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자재용 폴리락타이드의 난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of Polylactide for Construction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1 no.2, 2021년, pp.113 - 119  

차상호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는 고유의 경량성 및 강성으로 인해 건축 자재에 두루 적용되는 소재이다. 그러나 건축 산업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화재 사고에서 대형 화재로의 확산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가연 특성을 지니는 고분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분자 소재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 특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도 유기 인계 난연제는 고분자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며, 독성이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의 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알콕시아민 기반의 유기 인계 난연제 구조를 설계 및 합성하여 이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mers are widely applied to construction materials due to their lightweight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owing to the combustible properties, polymers are one of the biggest reason of spreading large fires in fire accidents that occur frequent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폴리락타이드의 난연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알콕시아민 기반의 유기 인계 난연제를 설계 및 합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가 건축 자재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유기 인계 난연제를 합성하여 폴리락타이드의 난연 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때, 유기인계 난연제는 phosphonate 작용기를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난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라디칼 포획 능력을 지니는 TEMPO moiety를 가지도록 구조를 설계하였다.
  • 이 중에서도 유기 인계 난연제는 고분자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며, 독성이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의 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알콕시아민 기반의 유기 인계 난연제 구조를 설계 및 합성하여 이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DK, Cho DH. Processing and mechanical, therm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poly(butylene succinate) blends.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2014 Mar;15(1):14-21. http://dx.doi.org/10.17702/jai.2014.15.1.014 

  2. Lee B, Kim YW, Lee WK.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 of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s with eco-friendly polyols.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s. 2019 Dec;20(4):140-5. https://doi.org/10.17702/jai.2019.20.4.140 

  3. Lee GH, Roh JU, Lee WI. Processing and flexural properties of chopped jute fiber reinforced PLA sandwich composites.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2014 Jun;27(3):96-102. https://doi.org/10.7234/composres.2014.27.3.096 

  4. Buckmaster D, Hwang TW. Pedestrian safety validation of a high performance thermoplastic composite hood. Proceeding of the 7th automotive composites conference exhibition; 2007 Sep 11-13; Troy, Michigan, USA. Troy, Michigan (USA): SPE Auto motive and Composites Divisions; 2007. p. 589-605. 

  5. Holbery J, Houston D. Natural-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in automotive applications.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2006 Nov;58:80-6. https://doi.org/10.1007/s11837-006-0234-2 

  6. Yoon CR, Lee JH, Bang DS, Won JP, Jang IY, Park WY.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re-resistant silicone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inorganic flame retardants. Elastomers and Composites. 2010 Jun;45(2):87-93. 

  7. Chung YJ. Flame retardants properties of polyurethane by the addition of phosphorus compound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6 Dec;20(4):110-5. 

  8. Sim MJ, Cha S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eactive-phosphorus/nitrogen flame retardant for epoxy resin. Polymer Korea. 2019 Mar;43(2):204-10. https://doi.org/10.7317/pk.2019.43.2.204 

  9. Kwon EH, Yoon YS, Jeon TW, Lee YK, Bae JS. Study on thermal treatment of chlorinated flame retardant in waste containing halogen flame retard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8 Dec;18(7):655-63.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655 

  10. Han YG, Min SK, Park CY.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n-halogen type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s. Elastomer and Composites. 2014 Dec;49(4):313-22. https://doi.org/10.7473/EC.2014.49.4.313 

  11. Chung YJ, Lim HM, Jin E, Oh J. Combustion-retardation properties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mixtures with magnesium hydroxid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011 Aug;22(4):439-43. 

  12. Kim S, Kang W. Flame retardants application trend at interior component of vehicle. In: Lim WS, Kang S, Koo S, Kim N, Kim J, Kim JC, Kim J, Kim HC, Kim HS, Kim HK, Park SH, Song HH, Ahn C, Yang C, Yang C, Yun JE, Lee B, Lee S, Lee SW, Lee JU, Jang S, Chon MS, Joo S, Choi BH, Choi Y, Choi JW, Han SC, Heo I, Kim D, Inui M, Kwon P, Butala P, Udiljak T, Filaretov V, Fu Y, editor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Automotive Engineers. KSAE 2010 Annual Autumn Conference and Exhibition; 2010 Nov 24-26; Daegu, Korea. Seoul (Korea):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010 p. 2846-51. 

  13. Kim CB, Seo WJ, Kwon OD, Kim SB. Flame retardancy of novel phosphorus flame retardant for polyurethane foam. Applied Chemistry and Engineering. 2011 Oct;22(5):540-44. 

  14. Chung YJ, Jin E. Smoke generation by burning test of cypress plates treated with boron compound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018 Dec;29(6):670-6. https://doi.org/10.14478/ace.2018.1076 

  15. An Q, Wessely ID, Matt Y, Hassan Z, Brase S, Tsotsalas M. Recycling and self-healing of dynamic covalent polymer networks with a precisely tuneable crosslinking degree. Polymer Chemistry. 2019;10(6):672-8. 

  16. Wang X, Xu M, Zhang Z, Leng Y, Li B. Synthesis of a novel N-alkoxyamine containing compound and its application as an effective flame retardant for polypropylene film by quenching free radical.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2018 Sep;134:243-53. https://doi.org/10.1016/j.jaap.2018.06.014 

  17. Song YH, Chung KS. Assessment on the flame retardancy for polyeth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6 Dec;20(4):72-6. 

  18. Du L, Qu B, Xu Z. Flammability characteristics and synergistic effect of hydrotalcite with microencapsulated red phosphorus in halogen-free flame retardant EVA composit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2006 May;91(5):995-1001. https://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5.08.004 

  19. Kim KY, Seo WJ, Lee JC, Seo JS, Kim SB. Effect of flame retardants on flame retardancy of rigid polyurethane fo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2013 Oct;17(5):75-80. https://doi.org/10.7842/kigas.2013.17.5.75 

  20. Kim MK, Sohn KH, G HD. Radical Addition Reaction of Phosphorous based Flame Retardant with End Groups of PET (2) - Reaction of Resorcinol bis(diphenyl phosphat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012 Mar;24(1):39-4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