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4th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434 - 446  

주미진 (중앙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산업뿐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와 관련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지리적 방법인 LQ와 지리적 방법인 Getis-Ord's Gi*를 이용하여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를 유형화하고 집적지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의 "특화지역"은 수도권 지역의 비율이 높으나, 산업유형에 따라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확인되었다. 둘째, 4차 산업의 "클러스터"와 "주변 지역"은 대부분 수도권에 군집하여 형성되어 있었다. 셋째, 수도권 지역 내에서도 4차 산업 "클러스터"는 과밀억제권역과 경기남부지역에 편중되어 나타났으며, 수도권 북부지역과 자연보전권역은 소외된 양상을 보였다. 본 논문은 4차 산업의 "클러스터" 지역이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the fourth industry.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urth in...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4차 산업 혁명 대응을 위한 지역정책 마련을 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의 공간분포 및 입지와 관련한 심도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유형별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들의 공간적 분포를 시각화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차 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4차 산업의 특화 정도 및 군집을 유형하고 이를 통하여 4차 산업의 클러스터를 추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오현환, "4 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지역의 연구개발방향," 경남발전, 제137권, pp.20-27, 2017. 

  2.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nguin Books, 2017. 

  3. 장철순, 문정호, 류승환, 장은교, 이승옥, 정우성, 조성철,유현아, 4차 산업혁명시대의 新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2017. 

  4. 이진면, 이용호, 김재진, 4차 산업혁명과 우리 산업의 중장기 구조변화전망, 산업연구원, 2018. 

  5. A. Losch, The Economics of Loc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4. 

  6. 이상호, 김홍규, "도시별 집적경제효과의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8권, pp.55-70, 1996. 

  7. 황우익, 박종화, "벤처기업의 집적지 입지요인과 기술혁신 성과," 국토계획, 제37권, 제7호, pp.85-101, 2002. 

  8. M. Porter, "Competitive advantage, agglomeration economies, and regional policy,"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Vol.191, No.2, pp.85-90, 1996. 

  9. 이철우, "산업집적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지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제5호, pp.629-650, 2013. 

  10. 김명진, "Getis-Ord's Gi* 와 FLQ 를 이용한 공간 집적 분석: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한국지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07-123, 2014. 

  11. 윤윤규, 배기준, 윤미례, 이상호, 최효미, 김준영, 정준호,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2010-방법론, 설정 및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2. 

  12. F. Almada-Lobo, "The Industry 4.0 revolution and the future of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MES),"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3, No.4, pp.16-21, 2015. 

  13. J. Jeon and Y. Suh, "Analyzing the Major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6, No.3, pp.262-273, 2017. 

  14. 김태경, 김점산, 정천용,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도시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2017. 

  15. 박승빈, 4차 산업혁명 주요 테마분석-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통계청 연구보고서, 2017. 

  16. 오병기, "우리나라 지역별 4차 산업혁명 대응지수 격차에 관한 분석과 거시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1호, pp.275-292, 2018. 

  17. 변창욱, 이상호, 김지수, 최윤기, 김창모, 지역 산업혁신클러스터 발전요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18. 

  18. 김은경, 문영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경기개발연구원, 2016. 

  19. 주재욱, 이지연, 4차 산업혁명과 서울시 산업정책, 서울연구원, 2018.. 

  20. 강호제, 류승한, 서연미, 표한형,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기업을 위한 입지정책방안, 국토연구원, 2019. 

  21. 신학철, 우명제,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입지특성이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2권, 제2호, pp.91-117, 2020. 

  22. 정진원, 조형진, 변병설,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입지분포와 성장, 2010-2018," 국토지리학회지, 제54권, 제4호, pp.461-476, 2020. 

  23. 이재호, "4차 산업혁명 기반산업의 R&D 현황 국제비교,"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 702호, pp.1-15, 2017. 

  24. 김은영, "4차 산업혁명시대 지역의 신산업육성을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2권, 제3호, pp.461-480, 2018. 

  25. 김성희,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6호, pp.256-266, 2020. 

  26. A. T. Flegg and C. D. Webber, "On the appropriate use of location quotients in generat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Reply," Regional Studies, Vol.31, No.8, pp.795-805, 1997. 

  27. A. T. Flegg and C. D. Webber, "Regional size, regional specialization and the FLQ formula," Regional Studies, Vol.34, No.6, pp.563-569, 2000. 

  28. L. Anselin,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27, No.2, pp.93-115, 1995. 

  29. J. K. Ord and A. Getis,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distributional issues and an application," Geographical analysis, Vol.27, No.4, pp.286-306, 1995. 

  30. 김택원, 우수한, "한국 물류산업의 공간적 집적과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Vol.21, No.1, pp.237-263, 2019. 

  31. M. Carroll, N. Reid, and B. Smith, "Location quotients versus spatial autocorrelation in identifying potential cluster region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42, No.2, pp.449-463, 2008. 

  32. 조철주, "혼합적 다단계 접근을 통한 충북 산업클러스터의 집적과 연계성 확인," 국토연구, 제83권, pp.129-149, 201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