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금속광산 주변 오염 농경지에서 비소의 안정화 효율 평가
Evaluation of Stabilization of Arsenic in Contaminated Soil Taken from Farmland Near Abandoned Metal Min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6 no.1, 2021년, pp.8 - 16  

한수호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정명채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김정욱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윤경욱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민선기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박소연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연구과) ,  심기태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stabilization of As contaminated paddy and cultivated soils by pot experiments for rice and lettuce. Various ratios of limestone (L) and steel slag (S) were mixed with the soils in each pot. The soils were taken from before and after pot experiments, and analyzed for As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내 POT실험을 통해 폐금속광산 주변 As오염 토양을 토지 용도별(전, 답) 안정화제 혼합 비율에 따른 As 존재형태 변화와 실험 전·후 농도 변화 및 재배 작물에 대한 오염 특성을 평가하였다
  • 또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안정화제를 활용한 토양개량·복원공법 적용 시 토지 용도별 적절한 안정화 효율평가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erakhshan-Nejad, Z., Kim, J.W., and Jung, M.C., 2017, Reclam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soils around mining site using solidification/stabilization combined with revegetation, Geosci. J, 21(3), 385-396. 

  2. Jung, M.C., 1994, Sequential extrac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and a case study, Econ. Eviron. Geol, 27(5), 469-477. 

  3. Jung, M.C., 1996, Cadmium, Cu, Pb and Zn contamination of stream sediments and waters in a stream around the Dalsung Cu-W mine, Korea, Econ. Environ. Geol, 29(3), 305-313. 

  4. Jung, M.C. and Chon, H.T., 1998, Seasonal vari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paddy fields around the Sambo Pb-Zn mine, Korea,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35(1), 19-29. 

  5. Jeon, J.W., Bae, B.H., and Kim, Y.H., 2010, Application test of various stabilizers for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from smelter area, J.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1(11), 63-75. 

  6. Jun, K.S. and Oh, S.E., 2002, Chemical fixation of heavy metal in contaminated soil from abandoned mine land, J. Korean Soicety of Civil Engineers, 22(1), 67-80. 

  7.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MIRECO), 2018, 2017 Statistical yearbook, Wonju, Korea, 5-6. 

  8. Koh, I.H., Lee, S.H., Lee, W.S., and Chang, Y.Y., 2013, Assessment on the transi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 from soil to plant according to stabilization process using limestone and steelmaking slag, J. Soil & Groundwater Env, 18(7), 63-72. 

  9. Koh, I.H., Kim, E.Y., Kwon, Y.S., Ji, W.H., Joo, W.H., Kim, J.H., Shin, B.S., and Chang, Y.Y., 2015, Partitioning of heavy metals between rice plant and limestone-stabilized paddy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J. Soil & Groundwater Env, 20(4), 90-103. 

  10. Korea Resource Corporation (KORES), www.kores.or.kr [accessed 2020. 02. 26]. 

  1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www.kigam.re.kr [accessed 2020. 02. 26]. 

  1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1997, '97 Survey on soil contamination from abandoned metal mines, GOVP1200716876, Sejong, Korea.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6, Survey on soil contamination from abandoned metal mines, Comprehensive report, Sejong, Korea.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9, 2019 Whit paper of environment, 11-1480000-000586-01, Sejong, Korea.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8, Korea standard methods for soil analysis. 

  16.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Methods of heavy metal for food process, Chungcheongbuk-do. 

  17. Song, H.C., Song, D.S., Cho, D.W., Park, S.W., Choi, S.H., Jeon, B.H., Lee, J.H., and Park, J.H., 2009,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using Ca-Citrate-Phosphate solution: Effect of soil microorganisms, J. of KSEE, 31(4), 241-248. 

  18. Ure, A.M., 1995, Methods of analysis for heavy metals in soils, Alloway, B,J, Heavy Metals in Soils, Blackie and Son, Glasgow, 58-102. 

  19. Wenzel, W.W., Kirchbaumer, N., Prohaska, T., Stingeder, G., Lombi, E., and Adriano, D.C.,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 Chimica Acta, 436(2), 309-3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