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환경, 소진 및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place Characteristics, Burnout, Health Condi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2, 2021년, pp.69 - 87  

유정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 전공) ,  김재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Studies have shown that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tend to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children's adjust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underlying mechanism that increases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have ba...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65)

  1. 강소라 (2020). 직장어린이집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현, 최연 (2016). 사립유치원 교원의 행정업무 부담과 개선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111-136. 

  3. 구은미 (2007). 보육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11-722. doi:10.5934/KJHE.2007.16.4.711 

  4. 구은미, 박성혜 (2013). 보육교사의 건강과 기관의 조직건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33-53. 

  5. 김명순 (2015. 5).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체계의 다각적 고찰 및 현행체계 진단과 개선방안. 보육관련 5개 학회 2015 춘계 통합학술대회 기조강연 논문. 서울. 

  6. 김명순, 김수정, 강형옥, 정아람 (2018). 보육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도, 전문성과 어린이집 조직분위기 및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8(1), 391-415. doi:10.18023/kjece.2018.38.1.016 

  7. 김미현, 김유정 (2019). 유아교사의 근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2), 73-96. doi:10.22155/JFECE.26.2.73.96 

  8. 김민지, 이희영, 임희수 (2019).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159-180. doi:10.22251/jlcci.2019.19.14.159 

  9. 김선주 (2018). 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건강상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용미 (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11. 김일옥, 정구철 (2011). 가정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47-169. 

  12. 김혜금 (2011). 보육교사의 건강상태, 건강행동과 보육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49-166. 

  13. 나동석, 황혜원 (2004).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8(4), 733-756. 

  14. 문동규 (2012).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25-44. 

  15. 민하영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와 원장의 정서적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14. 

  16.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 (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doi:10.32431/KACE.2008.11.6.006 

  17. 박희수 (2015). 노인요양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종사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직몰입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시민인문학, 29, 111-147. 

  18. 백영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20. 송순옥 (2017). 유아교사의 권리 및 의무에 관한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손아랑 (2009). 민간보육시설이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doi:10.5389/KSAE.2016.58.1.081 

  22. 송태민, 김계수 (2012).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3. 시사경제신문 (2020. 02. 13). 양천구, 보육교사 3년 이상 근무 시 장기근속수당 지원. http://www.sis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6228에서 2020년 2월 22일에 인출 

  24. 유해미, 강은진, 권미경, 김근진, 김동훈, 김태우, 박진아, 이민경, 이유진 (2018). 2018년 전국보육 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5. 유희정, 이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6. 이명순 (2004). 유치원 이직에 관한 교사와 원장의 이야기. 영유아교육연구, 7, 49-67. 

  27. 이영순 (2010). 평가인증보육시설 교사의 근무환경인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주영, 고재욱 (2015).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63-82. doi:10.14698/jkcce.2015.11.1.063 

  29. 이채호 (2019). 보육교사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153-168. doi:10.22251/jlcci.2019.19.3.153 

  30. 임승렬, 권혜진 (2005). 이직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이직 동기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361-391. 

  31. 임옥희 (2004).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 한국가정과학회지, 7(1), 101-111. 

  32. 정지언, 박영희 (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297-316. doi:10.18023/kjece.2015.35.6.014 

  33. 정진옥, 표은영 (2018).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수준, 건강상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2), 347-356. doi:10.5762/KAIS.2018.19.2.347 

  34. 정희남 (2008). 유아교사의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남예, 문재우 (201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67-89. doi:10.22590/ecee.2018.22.3.67 

  36. 차수진 (2019). 보육교사의 관계스트레스와 전문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유성 (2019).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원장의 감성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소진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형성 (2015).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모형 탐색: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101-118. 

  39. 최형성 (2016).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199-216. doi:10.22155/JFECE.23.4.199.216 

  40. 최혜준, 정정희, 이효림 (2020).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5(2), 157-175. doi:10.20437/KOAECE25-2-07 

  41.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doi:10.1111/j.2044-8325.1990.tb00506.x 

  42. Aoki, S., Suzuki, S., & Yanai, H. (1974). A new trial of making health and personality inventory (THPI). Kodo Keiryogaku, 2(1), 41-53. doi:10.2333/jbhmk.2.41 

  43. Applebaum, D., Fowler, S., Fiedler, N., Osinubi, O., & Robson, M. (2010).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nursing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0(7/8), 323-328. doi:10.1097/NNA.0b013e3181e9393b 

  44. Chang, M. (2009). An Appraisal perspective of teacher burnout: Examining the emotional work of teachers. Educational Psychological Review, 21(3), 193-218. doi:10.1007/s10648-009-9106-y 

  45. Cheng, M. (2008). Job stress, self-efficacy,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kindergarten teachers in Taiw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ynn University, Ann Arbor, USA. 

