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지식경영활동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 회복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n Financi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erprise-level Resilience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2 no.1, 2021년, pp.139 - 154  

강연실 (제주연구원 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  조부연 (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업 경영에 있어 환경적 위험이 증대되면서, 외부 충격 이후에 빠르게 일상 운영수준으로 복귀하는 능력인 회복역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회복역량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회복역량의 하위 구성개념을 강건성, 대체성, 자원동원성 및 신속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선행요인으로 기업의 지식경영활동을 제시하였다. 회복역량을 매개변인으로 고려하면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지식경영활동, 회복역량 및 성과로 이어지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기업 대상 설문을 설계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식경영활동 외에 개별 기업의 회복역량을 높일 수 있는 독립변수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필요함과 성과에 대한 세분화된 검증이 필요함을 향후 연구방향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environmental impacts on business management rapidly rise,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has been emphasized ever. Resilience can be defined as the capability to quickly return to daily operational levels after external shocks. Thus, we suggest and empirically verify a conceptual model using enter...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권순재, 이건창 (2009). 관광산업에서의 지식경영활동과 지식경영효율성 향상에 관한 실증연구. 지식경영연구, 10(3), 1-16. 

  2. 민재영, 이영찬 (2004). 지식경영의 역량, 활동,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6(1), 123-155. 

  3. 서지영, 박병원, 이성호, 조규진, 윤정현 (2014). 미래 위험과 회복력.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 이정호, 김영걸, 김민용 (2006). 지식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창출 활동과 지식공유 활동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7(1), 13-30. 

  5. 이철우, 전지혜 (2018). 구미IT산업클러스터의 경영위기와 회복력에 대한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4), 604-619. 

  6. 임상종, 도상호 (2011). 지식경영, 종합적 품질경영(TQM), 혁신성과 간의 관계. 재무와회계정보저널, 11(2), 81-97. 

  7. 전진환 (2010). 지식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시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1(2), 37-56. 

  8. 정기영, 송영렬, 정유수 (2016). 건설업의 지식경영 영향요인이 지식경영활동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산회계연구, 14(1), 39-63. 

  9. 조희재 (2010). 역경을 극복하는 힘: 복원력(Resilience). SERI 경영 노트, 72, 삼성경제연구소. 

  10. 진대선 (2008). 개인과 집단의 지식경영 활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서울. 

  11. 한그루, 하현상 (2019). 마을공동체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리질리언스 시각을 통한 체계적 접근의 시도. 지방정부연구, 23(1), 209-240. 

  12. 환경부, KBCSD (2018). 세계경제포럼(WEF)이 전망한 2018년도 글로벌 리스크 및 기업 위기관리 전략(The Global Risks Report 2018). KBCSD Insight Report. 

  13. Alavi, M., & Leidner, D. E. (2001).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Conceptual foundations and research issues. MIS Quarterly, 25(1), 107-136. 

  14. Bruneau, M., Chang, S. E., Eguchi, R. T., Lee, G. C., O'Rourke, T. D., Reinhorn, A. M., ... & Von Winterfeldt, D. (2003).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19(4), 733-752. 

  15. Kotter, J. (2013). Change leadership. Leadership Excellence, 30(1), 6-7. 

  16. Michaelis, B., Stegmaier, R., & Sonntag, K. (2010). Shedding light on followers' innovation implementation behavior.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5(4), 408-429. 

  17. Nonaka, I., & Takeuchi, H. (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8. O'Rourke, T. D. (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The Bridge, 37(1), 22-29. 

  19. Pisano, U. (2012). Resili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of resilience, systems thinking and adaptive governance. ESDN Quarterly Report, 26, European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20. Porath, C., Spreitzer, G., Gibson, C., & Garnett, F. G. (2012). Thriving at work: Toward its measurement, construct validation, and theoretical refine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3(2), 250-275. 

  21. Seo, M., Taylor, M., Hill, N., Zhange, X., Tesluk, P. E., & Lorinkova, N. M. (2012). The role of affect and leadership during organizational change. Personnel Psychology, 65(1), 121-165. 

  22. Wiig, K. M. (1997). Integrating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Long Range Planning, 30(3), 399-405. 

  23. World Economic Forum (2018). The global risks report 2018 (13th ed.). Insight Report, World Economic Forum, Switzerland. 

  24. Yanez, K. (2012). What might a resilient city look like? In J. Da Silva & E. Parker (Eds.), Visions of a resilient city (pp. 5-13). Arup. 

  25. BSI (2014). https://www.bsigroup.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