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on Job Satisfaction - Moderated Effect of Employment Type and Mediated Effect of Inter Personal Skil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796 - 808  

김석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  고정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와 대인관계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4차(2016-2019)의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영향력 분석은 AMOS 22.0을 활용하여 경로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는 학력, 연령대, 근무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정적인 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고용형태는 부적인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근거하여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을 위한 장애수용, 대인관계, 고용형태에 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skill with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 job satifaction of the disabled in wage work.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oderated effect of employment type and the mediated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 the research used dat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용형태에 의한 비교와 대인관계에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의 2016년에서 2019년까지 4개년 자료에서 임금근로자 1,604명을 SPSS V.
  • 본 연구는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런 과정에서 대인관계의 매개 효과와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헌법, //www.lawnb.com/ 

  2. 번창용 외 6인,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9. 

  3. 보건복지부, 2020년도 고용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4. 김자영, "근로 장애인의 장애 수용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pp.363-391, 2018. 

  5. 김재천, 지체 장애 근로자의 장애수용 정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와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 송진영,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 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4호, pp.329-346, 2012. 

  7. 황정은, 정무성,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121권, 제2호, pp.247-271, 2011. 

  8. 하경해,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05-316, 2017. 

  9. 정승원, "고용 관련 환경요인이 장애 당사자의 장애 수용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4호, pp.323-350, 2012. 

  10. 박수경,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영향요인," 사회보장연구, 제22권, 제1호, pp.265-286, 2006. 

  11. 권태웅, 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이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인관계 능력 및 직무몰입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 김종일, "장애 근로자의 장애수용, 차별 경험,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도와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4호, pp.59-84, 2013. 

  13. 이채식, 김명식, "취업장애인의 직업 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327-356, 2013. 

  14. 권성현, "장애 임금근로자의 장애수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국가정책연구, 제33권, 제2호, pp.171-207, 2019. 

  15. 정승원,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167-197, 2014. 

  16. C. R. Kaiser and C. T. Miller, "Reacting to impending discrimination: Compensation for prejudice and attributions to discrimi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7, No.10, pp.1357-1367, 2001. 

  17. 장수빈,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 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자기효능감 및 장애수용의 매개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8. 방정수, 임금근로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9. 장애인복지법, //www.lawnb.com/ 

  20. 박현숙.양희택.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자리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2권, pp.67-84, 2013. 

  21. 박현숙, 양희택, "고령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229-250, 2015. 

  22. K. C. Keany and R. L. Glueckauf, "Disability and value change: An overview and reanalysis of acceptance of loss theory,"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38, No.3, p.199, 1993. 

  23. 김문수,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대인관계 형성에 관한 실험연구 : 사회적 요망성과 맥락단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4. 김승완,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매개 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440-452, 2019. 

  25. 정경진, 최한나, "비폭력 대화 모델에 기초한 집중형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능력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 인간 이해, 제32권, 제1호, pp.1-16, 2011. 

  26.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pp.1297-1349, 1976. 

  27. 박미숙, 교육행정직의 직무특성, 목표 지향성, 학습조직준비도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8. 오동득, "국내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314-324, 2019. 

  29. 김봉균, 하연주, 최송식,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pp.101-119, 2014. 

  30.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 다산 출판사, 1985. 

  31. 성정현, 이영미, "사업체에 고용된 여성장애인의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상황과 복지, 제18권, pp.81-122, 2004. 

  32. 김선화, 임금 근로 지체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3. L. W. Porter and R. M.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80, No.2, p.151, 1973. 

  34. M. D. Bell, P. H. Lysaker, and R. M. Milstein, "Clinical benefits of paid work activity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Vol.22, No.1, pp.51-67, 1996. 

  35. 박석돈, 이정희, 조주현, "취업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 재활 연구, 제19권, 제1호, pp.97-119, 2009. 

  36. 이형렬, "취업 장애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기업체 특성, 직무 만족이 전반적 직장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1호, pp.137-170, 2015. 

  37. 김민영,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 만족 영향요인 분석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근무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1호, pp.177-202, 2017. 

  38. 이선우, 박소리, 이지민,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검증," 한국 장애인 복지학, 제46권, pp.29-58, 2019. 

  3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4차연도 조사자료 User's Guide, 고용개발원, 2020. 

  40. A. Schlein and B. G. Guerney,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CA: Josey-Bass, 1971. 

  41. 전석균,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4. 

  42. P. C. Smith, L. M. Kendall, and C. L. Hulin,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196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