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료내 갈색거저리 유산균 발효물 첨가의 돌가자미 치어 성장 효과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Mealworm on the Growth of Juvenil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4, 2021년, pp.312 - 320  

조현솔 (환동해산업연구원) ,  박무억 (경상북도민물고기연구센터) ,  홍선미 (환동해산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어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료첨가물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유충 분말배지(5 %)에 어병 항균 기능을 가지는 유산균을 발효 한 후, 사료첨가물로써의 효능을 실험하였다. 어류 병원체(비브리오균, 연쇄상구균)에 대한 항균기능을 가진 유산균(LAB; L. plantarum, W. paramesenteroides, P. acidilactici)으로 발효한 갈색거저리 추출 발효물의 양어 성장 실증실험을 위해 총 600 마리의 치어 돌가자미(약 5~6 g)를 공시하여 100마리씩 수조 6개에 임의 배치한 후 각 3수조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평균 전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6주 후에 대조군의 전장 평균은 8.26 cm, 실험군은 8.42 cm이며, 대조군의 체중 평균은 19.71 g, 실험군은 20.28 g으로 HeTm_LpWpPa 첨가에 있어 성장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6주간의 증체율은 대조군 223.26 %, 실험군 248.76 %로 HeTm_LpWpPa 첨가군이 25.5 %p 성장효과가 높고, 6주 동안의 일간성장률은 대조군 2.79 %/일, 실험군 2.98 %/일로 실험군이 0.19 %p 더 높았다. 또한 평균 체중 이하의 개체 수에 있어서도 3주째에는 대조군 27마리(9 %), 실험군 9마리(3 %)이고, 6주째에는 대조군 17마리(5.7 %), 실험군 3마리(1 %)로 실험군에서는 평균 체중 이하가 1 %로 균일한 성장 효과가 있었다. 이들 결과는 동애등에 유충 추출 유산균 발효물(HeTm_LpWpPa) 사료 첨가물의 10 % 내외까지 사용은 돌가자미를 포함하는 양어 치어의 성장 촉진에 유효할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feed additive that can promote the growth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To this end, we fermented mealworm medium (5%, w/v)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with antibacterial function (HeTm_LpWpPa) and evaluated its efficacy as a feed additive. Fish (a...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0)

  1. T. H. Jang, S. M. Jung, E. Kim, Y. S. Lee, S. M. Lee, "Nutritional value and digestibility of Tenebrio molitor as a feed ingredient fo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29, No.3, pp.888-898,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888 

  2. Y. H. Choi, S. Y Yoon, S. M. Jeon, J. Y. Le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Hermetia illucen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ing pig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9 pp.255-261,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9.255 

  3. S. Y. Ji, K. H. Park, K. H. Kim, H. S. Lee, G. S. Choi, Y. J. Lim, R. Yu, I. H. Choi, T. H. Chung, "Influence of Hermetia illucens larvae-derived functional feed additives on immune function of broiler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27, No.12 pp.1305-1307, 2018. DOI: https://doi.org/10.5322/JESI.2018.27.12.1305 

  4. S. Smetana, E. Schmitt, Alexander Mathys, "Sustainable use of Hermeita illucens insect biomass for feed and food: Attributional and consequential life cycle assessment",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Vol.144, pp.285-296, 2019. DOI: https://doi.org/10.1016/j.resconrec.2019.01.042 

  5. M. E. Abd El-Hack, M. E. Shafi, W. Y. Alghamdi, V. Tufarelli,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meal as a promising feed ingredient for poultry: A comprehensive review", Agriculture, Vol.10, No.8, pp.339-370, 2020. DOI: https://doi.org/10.3390/agriculture10080339 

  6. S. H. Kim, C. H. Bae, J. H. Yun, J. Sim, H. S. Han, "Evaluation of black soldier fly meal as a dietary animal protein source replacing fish meal in korean catfish Silurus asotu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31, No.6, pp.1495-1502, 2019.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9.12.31.6.1495 

