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cronesia, Chuuk Lagoon에 서식하는 파랑돔(Pomacentrus coelestis)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Neon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in Chuuk Lagoon, Micronesi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4 no.2, 2021년, pp.180 - 187  

김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연구센터) ,  한정훈 (해양생명공학연구센터) ,  허성표 (제주특성연구센터) ,  이균우 (해양생명공학연구센터) ,  최영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Neon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in Chuuk lagoon (7°27' N, 151°53' E), Micronesia, Equatorial Pacific Ocean. The specimen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09 to September 2010 from aro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총 228개체 중 체장 29-42 mm에서 5개체의 생식소는 성을 결정할 만큼 충분히 분화되지 않았으며, 난소 내강이나 정소관이 없었다. 223개체가 분화된 생식소를 가졌으며, 이 중 51.6% (n=115)는 Fi와 Fa로 분류되었다. Fi개체의 체장 범위는 24-40 mm이었다.
  • 성적 분화는 24 mm 이상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Table 1). 41개체의 암컷은 난소 내강(OL)이 있는 비활성 생식소를 가졌고(Table 1), 대부분 초기성장기 난모세포(PG)를 포함하고 있었다(Fig. 2a, 2b).
  • Hi개체는 2009년 12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출현하였고, Fi개체와 마찬가지로 2009년 8월부터 11월까지 연속적으로 출현하지 않았다. Fa개체와 Ma개체만 출현하는 시기는 2009년 10월과 11월이었으며, Fa개체는 2010년 7월을 제외하고는 연중 출연하였고, 반면 Ma개체는 2010년 4월과 7월을 제외하고 연중 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Fig. 6).
  • 3a). Hma개체에서는 소엽에 일부 초기 성장기 난모세포와 다수의 정세포(ST)가 관찰되었고, 생식세포들이 소엽내에서 정자(SZ)로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개체들의 체장 분포는 34-52 mm로 비활성 수컷 개체들보다 체장이 다소 큰 범위에 속했다(Table 1, Fig.
  • 3b). Ma에 속하는 번식 활동에 참여하는 개체들의 체장 분포는 32-88 mm 범위를 보였고(Table 1), 정소에서는 일부 소엽에서 정자들이 방정된 빈 공간들이 관찰되며, 정소관(SD)을 따라 정자들이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3c, 3d).
  • 3c, 3d). Ma의 개체에서는 조직상에서 암컷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모세포와 정세포, 정자와 같이 오직 수컷의 생식세포만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d, 3e).
  • Hi의 체장 범위는 29-42 mm로 나타났다(Table 1). 생식소 내에는 아직 발달하지 않은 초기성장기 난모세포(PG) 몇 개와 소엽에 정모세포(SC)들이 관찰되었다(Fig. 3a).
  • Fa의 개체는 체장이 29-63 mm 범위였다(Table 1, n=74). 생식소에는 난황구기 난모세포(TY)가 있었고, 몇 개의 초기성장기 난모세포와 배란 흔적을 보이는 잔존 여포(EF)와 퇴행기 난모세포(DO)가 관찰되 었다(Fig. 2c, 2d, 2e).
  • 성적으로 분류된 수컷들은 전체의 약 48.8% (n=108) 비율을 차지하였고, Hi와 Hma및 Ma로 분류되었다. Hi의 체장 범위는 29-42 mm로 나타났다(Table 1).
  • 체장 크기에 따른 생식소 성숙단계의 월별 출현 빈도는 채집된 총 228개체의 생식소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생식소 성숙상태에 따라 도출되었다(Fig. 6).
  • 실험어는 생식소 분화, 암수의 생식세포 출현에 따른 자웅동체, 생식세포 발달에 따라 6가지로 구분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총 228개체 중 체장 29-42 mm에서 5개체의 생식소는 성을 결정할 만큼 충분히 분화되지 않았으며, 난소 내강이나 정소관이 없었다. 223개체가 분화된 생식소를 가졌으며, 이 중 5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len GR. 1991. Damselfishes of the world. Published by Mergus, Melle, Germany, 1-271. 

  2. Allen GR, Steene R, Humann P and DeLoach N. 2005. Reef fish Identification-Tropical pacific. 2nd ed. Published by New world publication Inc., Florida, U.S.A., 92. 

  3. Allen GR. 2008. Reef fishes of Chuuk,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Final report prepared for the Chuuk Rapid Ecological Assessment Program, Chuuk,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22. 

  4. Asoh K. 2003. Gonadal development and infrequent sex change in a population of the humbug damselfish, Dascyllus aruanus, in continuous coral-cover habitat. Mar Biol 142, 1207-1218. https://doi.org/10.1007/s00227-003-1051-6. 

  5. Breder CM and Rosen DE. 1966. Modes of reproduction in fishes. T.F.H. Publications, Neptune, NJ, U.S.A., 941. 

  6. Chang KH and Jan RQ. 1983. Ethology of neon damsel fish, Pomacentrus coelestis jordan and starks, along the northern coast of Taiwan. Bull Inst Zool Acad Sin 22, 1-12. 

  7. Choi YU, Lee DW, Yoon KT, Oh CH, Heo SJ, Kang DH and Park HS. 2013.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female staghorn damselfish Amblyglyphidodon curacao in the Chuuk Lagoon, Micronesia. Ichthyol Res 60, 198-201. https://doi.org/10.1007/s10228-012-0322-y. 

  8. Choi YU, Park M, Lee KW, Oh C and Park HS. 2014.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Humbug Damselfish, Dascyllus aruanus, in Chuuk Lagoon, Micronesia. Ocean Sci J 49, 411-418. https://doi.org/10.1007/s12601-014-0038-1. 

