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인식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through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370 - 381  

박소윤 (대전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모의수업은 교원양성교육에서 필요하며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수업 경험을 요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for 350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4 years university located in Busan, Ulsan, and Gimhae. And through this, the purposes of study are to provide b...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 유아 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모의 수업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박해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pp.539-555, 2009. 

  2. 조미헌, "초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435-446, 2020. 

  3. 강숙희,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520-528, 2015. 

  4. 이미경, 이시자,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37-161, 2014. 

  5.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제15권, 제1호, pp.107-132, 2009. 

  6. 이은진, 김정희,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 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4호, pp.97-118, 2014. 

  7. 김경철, 김안나,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 수업분석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제14권, 제2호, pp.399-424, 2010. 

  8. 이명순, "유아주도성 발현을 위한 모의수업과정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7권, 제2호, pp.323-348, 2013. 

  9. 정남미,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제20권, 제5호, pp.201-222, 2016. 

  10. G. D. Borich, Effective teaching methods, New Jersey: Prentice-Hall, 2000. 

  11. 박계신, "반성적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특수교육, 제11권, 제1호, pp.215-240, 2012. 

  12. 김낙홍, "유아교사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2 호, pp.195-212, 2008. 

  13. 김남희, 손유진, "실천적, 반성적 유아교사교육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1호, pp.193-215, 2008. 

  14. 이정아, 강한나,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1권, 제1호, pp.105-129, 2012. 

  15. 황해익, 송연숙, 조영기,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8권, 제4호, pp.129-150, 2004. 

  16. 황정희, 이정희 "모의수업 평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 요소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47-67, 2012. 

  17. 조부경, 김정화,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 교사 및 담당 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39-162, 2000. 

  18. 서윤희,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pp.19-47, 2015. 

  19. 조희정, 이대균 "ASSURE 이론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83-105, 2013. 

  20. 주삼환,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의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21. 권은주, 최윤정,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 수업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57-82, 2010. 

  22. A. A. Agoro, "Reflective practice: A tool for enhanching quality assurance in science education at nigerian colleges of education," J. of Educational and Social Research, Vol.3, No.7, pp.205-209, 2013. 

  23. 윤지영, 임승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음악모의수업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분석," 음악교육연구, 제41권, 제3호, pp.227-249, 2012. 

  24. 김은아, 고경미, 이선경,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모의수업 분석경험: 유아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9권, 제3호, pp.245-269, 2015. 

  25. 권혜진, "마이크로티칭 분석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자기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4권, pp.77-99, 2013. 

  26. 성소영, 심향분,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시연 및 실제 교육활동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91-114, 2014. 

  27. 이대균, "예비유아교사들의 첫 모의수업에 나타난 수업의 특징과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267-288, 2012. 

  28. 김은정, 김경철, "예비유아교사들의 첫 모의수업에 나타난 수업의 특징과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267-288, 2012. 

  29. 마지순, 고은현,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pp.249-271, 2010. 

  30. 서현, 이승은,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333-363, 2015. 

  31. 강숙희,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1호, pp.209-228, 2012. 

  32. 조형숙, 문가영, "유아교사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제23권, 제1호, pp.5-29, 2019. 

  33. 조희정, 이대균,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563-587, 2012. 

  34. 배성아, 안정희,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11호, pp.393-417, 2014. 

  35. 이은진, 김정희,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4호, pp.97-118, 2014. 

  36. 임경희, "예비교사의 성격, 학습양식, 수업선호 및 지향하는 수업양식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81-104, 2006. 

  37. 김호, "유치원 수업컨설팅 현황 및 교사의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57-280, 2011. 

  38. 장영순, 유치원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9. 이영만, 유치원 초임교사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0. 김근혜,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53-74, 2020. 

  41. 유희정,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 경험과 학교현장실습 중 수업수행을 기반으로 한 모의수업에 대한 생각,"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2권, 제1호, pp.217-250, 2020. 

  42. 김경철, 김은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모의수업의 의미 탐색,"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제8권, 제9호, pp.627-636, 2018. 

  43. G. D. Borich, Observation skills for effective teaching(5th ed.), New Jersey: PEARSON, 2008. 

  44. 김경철, 박혜정,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에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제18권, 제3호, pp.309-334, 2014. 

  45. 이연승, 유희정, 강민정, "2.3년제 대학의 교육 실습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도," 어린이미디어연구, 제9권, 제2호, pp.1-18, 2010. 

  46. 박성덕, 김은정, 김경철,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4권, 제4호, pp.197-228, 2015. 

  47. 안부금,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연구, 제35권, 제5호, pp.255-280, 2015. 

  48.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2019. 

  49. 견주연, 임상도,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수행과정 및 수업 만족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6권, 제4호, pp.5-27, 2016. 

  50. 방정숙, 선우진, "예비유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25-6477, 2015. 

  51. 김남균, 유제정,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제54권, 제1호, pp.1-11, 2015. 

  52. 견주연,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 교육혁신연구, 제29권, 제3호, pp.405-425,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