  46. Du Prel, J. B., Hommel, G., Rohrig, B., & Blettner, M. (2009). Confidence interval or p-value?: Part 4 of a series on evaluation of scientific publication. Deutsches Arzteblat International, 106(19), 335-339. doi:10.3238/arztebl.2009.0335 

  47. Goddard, R., & Goddard, M. (2006). Beginning teacher burnout in Queensland schools: Association with serious intentions to leave. Th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33(2), 61-76. doi:10.1007/bf03216834 

  48. Hezell, K. W. (2010).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registered nurses employed in hospital settings in the State of Florid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ynn University, Boca Raton, USA. 

  49. Kersaint, G., Lewis, J., Potter, R., & Meisels, G. (2007). Why teachers leave: factors that influence retention and resign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6), 775-794. doi:10.1016/j.tate.2005.12.004 

  50. Joo, B., & Park, S. (2010). Care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effects of go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developmental feedback.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31(6), 482-500. doi:10.1108/1437731011069999 

  51. Laschinger, H. K. S., & Grau, A. L. (2012). The influence of personal disposi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on workplace violence, burnout, and health outcomes in new graduate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3), 282-291. doi:10.1016/j.ijnurstu.2011.09.004 

  52. Leiter, M. P., & Maslach, C. (2004). Areas of worklife: a structured approach to organizational predictors of job burnout. In P. L. Perrewe, & D. C. Ganster (Eds.), Occupational stress and well-being (pp. 91-134). Oxford: Elsevier. doi:10.1016/S1479-3555(03)03003-8 

  53. Lemerle, K. A. (2005).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teachers' health and job commitment: Is the health promoting school a healthier workpla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risbane, Australia. 

  54. Maslach, C., & Jackson, S. E.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University of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5. Mobley, W. H. (1977).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2), 237-240. doi:10.1037/0021-9010.62.2.237 

  56. O'Brennan, L., Bradshaw, C. P., & Furlong, M. J. (2014). Influence of classroom and school climate on teacher perceptions of student problem behavior. School Mental Health, 6(2), 125-136. doi:10.1007/s12310-014-9118-8 

  57. Osuji, J., Uzoka, F.-M., Aladi, F., & El-Hussein, M. (2014).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registered nurses' turnover intention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8(2), 140-161. doi:10.1891/1541-6577.28.2.140 

  58. Pas, E. T., & Bradshaw, C. P. (2013). What affects teacher ratings of student behaviors? The potential influence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experiences. Prevention Science, 15(6), 940-950. doi:10.1007/s11121-013-0432-4 

  59. Peterson, U., Demerouti, E., Bergstrom, G., Samuelsson, M., Asberg, M., & Nygren, A. (2008). Burnout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Swedish healthcare worke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84-95. doi:10.1111/j.1365-2648.2007.04580.x 

  60.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doi:10.3758/BF03206553 

  61. Schaack, D. D., Le, V. N., & Stedron, J. (2020). When fulfillment is not enough: Early childhood teacher occupationa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from a job demands and resources perspectiv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31(7), 1011-1030. doi:10.1080/10409289.2020.1791648 

  62. Schreiber, J. B., Nora, A., Stage, F. K., Barlow, E. A., & King, J. (2006).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A review.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9(6), 323-338. doi:10.3200/JOER.99.6.323-338 

  63. Vandell, D. L., Belsky, J., Burchinal, M., Vadergrift, N., Steinberg, L. &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10). Do effects of early child care extend to age 15 years?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1(3), 737-756. doi:10.1111/j.1467-8624.2010.01431.x 

  64. Weider, A., Brodman, K., Mittelmann, B., Wechsler, D., & Wolff, H. G. (1946). The cornell service index: A method for quickly assaying personality and psychosomatic disturbances, to be used as an adjunct to interview. Psychosomatic Medicine, 8(6), 411-413. doi:10.1097/00006842-194611000-00006 

  65. Whitebook, M., Howses, D., Phillips, P. C. (1989). Who cares? Child care teacher and the quality of care in America. Young Children, 41(4), 41-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