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소득 임산물의 주산지 집적도에 관한 연구
Spatial Aggregation on the Main Producing Area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1, 2021년, pp.106 - 115  

변승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  구자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 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ing area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 analyzed the spatial aggregations of the main producing area and their changes using the Moran's I index. We found that 45%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re significanty spat...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시군구의 생산량을 기준으로 지도화하고, 임산물별 재배지가 공간적으로 집적화되어 있는지, 즉 인접 시ㆍ 군ㆍ구 간 종속성이 있는지 판단해 보았다. 공간 종속성의 정도는 모란지수를 활용하였으며, 모란지수에 대한 통계량 z값은 식 1과 같이 산정하며, z값을 기준으로 공간적으로집적되었는지(z>1.
  • 본 논문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산림청 수탁과제로 수행한 구자춘·석현덕·변승연(2019)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임산물 스마트 유통체계 구축 관련 타당성 분석’ 의 일부 내용을 정리하고 발전시킨 결과이다.
  • 본 연구는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대상 품목의 생산량, 분포, 공간적 집적도 분석 결과를 함께 검토하여 주산지와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과적 연결 방향을 제시하는 등 산림 산업 발전 방안의 근거로 활용할 만한 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2012) 등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공간집적 패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때 모란 지수를 활용하여 군집도를 파악한 바 있다. 연구에서도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집적도를 확인하기 위해 Korea Forest Service(2019)의 임산물생산조사를 활용하여 광역이 아닌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기준으로 임산물 종류별 재배지의 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때, 전체 시군구 중에서 창원, 성남 등 시군구가 있음에도 자료수집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를 통합하여 217개의 새로운 공간 단위를 설정하였다.
  • 그럼에도 단기소득 임산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성분 및 효능 연구, 임산물 산업 육성 방안 연구, 유통센터설립 등 인프라 조성 관련 연구, 소비자 성향 분석 연구, 수출 전략 관련 연구 정도이며, 주산지의 공간적 분포와 그 변화를 다룬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상의 배경에서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G.O., Song, C.H. and Jang, D.H. 2014. Forma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main producing areas of vegetables: Focused on onions. Korea Agricultural History Association 13(2): 45-65. 

  2. Choi, D.C. and Song, H.A. 2016. Trend analysis on the spatial changes in soybeans main producing areas. The Korea Regional Economic Association 14(3): 61-79. 

  3. Kim, B.S., Cho, K.C., Chio, D.S. and Yun, B.K. 2015.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s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climatic change on leading variety in major product area of sweet persimmon.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pp. 121. 

  4. Koo, J.C., Seok, H.D. and Byun, S.Y. 2019. Feasibility analysis on the establishment of smart distribution system for forest products based on big data. Korea Forest Service. 

  5. Korea Forest Service. 2010. Forest Production Survey. 

  6. Korea Forest Service. 2019. Forest Production Survey. 

  7. Kwon, Y.H. and Kim, E.J. 2012.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of local tourism industry in Korea.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6(1): 25-40. 

  8. Lee, H.Y. and Rho, S.C. 2012. Theory for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Seoul: Bubmunsa. 

  9. Park, H.T., Kim, Y.J. and Han, S.H. 2002.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on fruit-vegetables producing distri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0. Park, Y.H. and Im, H.C. 2016. Spatial patterns of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the poor's residence in Korea: Focused on the use of investigative spatial data analysis.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22(3): 207-235. 

  11. Seo, S.B. 2014. A Study o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Land Price Variation and Trading Volum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9(8): 21-34. 

  12. Sohn, J.R. 2013.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patial Agglomeration Pattern among the Korean Cities.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48(1): 56-71. 

  13. Statistics Korea. 2018. Migration status of major crop producing areas due to climate chan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