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2, 2021년, pp.143 - 160  

박남심 (수호천사공동직장어린이집) ,  박보경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Method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seven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0 preschoo...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57)

  1. 경기도교육청 (2019). 놀이 2019, 놀이로 유아의 삶을 담다.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2. 곽수란, 이진순 (2015).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 발달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3), 265-291. 

  3. 권랑희, 이진희 (2015).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4(2), 93-107. doi:10.17643/KJCE.2015.24.2.06 

  4. 김명선, 황선영, 오재연 (2014).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능력, 인성특성,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53-80. 

  5. 김연하, 김양은 (2008). Bandura의 교사 자기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doi:10.18023/kjece.2008.28.2.008 

  6. 김인희, 김진경 (202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075-1100. doi:10.22251/jlcci.2020.20.17.1075 

  7. 김재희, 김현경, 김윤희 (2020). 유아의 학습관련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부모-자녀 애착의 영향: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10(1), 19-38. doi:10.30528/jolss.2020.10.1.002 

  8. 김종훈, 성지현 (2016).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상호작용 영역이 유아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2), 325-343. doi:10.18023/kjece.2016.36.2.014 

  9. 김진미, 홍세영 (2017). 유아의 학교준비도 영향요인 분석. 육아정책연구, 11(2), 169-194. doi:10.5718/kcep.2017.11.2.169 

  10. 문명화 (2020).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4(6), 127-147. doi:10.32349/ECERR.2020.12.24.6.127 

  11. 민미희 (2017).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97-117. doi:10.22155/JFECE.24.4.97.117 

  12. 민미희 (201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간 다집단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3), 1-22. doi:10.22155/JFECE.26.3.1.22 

  13. 방은정, 정옥분 (2015).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 연구, 10(3), 25-51. doi:10.16978/ecec.2015.10.3.002 

  14. 배병렬 (2017). AMOS 24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15. 설장미, 심성경 (2019).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영역별 성취.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207-227. doi:10.24211/tjkte.2019.36.3.207 

  16. 성미영, 장영은, 손승희 (2016). 자기조절에 대한 교사신념,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 및 학교준비도의 관계: 유아 성별에 따른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61-78. doi:10.14698/jkcce.2016.12.03.061 

  17. 손희진, 성지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2), 191-209. doi:10.5723/KJCS.2014.35.2.191 

  18. 송민영 (2019).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9(1), 103-123. doi:10.18023/kjece.2019.39.1.005 

  19. 심숙영, 임선아 (2017).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유아교육연구, 37(4), 353-369. doi:10.18023/kjece.2017.37.4.014 

  20. 이선미, 전정민 (2020). 보육교사의 창의인성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6(4), 731-752. doi:10.24159/joec.2020.26.4.731 

  21. 이수현, 황혜정 (2014). 유아의 성과 주변 환경 변인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학습관여, 교사의 지도방법 및 가정과교실의 문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77-203. doi:10.14698/jkcce.2014.10.4.177 

  22. 이은주, 김상림 (2019). 유아교사의 교사행복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8(5), 437-447. doi:10.5934/kjhe.2019.28.5.437 

  23. 이주아, 박지은, 정혜민, 이순형 (2017). 부모의 정서적 자녀가치,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학업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자기-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7(4), 453-477. doi:10.18023/kjece.2017.37.4.019 

  24. 이주현, 김상림 (2020).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2), 429-436. doi:10.17703/JCCT.2020.6.2.429 

  25. 임수미, 황혜신 (2020).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6), 67-80. doi:10.5723/kjcs.2020.41.6.67 

  26. 임현주 (2020a).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불안감,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40(6), 291-315. doi:10.18023/kjece.2020.40.6.012 

  27. 임현주 (2020b).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2(4), 153-176. doi:10.36431/JPE.12.4.8 

  28. 전숙영, 권혜진 (2016). 유아의 사회성 기질, 유아교육기관의 물적 환경 및 인적 환경과 또래 놀이상호작용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3), 65-80. 

  29. 정수지, 최나야 (2020).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1), 1-12. doi:10.6115/fer.2020.001 

  30. 최효식, 윤해옥 (2015).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5(6), 339-356. doi:10.18023/kjece.2015.35.6.016 

  31. 허은하, 김상림 (2020).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20(1), 1-16. doi:10.21213/kjcec.2020.20.1.1 

  3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35. Bredekamp, S. (1985).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and procedures of a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USA. 

