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자녀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Communic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in the Family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68, 2021년, pp.113 - 140  

이정관 (안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의 가정에서 자녀의 신앙교육은 매우 어려운 시기에 놓여 있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코로나 19 팬데믹을 겪으면서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정 또한 급격히 변해가고 있다. 현 사회가 다원화와 개인화가 되어가면서 가정이 교육적인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즉 기독교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이 무너져 내려져 있음을 즉시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늘의 가정에서 신앙교육의 문제는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에 있다. 의사소통의 문제는 부모와 자녀가 개인주의, 자본주의로 인한 가치관의 변화가 자녀세대와 가치관의 차이가 확대됨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워졌다. 더불어 세대 간 문화의 단절로 인한 가정에서의 대화단절이 신앙교육의 방해 요소가 되고 있다. 기독교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는 일이 시급하고도 절실하게 필요하다. 부모가 자녀들에게 기독교 신앙교육을 실행할 때 자녀들은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 가정에서 신앙교육의 목적과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절실히 요구된다.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신앙교육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신앙교육에 대한 동기 부여가 충분히 확보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의 부재라는 당면한 문제 해결하기 위하여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을 통한 신앙교육 회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에서 신앙교육의 필요성을 이야기할 것이다. 둘째 신앙교육의 시작 의사소통에 대하여 고찰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 신앙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가정에서 의사소통과 그 방법들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가정의 신앙교육을 회복하고 실행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oday's family, it can be said that children's faith education is in a very difficult time. Moreover, faith education at home is urgently requir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as society changes rapidly, families are also changing rapidly. As the current society became diversified and p...

주제어

참고문헌 (35)

  1. Kong, I. J. & Lee, E. J. & Lee, J. R. (2005). Conflict and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 parents and self-concep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6), 925-936. 

  2. Kim, Y. & Hwang, H. J. (2005). The influence of the promo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both parents and their children to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0(4), 69-88. 

  3. Kim, E. M, & Jun, J. S.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 esteem.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2(4), 215-234. 

  4. Kim, J. U. & Lee, M. S. (2009). Effects of relationship enhancement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children's self-eEsteem.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12(1), 61-76. 

  5. Nam, S. W. (2020). The effect of Flipped-PBL o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4, 347-368. 

  6. No, K. S. (2007). Raising a child well. Seoul: Yedam Friend 

  7. Bye, G, R. (1996). Education of children at home and at church. The Christian Education, 331, 13-17. 

  8. Bye, M. A. (1998). Home education for sharing faith and life. The Christian Education, 258, 33-38 

  9. Bae, H. B. & Ok, S. W. (2015). The effects of family meal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 sense of competence. Family and Culture, 27(3), 153-190. 

  10. Song, S. J. (2008). Theoretical basic research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Korean Education Inquiry, 30, 1-38. 

  1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Youth White Paper 20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2. You, H. J. & Cho, B. E.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and leaning plan and practical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to promote communication between teenagers children and their parents: focusing on conversation analysis of real conversation in UCC video project.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23(3), 139-160. 

  13. Eun, J. K. (1988). Christian education. Seoul: Korean Christian Publishing House. 

  14. Lee, Y. M. & Mim, H. Y. & Lee, Y. J. (2005). Psychosocial adaptation of late adolescents due to parent-child confli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5), 53-62. 

  15. Lee, J. G. (2009). Youth Education. Seoul: Sambo Art. 

  16. Lee, J. G. (2014). Car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hristian educatio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38, 307-329. 

  17. Lee, J. G. (2017). The role of parent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he need for Christ home education. Theology & Praxis, 54, 393-416. 

  18. Lee, J. G. (2019). Study on the causes of youth violence and Christian education guidance. Theology & Praxis, 66, 383-410. 

  19. Lee, J. G. & Lee, S. H. (2015). A study on the justification of university curricula on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the Eco-boomers.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47, 203-230. 

  20. Jung, E. S. & Jung, J. W. (2017). The effect of parent-child an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0(3), 77-102 

  21. Jo, E. H., & Jeong, H. J. & Kim, M. S. (2020).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ith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aptation with self efficacy as a moderator. Korean Journal of Infant Mental Health, 13(1), 43-57 

  22. Choi, A. (2021).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the daily stress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3(1), 1-14 

  23. Ha, S. Y. (2018). The developmen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model using think magnet to cultivate creative personal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4), 1499-1510. 

  24. Chapman, G., Campbell, R. (2011). The five love languages of children. Translator : Chang, D. S. Station. Seoul: Word of Life.(original article published in 1997) 

  25. Balswick, Jack O., Judith K. Balswick (2007). The family: A Christian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home. Grand Rapids : Baker Academic. 

  26. Barnes, H. L., Olson, D. L.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In D. H. Olson et al. (Eds.), Family inventories: Inventories used i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33-48).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27. Beers, V. Gilbert (1986). Developing and improving family communication. Kesler, Jay., Beer, Ron., & Neff, LaVonne. (Eds). Parent & Children. Wheaton : Victor Book, 391-393. 

  28. Bushnell, H. (1979). Christian nurtur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29. Dial Richard P. (1986). Why Communication is important. Kesler, Jay., Beer, Ron., & Neff, LaVonne. (Eds). Parent & Children. Wheaton : Victor Book. 393-394. 

  30. Galvin, K. M., Brommel, B. J. (1986).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Glenview, 3, 205-230. 

  31. Hansel, T (1986). How to be a better listener. Kesler, Jay., Beer, Ron., & Neff, LaVonne. (Eds). Parent & Children. Wheaton : Victor Book, 397-399. 

  32. Houtenville, A., & Conway, K. (2008). Parental effort, school resources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Human Resources, 43(2), 437-453. 

  33. Lewis, S. J. (1944).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MacMillian Co. 

  34. Sell, C. M. (1995). Family ministry.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35. Simon, M. P. (1970). Guiding patents in child-training and disciplin. Zuck B. Roy., Getz, Gene A. (Eds). Adult education in the church. Chicago : Moody Press. 302-3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