  7. J. E. Lee, A, J Lee, D. E. Jo, J. H. Cho, K. J. Youn, E. Y. Yun, J. S. Hwang, M. Jun, B. H. Kang, "Cytotoxic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l extracts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4, No.2 pp.200-207, 2015. DOI: https://doi.org/10.3746/jkfn.2015.44.2.200 

  8. M. C Seo, T. W. Goo, M. Y, Chung, M. H Baek, J. S. Hwang, M. A. Kim, E. Y. Yun "Tenebrio molitor larvae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MPK and MAPKs signaling in 3T3-L1 adipocytes and obesit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18, No.3 pp.518-532, 2017. DOI: https://doi.org/10.3390/ijms18030518 

  9. A. Biswas, H. Araki, T. Sakata, T. Nakamori, K. Takii, "Optimum fish meal replacement by soy protein concentrate from soymilk and phytase supplementation in diet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Aquaculture, Vol.506, pp.51-59, 2019. DOI: https://doi.org/10.1016/j.aquaculture.2019.03.023 

  10. C. M. A Caipang, J. Mabuhay-Omar, M. M. Gonzales Plasus, "Plant and fruit waste products as phytogenic feed additives in aquaculture", AACL Bioflux Vol.12, No.1 pp.261-268, 2019. DOI: http://www.bioflux.com.ro/docs/2019.261-268 

  11. F. Norambuena, K. Hermon, V. Skrzypczyk, J. A. Emery, Y. Sharon, A. Beard, G. M. Turchini, "Algae in fish feed: performances and fatty acid metabolism in juvenile atlantic salmon", PLOS ONE, Vol.10, No.4 pp.1-17, 2015.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24042 

  12. H. Nakagawa, "Usefulness of waste algae as a feed additive for fish culture", Developments in Food Science, Vol.42, pp.243-252, 2004. DOI: https://doi.org/10.1016/S0167-4501(04)80026-8 

  13. M. G. Mustafa, S. Wakamatsu, T. A. Takeda, T. Umino, "Effects of algae meal as feed additive on growth feed efficiency and body composition in red sea bream", Fisheries Science, Vol.61, No.1 pp. 25-28, 1995. DOI: https://doi.org/10.2331/fishsci.61.25 

  14. K. Jhon, M. C. Kim, Y. H. Kim, M. S. Heo, "Effects of the culture broth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in herb extracts on growth promotion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f aquacultured fish", Journal of Life Science, Vol.19, No.1, pp.87-93, 2009. DOI: https://dx.doi.org/10.5352/JLS.2009.19.1.087 

  15. S. Camila, L. Yanett, R. Carlos, "Probiotic bacteria as an healthy alternative for fish aquaculture", 28, Web of Science, 2017, 115-132 DOI: https://dx.doi.org/10.5772/intechopen.71206 

  16. K. M. Wanka, T. Damerau, B. Costas, A. Krueger, S. Wuertz,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ive probiotics for fish farming", BMC Microbiology Vol.18, No.119, pp.1260-1262, 2018. DOI: https://doi.org/10.1186/s12866-018-1260-2 

  17. N. Akhter, B. Wu, A. M. Memon, M. Mohsin, "Probiotics and prebiotics associated with aquaculture: A review", Fish & Shellfish Immunology Vol.45, No. 2 pp.733-741, 2015. DOI: https://doi.org/10.1016/j.fsi.2015.05.038 

  18. S. H. Hoseinifar, M. A. Esteban, A. Cuesta, Y. Z. Sun, "Prebiotics and fish immune response: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perspectives", Reviews in Fisheries Science & Aquaculture, Vol.23, No.4 pp.315-328, 2015. DOI: https://doi.org/10.1080/23308249.2015.1052365 

  19. S. Ganguly, K C. Dora, S. Sarkar, S. Chowdhury, "Supplementation of prebiotics in fish feed: a review", Rev Fish Biol Fisheries Vol.23, pp.195-199, 2020. DOI: https://doi.org/10.1007/s11160-012-9291-5 

  20. M. Moradi, S. A. Kousheh, H. Almasi, A. Alizadeh, A. Lotfi, "Postbiotic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The next frontier in food safety", 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Vol.19, No.6 pp.3390-3415, 2020. DOI: https://doi.org/10.1111/1541-4337.126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