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Psychometric property of an instrument 1: content validit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7 no.1, 2021년, pp.10 - 13  

이은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그 과정은 예비측정 도구 개발 단계와 개발된 것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화와 예비질문지 개발이 이루어진다. 그 후, 전문가와 측정도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관련성, 포괄성, 및 이해성을 판단하게 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또한 Lee 등[19]이 실시한 13개 당뇨병 자가관리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보면, 내용타당도의 관련성에 대한 질적 근거는 주로 보통이었지만, 포괄성 및 이해성은 대부분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나타났다. 즉, 측정도구 개발 시 내용타당도 관련성에 대한 검증에 비해 포괄성 및 이해성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미국 식품의약국 가이드라인[2]에 의하면, 내용 타당도에는 전문가뿐 아니라 측정도구 사용대상자도 포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후속연구

  • 자가보고형 도구 또는 PROM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심리계량적 속성(psychometric properties)이 만족되었는지 이다. 앞으로 본 학술지에서 심리 계량적 측정속성에 대한 내용을 시리즈로 연재할 예정인데, 척도(scale), 검사(test), 도구(tool) 및 설문지(questionnaire)로 이름 붙여진 자가보고형 도구 또는 PROM 모두를 측정도구(instrument)라고 할 것이며, 그 첫 번째 측정속성으로 내용타당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1 Stevens SS Handbook of experimental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51 

  2. 2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ance for industry on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use in medical product development to support labeling claims Fed Reg 2009 74 235 65132 65133 

  3. 3 Mokkink LB Terwee CB Patrick DL Alonso J Stratford PW Knol DL The COSMIN study reached international consensus on taxonomy, terminology, and definitions of measurement properties for health-related patient-reported outcomes J Clin Epidemiol 2010 63 7 737 745 10.1016/j.jclinepi.2010.02.006 20494804 

  4. 4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1986 35 6 382 385 10.1097/00006199-198611000-00017 3640358 

  5. 5 Polit DF Yang FM Measurement and the measurement of change Philadelphia Wolters Kluwer 2016 

  6. 6 Terwee CB Prinsen CA Chiarotto A Westerman MJ Patrick DL Alonso J COSMIN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content validity of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a Delphi study Qual Life Res 2018 27 5 1159 1170 10.1007/s11136-018-1829-0 29550964 

  7. 7 Lee HJ Song R Lee EH Ann SH Research methods and critical appraisal Seoul, KR Koonja Publishing 2017 

  8. 8 Lee EH Tahk SJ Shin JH Lee YW Song 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s J Korean Acad Nurs 2007 37 3 313 323 10.4040/jkan.2007.37.3.313 

  9. 9 Yun YH Park YS Lee ES Bang SM Heo DS Park SY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 Life Res 2004 13 4 863 868 10.1023/B:QURE.0000021692.81214.70 15129896 

  10. 10 Lee EH Chun M Wang HJ Lim HY Choi JH Multidimensional constructs of the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QLQ-c30) in Korean cancer patients with heterogeneous diagnoses Cancer Res Treat 2005 37 3 148 156 10.4143/crt.2005.37.3.148 19956496 

  11. 11 Jung YM Park J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J Korean Acad Nurs 2017 47 3 319 331 10.4040/jkan.2017.47.3.319 28706167 

  12. 12 Waltz CF, Strickland OL, Lenz ER. Measurement in nursing research. 2nd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1991 

  13. 13 Lawshe C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l 1975 28 4 563 575 10.1111/j.1744-6570.1975.tb01393.x 

  14. 14 Polit DF Beck CT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 Nurs Health 2006 29 5 489 497 10.1002/nur.20147 16977646 

  15. 15 Wynd CA Schmidt B Schaefer MA Two quantitative approaches for estimating content validity West J Nurs Res 2003 25 5 508 518 10.1177/0193945903252998 12955968 

  16. 16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 Nurs Health 2007 30 4 459 467 10.1002/nur.20199 17654487 

  17. 17 Beckstead JW Content validity is naught Int J Nurs Stud 2009 46 9 1274 1283 10.1016/j.ijnurstu.2009.04.014 19486976 

  18. 18 Lee EH Kang EH Kang HJ Evaluation of studies on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self-reported instruments Asian Nurs Res 2020 14 5 267 276 10.1016/j.anr.2020.11.004 

  19. 19 Lee J Lee EH Chae D Kim CJ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for diabetes self-care: A systematic review of measurement properties Int J Nurs Stud 2020 105 103498 10.1016/j.ijnurstu.2019.103498 32203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