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장 따라말하기에서 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비교
The influences of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sentence complexity of disfluency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3 no.1, 2021년, pp.53 - 64  

김예슬 (이화여자대학교 언어병리학과)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언어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요구용량 모델에 의하면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은 외적, 내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환경 중 언어적인 환경(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의 변화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대상은 4-6세 말더듬 아동 9명, 일반아동 9명이었다. 연구 과제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를 구하였다. 두 그룹의 비유창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때 평균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 아동보다 비유창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말속도를 조절 때 말더듬 아동은 빠른 말속도에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그리고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시 빠른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통사적 복잡성을 조절했을 때는 복문에서 말더듬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말더듬 아동은 말속도, 발화길이 그리고 통사적 복잡성에 따라 비유창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더듬 아동은 말운동 조절 그리고 언어처리 능력이 일반아동보다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말더듬 아동 치료 시 치료사와 부모가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아동의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Demand and Capacity Model (DCM),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influence the disfluency of children who stutter (CW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ultaneous changes in motoric and linguistic demands on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Participants were 4-6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말속도, 발화 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을 동시에 체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 아동의 비유창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주로 아동 의자 발화를 사용한 국내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문장 따라 말하기(sentence repetition) 과제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말속도, 발화 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을 동시에 체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말더듬 아동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비유창성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아동 개개인의 비유창성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말더듬 아동의 말 · 언어능력을 파악하고, 부모에게 제공되는 말더듬 예방 및 치료에 관련된 임상적 조언에 대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 개개인의 비유창성 특성을 살펴보았다. Adams(1990)은 아동의 비유창성이 발생하려면 아동에 대한 요구가 아동의 용량에 비해 어느 정도로 커야만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으로, 비유창성을 유발하는 요구와 용량의 불일치 정도는 아동 개인마다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 , 1979). 연구는 이러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말속도, 발화 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을 동시에 체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말더듬 아동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비유창성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아동 개개인의 비유창성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말더듬 아동의 말 · 언어능력을 파악하고, 부모에게 제공되는 말더듬 예방 및 치료에 관련된 임상적 조언에 대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을 동시에 체계적으로 변화시켜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시행했을 때, 말더듬 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SLD의 빈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dams, M. R. (1990). The demands and capacities model I: Theoretical elaboration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5(3), 135-141. 

  2. Ainsworth, S., & Fraser, J. (1998). If your child stutters: A guide for parents (3rd ed.) Memphis, TN: The Stuttering Foundation of America. 

  3. Anderson, J. D., & Wagovich, S. A. (2010). Relationships among linguistic processing spee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in children who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5(3), 216-234. 

  4. Anderson, J. D., Wagovich, S. A., & Hall, N. E. (2006). Nonword repetition skills in young children who do and do not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1(3), 177-199. 

  5. Ambrose, N. G., & Yairi, E. (1999). Normative disfluency data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4), 895-909. 

  6. Armington, J. C., & Bloom, M. B. (1974). Relations between the amplitudes of spontaneous saccades and visual response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64(9), 1263-1271. 

  7. Barnes, P. J., Smith, L. M., & Latto, R. M. (1970). Orientation to visual stimuli and the superior colliculus in the rat.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2(2), 239-247. 

  8. Bernstein Ratner, N. (1997). Linguistic behaviors at the onset of stuttering. In B. Maassen & P. Van Lieshout (Eds.), Speech motor control: New developments in basic and applied research (pp. 585-593).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9. Bernstein-Ratner, N., & Sih, C. C. (1987). Effects of gradual increases in sentence length and complexity on children's dysfluenc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2(3), 278-287. 

  10. Bonvillian, J. D., Raeburn, V. P., & Horan, E. A. (1979). Talking to children: The effects of rate, intonation, and length on children's sentence imitation. Journal of Child Language, 6(3), 459-467. 

  11. Bosshardt, H. G. (2006). Cognitive processing load as a determinant of stuttering: Summary of a research programme.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20(5), 371-385. 

  12. Conture, E. G. (1990).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3. Curlee, R. F. (2000). Demands and capacities versus demands and performance.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5(4), 329-336. 

  14. Gaines, N. D., Runyan, C. M., & Meyers, S. C. (1991). A comparison of young stutterers' fluent versus stuttered utterances on measures of length and complex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1), 37-42. 

  15. Go, Y., & Koo, B. (2008). Korean grammer. Seoul, Korea: Jipmundang. 

  16. Goldman-Eisler, F. (1968). Psycholinguistics: Experiments in spontaneous speech. London, UK: Academic Press. 

  17. Gottwald, S. R. (2010). Stuttering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Guitar, B., & McCauley, R. J. (Eds.), Treatment of stuttering: Established and emerging Interventions(pp. 91-117).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Guitar, B., & Marchinkoski, L. (2001). Influence of mothers' slower speech on their children's speech rat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4), 853-861. 

  19. Hakim, H. B., & Ratner, N. B. (2004). Nonword repetition abilities of children who stutte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9(3), 179-199. 

  20. Hale-Haniff, M., & Siegel, G. M. (1981). The effect of context on verbal elicited imita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1), 27-30. 

