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장기적인 임상 경과에 대한 단일 기관 경험
Long-term Clinical Consequences in Patients with Urea Cycle Disorders in Korea: A Single-center Experience 원문보기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v.21 no.1, 2021년, pp.15 - 21  

이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민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유석동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윤주영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유미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전종근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요소회로대사 질환은 선천성 대사이상질환으로, 요소 회로 각 단계의 특정 효소의 결핍에 따라 다양한 질환과 임상적 증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소회로대사 질환의 다양한 종류에 따른 장기적 임상 경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등록된 22명의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임상적 양상과 생화학적, 유전학적 검사 결과들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진단된 요소회로대사 질환은, OTCD 10명(45.5%), ASSD 6명(27.3%), CPS1D 3명, HHHS 2명 ARG1D 1명으로 확인되었다. 진단 시 평균연령은 32.7±66.2개월(범위 0.1-228.0개월) 이었다.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 8명(36.4%)에서 성장 장애가 동반되었다. 또한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11명(50%)에서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관찰되었다. 분자유전학적 분석 결과 새로운 돌연변이 14개를 포함해 37개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 유형(과오돌연변이 14개, 넌센스 6개, 결실변이 6개, 스플라이싱변이 6개, 결실삽입변이 3개, 삽입변이 1개, 중복변이 1개)이 확인됐다. 진행성 성장 장애와 나쁜 신경학적 결과는 혈장 이소루이신과 루이신 농도와 각각 관련이 있었다. 결론: 단백의 제한과 같은 조치나 과다한 질소를 제거하는 약제의 복용에도 불구하고, 요소회로대사 질환의 예후는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가지사슬아미노산의 보충이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성장부전과, 대사성 위기 또는 신경학적 예후에 효과를 보일지에 관해서는 전향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Urea cycle disorder (UCD) is an inherited inborn error of metabolism, acting on each step of urea cycle that cause various phenotyp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linical consequences in different groups of UCD to characterize it. Methods: Twenty-two patients ...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12)

  1. Summar ML, Mew NA. Inborn errors of metabolism with hyperammonemia: urea cycle defects and related disorders. Pediatric Clinics 2018;65:231-46. 

  2. Rossignol F, Mew NA, Meltzer MR, Gropman AL. Urea cycle disorders. Rosenberg's Molecular and Genetic Basis of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ease: Elsevier, 2020:827-48. 

  3. Haberle J, Boddaert N, Burlina A, Chakrapani A, Dixon M, Huemer M, et al. Suggested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rea cycle disorders. Orphanet J Rare Dis 2012;7:32. 

  4. Haberle J, Burlina A, Chakrapani A, Dixon M, Karall D, Lindner M, et al. Suggested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rea cycle disorders: first revision. J Inherit Metab Dis 2019;42:1192-230. 

  5. Adam S, Almeida MF, Assoun M, Baruteau J, Bernabei SM, Bigot S, et al. Dietary management of urea cycle disorders: European practice. Mol Genet Metab 2013;110:439-45. 

  6. Posset R, Garcia-Cazorla A, Valayannopoulos V, Teles EL, Dionisi-Vici C, Brassier A, et al. Age at disease onset and peak ammonium level rather than interventional variables predict the neurological outcome in urea cycle disorders. J Inherit Metab Dis 2016;39:661-72. 

  7. Adam S, Champion H, Daly A, Dawson S, Dixon M, Dunlop C, et al. Dietary management of urea cycle disorders: UK practice. J Hum Nutr Diet 2012;25:398-404. 

  8. Molema F, Gleich F, Burgard P, van der Ploeg AT, Summar ML, Chapman KA, et al. Decreased plasma l-arginine levels in organic acidurias (MMA and PA) and decreased plasma branched-chain amino acid levels in urea cycle disorders as a potential cause of growth retardation: Options for treatment. Mol Genet Metab 2019;126:397-405. 

  9. Posset R, Garbade SF, Gleich F, Gropman AL, de Lonlay P, Hoffmann GF, et al. Long-term effects of medical management on growth and weight in individuals with urea cycle disorders. Scientific Reports 2020;10:1-13. 

  10. Harris RA, Joshi M, Jeoung NH, Obayashi M. Overview of the molecular and biochemical basi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catabolism. J Nutr 2005;135:1527S-30S. 

  11. Cole JT, Mitala CM, Kundu S, Verma A, Elkind JA, Nissim I, et al. Dietary branched chain amino acids ameliorate injury-induced cognitive impairment. Proc Natl Acad Sci U S A 2010;107:366-71. 

  12. Shih YT, Huang TN, Hu HT, Yen TL, Hsueh YP. Vcp Overexpression and Leucine Supplementation Increase Protein Synthesis and Improve Fear Memory and Social Interaction of Nf1 Mutant Mice. Cell Rep 2020;31:1078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