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STIM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An Analysis on the Smart City Assessment of Korean Major Cities : Using STIM Framewor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157 - 171  

조성운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호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조성수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임윤택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는 문헌고찰, 평가지표 구축, 평가지표 가중치 분석, 지자체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결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는 다층형 스마트시티 모델(Multi-Layered Smart City Model)의 STIM 구조(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Management Layered Architecture)기반으로 구축되었다. 평가지표는 스마트시티 개념, 사례,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구축되었고, 전문가 AHP 설문을 통해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연구의 공간 범위는 서울 등 7대 광역시이며, 시간 범위는 2017년~2019년이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KOSIS, KISDISTAT 등의 공공데이터이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기술, 인프라, 관리의 수준은 수도권인 서울과 인천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영남권인 부산, 대구, 울산이 비교적 중간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충남권과 호남권인 대전과 광주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STIM 종합순위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수도권과 그 외 권역의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균형발전 전략이 필요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계획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mart city for major cities in Korea. The assessment indicators are based on the STIM structur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ayer Architecture) of the Multi-Layered Smart City Model. Assessment indicators are established through sm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TIM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각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을 통해 각 주요 도시는 스마트시티로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스마트시티 수준 향상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TIM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각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TIM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각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이재용, 김성수, 김은란, 박종순, 이미영, 이성원, 스마트도시 성숙도 및 잠재력 진단모형 개발과 적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6. 

  2. 장환영, 임용민, 이재용, "U-City 고도화를 위한 수준 진단체계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지, 제23권, 제2호, pp.49-58, 2015. 

  3. 국토교통부,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2019-2023, 2019. 

  4. 최봉문,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43-949, 2011. 

  5. 이상호, 임윤택, "유시티와 스마트시티 비교를 통한 유시티 해외진출 전략," 국토계획, 제49권, 제4호, pp.243-252, 2014. 

  6. 국토해양부, 총괄 2과제 U-City 미래비전과 중장기전략 1차, 2차, 3차년도 보고서, 2009. 

  7. 이상호, 임윤택, 문태헌, 이정훈, 김의준, 손정렬, 송복섭, 진경일, 김민경, 변완희, "U-City 미래비전과 중장기전략," 도시정보, 제323호, pp.3-15, 2009. 

  8. 신동빈, 왕광익, 정윤희, 이진희, U-City 시대의 도시공간 변화 및 도시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9. 이상호, 임윤택, "유시티 계획 특성 분석," 국토계획, 제43권, 제5호, pp.179-189, 2008. 

  10. 한주형, 이상호,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 스마트시티의 형태적 진화,"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201-209, 2019. 

  11. 조성수, 이상호, 임윤택, "유시티 진화 지도를 통한 유시티 진화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8권, 제2호, pp.75-91, 2015. 

  12. 조성수, 이상호, "스마트시티 산업의 융합변화 분석," 지역연구, 제34권, 제4호, pp.61-74, 2018. 

  13. 유성민, "ICBM 산업육성 방안 및 기술도입 전략,"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2권, 제2호, pp.9-16, 2014. 

  14. 김승래, "4 차 산업혁명과 AI 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 법학연구, 제18권, 제2호, pp.21-57, 2018. 

  15. 김희열, "블록체인 플랫폼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103-112, 2018. 

  16. 이성길, 황귀현,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와 센터운영 시스템인 통합플랫폼의 기능 및 요건 연구,"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통신), 제34권, 제9호, pp.9-12, 2017. 

  17. 이상호, 임윤택,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9권, 제2호, pp.86-97, 2016. 

  18. 조택,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지표 개편안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4권, 제3호, pp.285-314, 2007. 

  19. 김주진, 송영현, "재건축부담금의 배분을 위한 평가지표별 가중치 분석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3권, 제4호, pp.323-344, 2010. 

  20. 정규석, "핵심성과지표 개발 방법 비교연구," J Korean Soc Qual Manag, 제46권, 제4호, pp.863-876, 2018. 

  21. 김유미, 구자훈, "디지털 사회혁신관점의 스마트도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511-521, 2019. 

  22. 신우재, 스마트도시 인덱스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3. KPKT, Malaysia Smart City Framework, 2018. 

  24. UNECE, United for Smart Sustainable Cities: Collection Methodology for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Smart Sustainable Cities, 2017. 

  25. ISO 37122,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 Indicators for smart cities, 2019. 

  26. FG-SSC, I. T. U. T., Shaping Smarter and more Sustainable Cities: Striv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T), Focus Group on Smart Sustainable Cities (FG-SSC), United Nations, 2016. 

  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 인사이트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 국내 161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0 춘계산학학술대회(온라인 학술대회), 2020. 미간행 

  28. 이면성, 임춘성, "스마트시티 실증 서비스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44권, 제10호, pp.1992-2002, 2019. 

  29. R. Giffinger, C. Fertner, H. Kramar, and E. Meijers, "City-ranking of European medium-sized cities," Cent. Reg. Sci. Vienna UT, pp.1-12, 2007. 

  30. Easy Park Group, "Smart city index 2019," 2019. https://www.easyparkgroup.com/smart-cities-index/, 2020.05.19. 

  31. EDCI, European Digital City Index 2016, Availab le From : https://digitalcityindex.eu/about-edci, 2020.05.19. 

  32. SHARIFI Ayyoob, "A typology of smart city assessment tools and indicator sets,"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Vol.53, p.101936, 2020. 

  33. 노용환, 김정언, 김원중, "컴퓨터와 인터넷 채택 및 이용의 결정요인 분석: 고령화와 정보격차에 대한 시사점,"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4호, pp.319-350, 2009. 

  34. 정원조, 유일한, 김경래, 신동우, "건설기업의 규모에 따른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성과지표 가중치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1권, 제8호, pp.121-128, 2005. 

  35. 고길곤, 하혜영,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보, 제17권, 제1호, pp.287-313, 2008. 

  36. S. K. Kachigan, Statistical analysis: An interdisciplinary introduction to univariate & multivariate methods, Radius Press, 1986. 

  37. 대한민국정부, 국토종합개발계획: 1972-1981, 1971. 

  38. 대한민국정부,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982-1991, 1982. 

  39. 대한민국정부,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992-2001, 1992. 

  40. 대한민국정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2011-202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