 환경적 요소와 비교하여 전입지가 더 나은 지역으로 판단하여 이동한다는 것을 가정하였다. 지역환경요소는 지방재정, 지역경제, 교육환경, 문화환경, 주거환경을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Sejong: MOLIT 

  2. Statistic Agency.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ea Jeon: Statistic Agency. 

  3. P. Friedrich. (1988). Regional Effects of the Establishment of Public Offices. in Urban and Regional Policy in Korea and International Experiences edited by Harry W. Richardson and Myong-Chan Hwang,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4. Regional Develovelemt Committee. (2015). The effect of relocation of Public Agency. Seoul: RDC. 

  5. S. C. Kwon. (2009). Migration Regions in Korea: Analyses for Migration Fields and the Spatial Population Redistribution Role Regions. The Society of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12(2), 49-63. 

  6. S. H. Hong & S. Y. Yu. (2012). Determinate of Interregional Migration by Age Cohort among Korean Cities, Counties or Wards. Seoul City Research, 13(1), 1-19. 

  7. J. Hagen-Zanker. (2008). Why do people migrate? A review of the theoretical literature. Maastricht: Maastricht University 

  8. H. Y. Lee. (2005). Demography : Understanding of Population with geography. Seoul: BubMunSa 

  9. E. G. Ravenstein. (1985). The Laws of Migration, Journal of the Statistical Society of London, 48(2), 167-235. 

  10. R. Wright & M. Ellis. (2016). Perspectives on Migration Theory: Geography.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Migra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11-30). Netherlands: Springer. 

  11. W. R. Toble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 234-240. 

  12. I. S. Lowry. (1966). Migration and metropolitan growth: Two analytical models. San Francisco: Chandler Pub. Co. 

  13. R. King. (2012). Geography and migration studies: Retrospect and prospect. Population, space and place, 18(2), 134-153. 

  14. R. L. Florida.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15. D. S. Massey. (1990). Social Structure, Household Strategies, and the Cumulative Causation of Migration. Population Index, 56, 3-26. 

  16. E. S. Lee. (1966). A theory of migration. Demography, 3(1), 47-57. 

  17. L. Sjaastad. (1962). The Costs and Returns of Human Migr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0(5), 80-93. 

  18. S. F. Harbison. (1981). Family Structure and Family Strategy in Migration Decision Making. Migration Decision Making. G. d. Jong and R. Gardner. New York: Pergamon Press. 

  19. D. S. Massey, J. Arango, G. Hugo, A. Kouaouci, A. Pellegrino & J. E. Taylor. (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 A review and 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431-466. 

  20. W. A. V. Clark & J. L. Onaka. (1983). "Life Cycle and Housing Adjustment as Explan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Urban Studies, 20(1), 47-57. 

  21. B. G. Min & M. R. Byun. (2017). Residential Mobility of the Population of Seoul, Seoul City Research, 18(4), 85-102. 

  22. C. Y. Lee & J. C. Moon. (2016).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Population Migration in Gwangju and Jeonnam by Age and Movement Area. Research of Industry and Economic 29(5), 239-2266. 

  23. S. H. Lee. (2010). Determinants and Wage Effec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6(1), 45-70 

  24. H. Y Lee & S. C. Rho. (2010), An Analysis of the Migration Flow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6, 123-142. 

  25. J. H. Sim. (2012). Analysis of Occupational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5, 37-51. 

  26. F. W. Porell. (1982). Intermetropolitan migrat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2(2), 137-158. 

  27. G. J. Borjas. (2008). Labor Economics. Fourth Edition. McGraw-Hill International/Irwin. 

  28. S. W. Lee. (2001). The Impa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Population Migration : Onward - and Return - Migration.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3(3), 19-43. 

  29. S. K. Ha. (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Determinan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9(3), 309-332. 

  30. J. H. Choi. (2008). Selectivity and Reasons for Move of Inter_Provincial Migrant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pital Region. The journal of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31(3), 159-178. 

  31. S. C. Kwon. (2003). Migration and Human Capital Drain: comparing Migrants' Attributes to and from Jeju,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5-73. 

  32. H. Y. Lee. (2008). Development of the Extended Migration Model and Its Empirical Analysis. Anyang: KRIHS. 

  33. R. G. Krieg. (1993). Black-white regional migration and the impact of education: a multinomial logit analysi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27(3), 211-222. 

  34. Y. S. Choi, M. Y. Kim & U. Lim. (2015). The Effects of Local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on Migration of Prime-Age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5), 25-42 

  35. P. N. Ritchey. (1976). Explanations of migration. Annual Review of Sociology, 2(1), 363-404. 

  36. H. Y. Lee & S. C. Rho. (2012).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BubMunSa. 

  37. J. Hox. (2010). Multilevel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cations(2nd ed.), New York: Routledge 

  38. I. S. Min & P. S. Choi. (2015). Advanced Panel Data Analysis. Seoul :JI Pil Media 

  39. M. N. Islam. (1989). Tiebout hypothesis and migration-impact of local fiscal policies. Public Finance Finances publiques, 44(3), 406-18. 

  40. Y. S. Kwon. (2005). A Study on the Innovation Cluster Strategy for Regional Specialization. AngYang: KRIH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