  9. Cole KS. 2002. Gonad morphology, sexual development, and colony composition in the obligate coral-dwelling damselfish Dascyllus aruanus. Mar Biol 140, 151-163. https://doi.org/10.1007/ s002270100681. 

  10. Crim LW and Glebe BD. 1990. Reproduction. In: Methods for fish biology. Schreck CB, Moyle PB., eds. Amer Fish Soc, Bethesda, MD, U.S.A., 529-547. 

  11. Frederich B, Liu SYV and Dai CF. 2012. Morphological and genetic divergences in a coral reef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Evol Biol 39, 359-370. https://doi.org/10.1007/s11692-011-9158-z. 

  12. Garcia del Moral R. 1993. Tecnicas de laboratorio de anatomia patogica. In: McGraw H. ed. Interamericana. de Espana, Madrid, Spain, 405-425. 

  13. Jan RQ. 1997. Sympatric spawning of the damselfishes Chromis fumea and Pomacentrus coelestis on the Northern Coast of Taiwan. Zool Stud 36, 26-32. 

  14. Jung MM, Oh BS, Kim SY, Lee CH, Yang MH, Han SJ, Rho S and Kim HS. 2010. Spawning volumes and times of blue devil Pomacentrus caeruleus. Korean J Ichthyol 22, 90-95. 

  15.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Published by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6. Kim SW, Chung M and Park HS. 2015. Tropical fish species thriving in temperate Korean waters. Mar Biodivers 45, 147-148. https://doi.org/10.1007/s12526-014-0247-y. 

  17. Kingsford MK, Smith FJA and Flood MJ. 2011. Growth and pelagic larval duration of presettlement and newly settled neon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at multiple spatial scales. Coral Reefs 30, 203-214. https://doi.org/10.1007/s00338-010-0692-4. 

  18. Kuiter RH and Tonozuka T. 2001. Pictorial guide to Indonesian reef fishes. Part 2. Fusiliers-Dragonets, Caesionidae-Callionymidae. Zoonetics, Seaford, Vic., Australia, 304-622. 

  19. Liu SYV, Dai CF, Allen GR and Erdmann MV. 2012. Phylogeography of the neon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indicates a cryptic species and different species origins in the West Pacific Ocean. Mar Ecol Prog Ser 458, 155-167. https://doi.org/10.3354/meps09648. 

  20. Liu SYV, Kokita T and Dai CF. 2008.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neon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Mar Biol 154, 745-753. https://doi.org/10.1007/s00227-008-0967-2. 

  21. Matis PA, Donelson JM, Bush S, Fox RJ and Booth DJ. 2018. Temperature influences habitat preference of coral reef fishes: Will generalists become more specialized in a warming ocean?. Glob Change Biol 24, 3158-3169. https://doi.org/10.1111/gcb.14166. 

  22. Matsuoka T. 1962. On the spawning of Pomacentrus coelestis JORDAN and STARKS. Biology 10, 1-6. https://doi.org/10.11233/aquaculturesci1953.10.3_1. 

  23. McCormick MI. 2016. Protogyny in a tropical damselfish: females queue for future benefit. PeerJ 4, e2198. https://doi.org/10.7717/peerj.2198. 

  24. Moyer JT. 1975. Reproductive Behavior of the Damselfish Pomacentrus nagasakiensis at Miyake-jima, Japan. Jpn J Ichthyol 22, 151-163. 

  25. Myers RF. 1991. Micronesian reef fishes. 2nd ed. Published by Coral Graphics. Guam, U.S.A., 173. 

  26. Pankhurst PM and Pankhurst NW. 2003. Plasma steroid levels and follicular development in the female staghorn damselfish Amblyglyphidodon curacao. Fish Physiol Biochem 28, 357-358. https://doi.org/10.1023/B:FISH.0000030587.09868.8b. 

  27. Park YJ, Takemura A and Lee YD. 2006a. Annual and lunarsynchronized ovarian activity in two rabbitfish species in the Chuuk lagoon, Micronesia. Fish Sci 72, 166-172.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6.01131.x. 

  28. Park YJ, Takemura A and Lee YD. 2006b. Lunar-synchronized reproductive activity in the pencil-streaked rabbitfish Siganus doliatus in the Chuuk Lagoon, Micronesia. Ichthyol Res 53, 179-181. https://doi.org/10.1007/s10228-005-0322-2. 

  29. Patterson HM, Kingsford MJ and McCulloch MT. 2004. Elemental signatures of Pomacentrus coelestis otoliths at multiple spatial scales on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Mar Ecol Prog Ser 270, 229-239. https://doi.org/10.3354/meps270229. 

  30. Pisingan RS, Harnadi L and Takemura A. 2006. Semilunar spawning periodicity in brackish damsel Pomacentrus taeniometopon. Fish Sci 72, 125-1260.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6.01283.x. 

  31. Rhodes KL, Baremore IE, Taylor BM, Cuetos-Bueno J and Hernandez D. 2020. Aligning fisheries management with life history in two commercially important groupers in Chuuk,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Aquat Conserv: Mar Freshw Ecosyst 31, 605-619. https://doi.org/10.1002/aqc.3452. 

  32. Sadovy Y and Shapiro DY. 1987. Criteria for the diagonosis of hermaphroditism in fishes. Copeia 1987, 136-156. 

  33. Salaki MS. 1993. Studies on gonadal reproductive and lunar spawning cycles of Siganus argenteus (Quoy et Gaimard), Siganidae. M.S. Thesis, University of the Ryukyus, Nakagami, Japan. 

  34. Song YB, Park YJ, Takemura A, Kim HJ, Choi MS, Choi YC and Lee YD. 2003.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female reproductive cycle of honeycomb grouper Epinephelus merra in Chuuk. Dev Reprod 7, 23-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