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
A Study on the Osan School and the Myeongdong School 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68, 2021년, pp.141 - 173  

강영택 (우석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민족학교였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 오늘날 마을교육공동체가 지향하는 본질과 방향을 검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두 학교는 국내외 민족독립운동의 거점이 된 명성 높은 기독교학교였다. 이 학교들이 억압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당시 시대적 사명이었던 민족교육을 충실히 수행하여 훌륭한 졸업생들을 배출할 수 있었던 데는 학교와 마을의 친밀한 협력관계로 형성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학교는 설립부터 마을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고, 학교는 좋은 교육의 기회나 문화행사가 있으면 마을주민들을 초청하였다. 학교는 주민들에게 학교의 모든 시설들을 열어주었고, 마을주민들은 학생들과 교사들을 보살핌으로 양측은 긴밀한 융합체를 이루었다.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학교와 마을은 자주와 평등이 기반이 되는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만들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오산학교와 명동학교가 마을과 가졌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오늘날 마을교육공동체가 보다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examine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oday'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san School and Myeongdong School, which were representative national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These ...

주제어

참고문헌 (27)

  1. Kang, Y. T. (2014). The idea and practice of Hong Soon-myung towards the ideal village community.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40, 231-258 

  2. Kang, Y. T. (2017). A school community that embraces the village. Seoul: Dandelion. 

  3. Ko, S. H.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on churches and village communities.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54, 331-376. 

  4. Kim, K. S. (2005). Namgang Lee Seung-hoon, Seoul: Korean Academic Information. 

  5. Kim, D. I. (2016). Christian education moving forward to the local community.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47, 51-93. 

  6. Kim, D. I. (2019). A Christian educational study on village ministry and village school.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59, 159-194. 

  7. Kim, S. B., Kim, M. S., Kim, H. M., & Lee, H. S. (2020).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loc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8. Kim, Y. R. (2016). Implications fo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given by the Japanese community school. Seminar materials. 

  9. Kim, E. K. (2019). A perception analysis on the cooperative system establishment method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dult Continuing Education Research, 8(3), 21-39. 

  10. Kim, J. N. (1998). The community is the school, and the school is the community: Pulmu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Seoul: A book that opens tomorrow. 

  11. Kim, C. S. (2016). A study on Yoon Dong-ju's Poem-Based on the Christianity in Bukgando(North-Gando). Hang-Yang Univserty doctoral dissertation. 

  12. Moon, Y. G. & Moon, Y. M. (2006). The Dream of Kirin-Gap and Go Man-Rye: Memoirs of Moon Moon-Rin and Shin-Muk Kim. Seoul: Three 

  13. Bae, Y. J. (2019). A community of practice (CoP) operation plan of the local government'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25(3), 209-228. 

  14. Baek, S. J. (2002). The history and language of the country. HongSeong: Geomulko. 

  15. Seo, Y. S., et al. (2016). What is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irth, roots and compass. Seoul: Salimteo. 

  16. Shin, S. Y. & Park, C. E. (2019).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Journal of Arts and Humanities Convergence Multimedia Papers, 9(8), 95-104. 

  17. Shim, S. B., et al. (2019).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vement: Global Trends and Prospects. Seoul: Salimteo 

  18. Yang, B. C. (2008). Formation of a local education communit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rural schools and regions-Focused on the case of 'Pulmu Education Community' in Hongdong, Chungcheongnam-do. Lifelong Education Studies, 14(3), 129-151 

  19. Yang, B. C. (2019). The spread and evolution of the phenomen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2019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Conference. 

  20. Osan Hundred Years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07). Osan Hundred Years History: 1907-2007. Seoul: Osan Academy, a school corporation. 

  21. Lee, S. H. (2019).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ot a business, but a life. Dandelion, 122. Seoul: Dandelion. 

  22. Jo, Y. J. (2018). A case study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Uijeongbu: -Focused on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education governance - 2018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Educational Society. 

  23. Cho, H. W. (2002). Osan School and the Northwestern Society of Korea. Munjeongyeonji, 3(1), 37-62. 

  24. Han, K. M. (2008). Seunghoon Lee, the eternal leader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Seoul: Historic Space. 

  25. Han, C. H. (2009).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yeongdong School. Korean Modern History Study, 51, 262-280. 

  26. Hong, S. M. (2008). Roots and tasks of bellows for the 5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school, The project promotion committee for the 50th anniversary of bellows education. 50 Years of Bellows Education: Missing New Days Again 2. HongSung: Geomulko. 

  27. Davidson, K., & Case, M. (2018). Building trust, elevating voices, and sharing power in family partnership. The Phi Delta Kappan, 99(6), 49-53. Retrieved December 10, 2020, from http://www.jstor.org/stable/446534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