  21. Howell, P., & Au-Yeung, J. (2007). Phonetic complexity and stuttering in Spanish.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21(2), 111-127. 

  22. Kelly, E. M., & Conture, E. G. (1992). Speaking rates, response time latencies, and interrupting behaviors of young stutterers, nonstutterers, and their moth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5(6), 1256-1267. 

  23. Kim J. S., & Jeong S. M. (2011).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length and structure of sentences in 3 to 5 year-old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0(2), 19-36. 

  24. Kim,Y. T. (1996). A study on the accuracy of consonants in preschool children using shadow tone tes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1), 7-34. 

  25. Kim, Y. T., Hong, G. H., Kim, K. H., Jang, H. S., & Lee, J. Y. (2009).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Korea: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6. Lee, K. J., Shin, J. C., Kim, H. H., & Sim, H. S. (2003). The effects of changes of speech rate on the frequency of stutters in pre-school stutter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8(3), 134-148. 

  27. Lee, S.Y., Sim, H. S., Shin, M. J., & Lee, S. B. (2012). A comparison of the ability to wait for names of children who stutter before school age and ordinary children according to articulation complexity. Speech and Hearing Impairment Research, 17(2), 219-233. 

  28. Marinis, T., & Armon-Lotem, S. (2015). Sentence repetition. In S. Armon-Lotem, J. de Jong, & N. Meir (Eds.), Assessing multilingual children: Disentangling bilingualism from language impairment (pp. 95-124). Bristol, UK: Multilingual Matters. 

  29. Pae, S., Lim, S. S., Lee, J. H., & Jang, H. S. (2004). Korean sentence comprehension test (KOSECT). Seoul, Korea: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30. Pelczarski, K. M., & Yaruss, J. S. (2014). Phonological encoding of young children who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9, 12-24. 

  31. Pelczarski, K. M., & Yaruss, J. S. (2016). Phonological memory in young children who stutte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62, 54-66. 

  32. Sawyer, J., Chon, H. C., & Ambrose, N. G. (2008). Influences of rate, length, and complexity on speech disfluency in a single-speech sample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3(3), 220-240. 

  33. Sim, H. S., Kim, S. J., Lee, H. R., & Kim, J. M. (1999). The imitating ability of speaking rates in 4-5 year old children. Speech Science, 5(1), 141-149. 

  34. Sim, H. S., & Zebrowski, P. (1994). The ability of young children to imitate different speaking rate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9(3), 210. 

  35. Sim, H. S., Shin, M. J., & Lee, E. J. (2011). Paradise-fluency assessment II. Seoul, Korea: Paradise Welfare-Foundation. 

  36. Silverman, S. W., & Ratner, N. B. (1997). Syntactic complexity, fluency, and accuracy of sentence imit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1), 95-106. 

  37. Slobin, D. I., & Welsh, C. A. (1973). Elicited imitation as a research tool in developmental psycholinguistic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38. Smith, A., Goffman, L., Sasisekaran, J., & Weber-Fox, C. (2012). Language and motor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vidence from behavioral and kinematic indices of nonword repetition performance.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7(4), 344-358. 

  39. Smith, A., & Kelly, E. (1997). Stuttering: A dynamic, multifactorial model. In R. F. Curlee, & G. M. Siegel (Eds.),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 (2nd ed., pp. 204-217). Boston, MA: Allyn & Bacon. 

  40. Song, Y. K., & Sim, H. S. (2008). Compensation ability in speech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s. Speech Sciences, 15(3), 183-201. 

  41. Spencer, C., & Weber-Fox, C. (2014). Preschool speech articulation and nonword repetition abilities may help predict eventual recovery or persistence of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41, 32-46. 

  42. Starkweather, C. W., & Gottwald, S. R. (2000). The demands and capacities model: Response to siegel.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5(4), 369-375. 

  43. Starkweather, C. W., Gottwald, S. R., & Halfond, M. M. (1990). Stuttering prevention: A clinical metho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4. Watkins, R. (2005).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ho stutter. In E. Yairi, & N. G. Ambrose (Eds.), Early childhood stuttering: For clinicians by clinicians (pp. 235-252). Austin, TX: Pro-Ed. 

  45. Watkins, R. V., & Yairi, E. (1997). Language production abilities of children whose stuttering persisted or recovere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385-399. 

  46. Yaruss, J. S. (1999). Utterance length, syntactic complexity, and childhood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2), 329-344. 

  47. Yaruss, J. S., Newman, R. M., & Flora, T. (1999). Language and disfluency in nonstuttering children's conversational speech.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4(3), 185-207. 

  48. Zackheim, C. T., & Conture, E. G. (2003). Childhood stuttering and speech disfluencies in relation to children's mean length of utterance: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8(2), 115-142. 

  49. Zebrowski, P. M., Weiss, A. L., Savelkoul, E. M., & Hammer, C. S. (1996). The effect of maternal rate reduction on the stuttering, speech rates and linguistic productions of children who stutter: Evidence from individual dyads.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10(3), 189-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