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의 특성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의 응용
Characteristics of Non-nano Needle Type Zinc Oxide and Its Application in Sunscreen Cosmetic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7 no.1, 2021년, pp.1 - 7  

정겨운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현송화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윤여민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김상욱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최부건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이성호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박수남 (선진뷰티사이언스 R&D Center) ,  이종성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자외선 차단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무기 자외선 차단제 개발에 대한 연구도 활기를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이슈화된 나노물질규제에 대응 가능한 나노 사이즈가 아닌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을 합성하였고, 이를 세틸알코올로 표면처리한 막대형 산화아연분체를 개발하여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차단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non-nano인 막대형 산화아연 분체를 적용한 선크림의 자외선 차단 효능과 백탁 정도는 40 nm 크기의 산화아연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막대형 산화아연 분산액을 사용한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효능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막대형 산화아연 분체는 non-nano (200 nm)임에도 불구하고 투명성(백탁 개선), 자외선 차단 효능 그리고 사용감 측면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unscreen worldwid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w inorganic sunscreen is also gaining momentum. In the present study, non-nano sized needle type zinc oxide, which can meet the regulation of nano-material as a recent problem, has been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ure 1. SEM microscopy images of the zinc oxide particles in this study. (A) NAS, (B) AS, (C) O-200.
  • 연구에서는 EU 나노물질규제의 제한을 받지 않은 막대형 non-nano 산화아연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고 cetyl alcohol로 표면 처리한 산화아연 파우더 및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업용 수준의 선크림 처방에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이 자외선차단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최근에는 EU 나노물질규제, 나노물질 함유화장품의 유해성 논란과 국내 “나노 물질 함유 화장품의 표시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 등에 의해 나노 사이즈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점차 제한되고 있는 추세이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사이즈가 아닌 non-nano 막 대형산화아연을 합성하여 화장품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 또한 산화아연의 자외선 차단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산화아연 미립자를 안정하게 분산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연구에서는 EU 나노물질규제의 제한을 받지 않은 막대형 non-nano 산화아연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고 cetyl alcohol로 표면 처리한 산화아연 파우더 및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업용 수준의 선크림 처방에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이 자외선차단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있다[17]. 본 연구에서는 NAS, AS, O-200 산화아연 분체의 마찰력을 비교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O-200의 마찰력은 384.
  • 본 연구에서는 산화아연의 사이즈, 입자 형태 및 분산상태가 자외선 차단효능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NAS, AS, O-200 분체 및 분산액을 동일한 산화아연 함량으로 Table 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W/O 에멀젼형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유화 장치로는 agi-mixer (PL-SS11D, Korea)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나노물질규제의 제한을 받지 않은 새로운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을 제조하여 그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W/O 선크림 처방에서의 백탁도, in vitro 자외선 차단효능을 평가하였다. Cetyl alcohol로 표면처리한 막대형 산화아연을 적용한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효능이 40 nm NAS 및 150 nm 산화아연과 비슷한 자외선차단 지수를 나타냈으며, 막대형 산화아연의 백탁정도는 40 nm NAS와 비슷한 수준으로 non-nano 입자이면서도 nano 입자 정도로 백탁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H. Xuan, Y. M. Park, J. H. Ha, Y. J. Jeong, and S. N. Park, The effect of dehydroglyasperin C on UVB- mediated MMPs expression in human HaCaT cells, Pharmacol Rep., 69(6), 1224 (2017). 

  2. K. S. Lee, and S. N. Park, Cyto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s of quercetin, quercitrin and avicularin isolated from Lespedeza cuneata G. Don against ROS-induced cellular damage, J. Ind. Eng. Chem., 71, 160 (2019). 

  3. J. Krutmann, A. Bouloc, G. Sore, B. A. Bernard, and T. Passeron, The skin aging exposome, J. Dermatol. Sci., 85(3), 152 (2017). 

  4. T. Schikowski, and A. Huls, Air pollution and skin aging, Curr. Environ. Health Rep., 7(1), 58 (2020). 

  5. A. Kammeyer, and R. M. Luiten,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 (2015). 

  6. K. J. Kim, S. H. Xuan, and S. N. Park, Licoricidin, an isoflavonoid isolated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her, prevents UVA-induced photoaging of human dermal fibroblasts, Int. J. Cosmet. Sci., 39(2), 133 (2017). 

  7. T. Pillaiyar, M. Manickam, and S. H. Jung, Recent development of signaling pathways inhibitors of melanogenesis, Cell. Signal., 40, 99 (2017). 

  8. S. H. Xuan, Y. M. Park, and S. N. Park, Antimelanogenic and antimigration properti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alendula officinalis flowers on melanoma cells, Photochem. Photobiol., 95(3), 860 (2019). 

  9. C. Stiefel, and W. Schwack, Photoprotection in changing times - UV filter efficacy and safety, sensitization processes and regulatory aspects, Int. J. Cosmet. Sci., 37(1), 2 (2015). 

  10. S. L. Schneider, and H. W. Lim, A review of inorganic UV filters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35(6), 442 (2019). 

  11. K. B. Kim, Y. W. Kim, S. K. Lim, T. H. Roh, D. Y. Bang, S. M. Choi, D. S. Lim, Y. J. Kim, S. H. Baek, M. K. Kim, H. S. Seo, M. H. Kim, H. S. Kim, J. Y. Lee, S. Kacew, and B. M. Lee, Risk assessment of zinc oxide, a cosmetic ingredient used as a UV filter of sunscreens, J. Toxicol. Environ. Health Part B, Critical reviews, 20(3), 155 (2017). 

  12. FDA, Sunscreen drug products for over the counter human use; Amendment to the tentative final monograph; Enforcement policy., Federal Register, 63, 56584 (1998). 

  13. K. M. Tyner, A. M. Wokovich, D. E. Godar, W. H. Doub, and N. Sadrieh, The state of nano-sized titanium dioxide (TiO 2 ) may affect sunscreen performance, Int. J. Cosmet. Sci., 33(3), 234 (2011). 

  14. M. J. Osmond, and M. J. McCall, Zinc oxide nanoparticles in modern sunscreens: an analysis of potential exposure and hazard, Nanotoxicology, 4(1), 15 (2010). 

  15. M. Ramasamy, M. Das, S. S. An, and D. K. Yi, Role of surface modification in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its toxicity assessment toward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Int. J. Nanomedicine, 9, 3707 (2014). 

  16. E. Tang, G. Cheng, X. Ma, X. Pang, and Q. Zhao, Surface modification of zinc oxide nanoparticle by PMAA and its dispersion in aqueous system, Appl. Surf. Sci., 252(14), 5227 (2006). 

  17. S. K. Choi, Y. H. Roh, J. H. Choo, Y. J. Choi, H. H. Kang, and O. S. Lee, Effect of rheological properties on mascare by water-soluble gelling agents, J. Soc. Cosmet. Sci. Korea, 33(3), 159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