  36. Burchinal, M., Howes, C., Pianta, R., Bryant, D., Early, D., Clifford, R. et al. (2008). Predicting child outcomes at the end of kindergarten from the qua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instruction.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12(3), 140-153. doi:10.1080/10888690802199418 

  37. Burchinal, M. R., Peisner-Feinberg, E., Pianta, R., & Howes, C. (2002). Development of academic skills from preschool through second grade: Family and classroom predictor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0(5), 415-436. doi:10.1016/S0022-4405(02)00107-3 

  38. Duncan, G. J., Dowsett, C. J., Claessens, A., Magnuson, K., Huston, A. C., Klebanov, P. et al. (2007).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3(6), 1428-1446. doi:10.1037/0012-1649.43.6.1428 

  39. Goble, P., Hanish, L. D., Martin, C. L., Eggum-Wilkens, N. D., Foster, S. A., & Fabes, R. A. (2016). Preschool contexts and teacher interactions: Relations with school readin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7(5), 623-641. doi:10.1080/10409289.2016.1111674 

  40. Goble, P., & Pianta, R. C. (2017).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free choice and teacher-directed activity settings: Prediction to school readin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8(8), 1035-1051. doi:10.1080/10409289.2017.1322449 

  41. Goble, P., Sandilos, L. E., & Pianta, R. C. (2019). Gain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quality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skills: Does it matter where teachers star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73, 101-113. doi:10.1016/j.jsp.2019.03.006 

  42. Graziano, P. A., Garb, L. R., Ros, R., Hart, K., & Garcia, A. (2016). Executive functioning and school readiness among preschoolers with externalizing problems: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7(5), 573-589. doi:10.1080/10409289.2016.1102019 

  43. Halle, T. G., Hair, E. C., Wandner, L. D., & Chien, N. C. (2012).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among four-year-old Head Start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4), 613-626. doi:10.1016/j.ecresq.2012.04.001 

  44. Hamre, B. K., Pianta, R. C., Downer, J. T., & Mashburn, A. J. (2008). Teachers' perceptions of conflict with young students: Looking beyond problem behaviors. Social Development, 17(1), 115-136. doi:10.1111/j.1467-9507.2007.00418.x 

  45. Hess, R. D., Holloway, S. D., Dickson, W. P., & Price, G. G. (1984). Maternal variables as predictors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in vocabulary and mathematics in sixth grade. Child Development, 55(5), 1902-1912. doi:10.2307/1129937 

  46.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doi:10.1016/0885-2006(88)90028-2 

  47. Kontos, S., & Wilcox-Herzog, A. (1997). Influences on children's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47-262. doi:10.1016/S08 5-20 6(97)90002-8 

  48. Mashburn, A. J., Hamre, B. K., Downer, J. T., & Pianta, R. C. (2006). Teacher and classroom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eachers' ratings of prekindergartners' relationships and behavior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4(4), 367-380. doi:10.1177/0734282906290594 

  49. Mashburn, A. J., Pianta, R. C., Hamre, B. K., Downer, J. T., Barbarin, O. A., Bryant, D. et al. (2008). Measures of classroom quality in prekindergarten and children's development of academic, language, and social skills. Child Development, 79(3), 732-749. doi:10.1111/j.1467-8624.2008.01154.x 

  50. May, D. C., & Kundert, D. K. (1997). School readiness practices and children at-risk: Examining the issues. Psychology in the Schools, 34(2), 73-84. doi:10.1002/(SICI)1520-6807(199704)34:2 3.0.CO;2-T 

  51. Murphey, D. A., & Burns, C. E. (2002).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assessment of school readines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4(2), 1-8. 

  52. Pagani, L. S., Fitzpatrick, C., Archambault, I., & Janosz, M. (2010).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A French Canadian replication and exten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984-994. doi:10.1037/a0018881 

  53. Romano, E., Babchishin, L., Pagani, L. S., & Kohen, D. (2010).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Replication and extension using a nationwide Canadian survey.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995-1007. doi:10.1037/a0018880 

  54. Schumacker, R. E., & Lomax, R. G. (2004).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doi:10.1016/S0742-051X(01)00036-1 

  56. Vitaro, F., Brendgen, M., Larose, S., & Tremblay, R. E. (2005). Kindergarten disruptive behaviors, protective factor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by early adulthood.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7(4), 617-629. doi:10.1037/0022-0663.97.4.617 

  57.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