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손실 함수를 이용한 음성 향상 성능 비교 평가
Performance comparison evaluation of speech enhancement using various loss function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40 no.2, 2021년, pp.176 - 182  

황서림 (연세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변준 (연세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박영철 (연세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다양한 손실 함수에 따른 Deep Nerual Network(DNN) 기반 음성 향상 모델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베이스라인 모델로는 음성의 위상 정보를 고려할 수 있는 복소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손실 함수는 두 가지 유형의 기본 손실 함수, Mean Squared Error(MSE)와 Scale-Invariant Source-to-Noise Ratio(SI-SNR)를 사용하였으며 두 가지 유형의 지각 기반 손실 함수 Perceptual Metric for Speech Quality Evaluation(PMSQE)과 Log Mel Spectra(LMS)를 사용한다. 성능은 각 손실 함수의 다양한 조합을 사용하여 얻은 출력을 객관적인 평가와 청취 테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지각기반 손실 함수를 MSE 또는 SI-SNR과 결합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성능이 향상되며, 지각기반 손실함수를 사용하면 객관적 지표에서 약세를 보이는 경우라도 청취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valuates and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Deep Nerual Network (DNN)-based speech enhancement models according to various loss functions. We used a complex network that can consider the phase information of speech as a baseline model. As the loss function, we consider two types of bas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PMSQE와 LMS는 주파수 영역에서 추정된 파워를 기반으로 계산된다.[7,8] 본 논문에서는 손실 함수 결합에 의한 성능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 손실함수(Ln)와 지각 기반 손실함수(Lp)를 결합하여 각 손실함수를 공동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복소 네트워크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손실함수에 따른 음성 향상의 성능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음성 향상을 위한 딥러닝 네트워크 최적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SE 와 SI-SNR 두 종류의 손실 함수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이에 사람의 지각 특성에 기반을 둔 두 종류의 손실함수[7,8]를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제안되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Deep Complex Convolutional Recurrent Network(DCCRN)[3]를 베이스라인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서로 다른 손실 함수에 따른 음질을 비교 평가한다. DCCRNe 합성곱 신경망과 순환 신경망을 결합한 복소 네트워크이며, 구조는 Fig.
  • 본 논문은 복소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손실 함수들에 대한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다. 또한, 기존 손실 함수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 손실 함수에 지각 기반 손실 함수를 결합하여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Zhao, S. Zarar, I. Tashev, and C. Lee, "Convolu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for speech enhancement," Proc. IEEE ICASSP. 2401-2405 (2018). 

  2. D. S. Williamson, Y. Wang, and D. Wang, "Complex ratio masking for monaural speech separation," IEEE/ACM Trans. on audio, speech, and Lang. Pross. 24, 483-492 (2015). 

  3. Y. Hu, Y. Liu, S. Lv, M. Xing, S. Zhang, Y. Fu, J. Wu, B. Zhang, and L. Xie, "Dccrn: Deep complex convolution recurrent network for phase-aware speech enhancement," arXiv:2008.00264 (2020). 

  4. M. Kolbk, Z. Tan, S. H. Jensen, and J. Jensen, "On loss functions for supervised monaural time-domain speech enhancement," IEEE/ACM Trans. on Audio, Speech, and Lang. Pross. 28, 825-838 (2020). 

  5. S. Braun and I. Tashev, "A consolidated view of loss functions for supervised deep learning-based speech enhancement," arXiv:2009.12286 (2020). 

  6. S. Fu, C. Liao, and Y. Tsao, "Learning with learned loss function: Speech enhancement with quality-net to improve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7, 26-30 (2020). 

  7. J. M. Martin-Donas, A. M. Gomez, J. A. Gonzalez, and A. M. Peinado, "A deep learning loss function based on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the speech quality,"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5, 1680-1684 (2018). 

  8. S. Kankanahalli, "End-to-end optimized speech coding with deep neural networks," Proc. IEEE ICASSP. 2521-2525 (2018). 

  9. ITU-T. Rec. P.800, Methods for Subjective Determination of Transmission Quality, E 9713, 1996. 

  10. W. A. Jassim, J. Skoglund, M. Chinen, and A. Hines, "Speech quality factors for traditional and neural-based low bit rate vocoders," arXiv:2003.11882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