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쓰기이론과 쓰기지식에 기초한 한국어 쓰기교재 분석
Analysi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Rationale and Knowledges for Writ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324 - 337  

이란 (숭실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쓰기교육 이론에 비추어 한국어 쓰기교재의 위치와 특징을 점검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고 쓰기지식 구성활동을 살펴보아 추후 교재개발에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교재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 개방코딩, 심층코딩, 표현과 제시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이 교재에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구조지식, 과정지식, 맥락지식, 내용지식의 네 차원에서 교재의 언어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특별히 내용지식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단원의 조직에서 나타난 이론적 배경과 내부 구성 및 내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네 가지 쓰기지식 역시 각 교재에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나 강조점과 비중의 차이는 있었다. 나아가 본고는 내용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교재를 드러내고 이러한 교재가 사회구성주의 쓰기교재로서 바람직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쓰기교재 개발과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in the rationales for writing education. Also, it explored the activities of writing knowledge formation based on the rationales in order to further propose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나아가 본 연구는 글쓰기에 활용되는 지식들의 유형들을 정리해보고 그 유형별 지식들을 수업 중 제공, 활성화, 지도하는 활동들이 각 교재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도 살핀다. 글쓰기에 활용되는 지식들을 쓰기교육의 흐름과의 관련성 속에서 살피고, 특히 사회 구성주의 쓰기교육에서 강조되는 '내용지식'의 교육 활동을 구체화하여 교재 분석에 활용한다.
  • 본 연구는 먼저 쓰기교육의 이론적 흐름을 살펴보고 쓰기교재로 출판된 몇 권의 교재를 살펴 이러한 이론들이 교재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현대 쓰기교육의 흐름은 인지주의를 거쳐 사회 구성주의 단계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목적 쓰기교재의 구성에 나타난 이론적 배경 속에서 글쓰기 지식들의 구성과 활용양상을 살펴 심층 논의하고 이후 교재편찬에 참고할만한 시사점들을 제언하는 데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서종학, 이미향, 박진욱, 한국어 교재론, 한국문화사, 2020. 

  2. 이란, "선교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pp.166-177, 2018. 

  3. 이미혜, "한국어기능교육론2(쓰기)," 한국어교육론, pp.157-182, 2016. 

  4. 사미자, 인간 발달과 기독교교육, 한국장로교출판사, 2012. 

  5. L. Flower and J. R. Haye, "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Vol.32, No.4, pp.365-387, 1981. 

  6. 주재우,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작문연구, Vol.11, pp.1-25, 2010. 

  7. 박현이, 김화선, "협력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기업 홍보 글쓰기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Vol.12, pp.333-358, 2011. 

  8. K.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Zondervan Pub House, 2012. 

  9. 최영미 등, 독서와 토론, 박이정, 2018. 

  10. L. S. Vygotsky, 사고와 언어(Thought and Language, 1986), 교육과학사, 2011. 

  11. 정다운, 내용지식 구성을 위한 협력적 쓰기교육 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2. 서아람, 안기정,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4, pp.83-119, 2019. 

  13. A. A. Rubiaee, S. Darus, and N. Abu Baker, "The Effect of Composing Argumentative Essays," Arab World English Journal, Vol.10, No.4, pp.263-287, 2019. 

  14. C. Tribble, Wri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5. 문선희, 김은주, 이삼형, "작문교육 관점에서 대화주의와 신수사학 비교 교찰," 국어교육학연구, Vol.46, pp.365-386, 2013. 

  16. 이란, "글쓰기 교육에서 음악과의 융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pp.88-100, 2020. 

  17. 최은지, "학문목적 한국어 작문교육을 위한 내용지식 지도방안," 한국어교육, Vol.23, No.4, pp.419-440, 2012. 

  18. 이수정, 내용지식의 강화와 통합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 Vol.14, No.3, pp.169-188, 2003. 

  2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1, 아카데미프레스, 2013. 

  21.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22.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12. 

  23. M. G. Moore, "Three Types of Intera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3, No.2, pp.1-7, 1989. 

  24. V. Chayata and P. Wasandsomsithi, "The Effect of the Awareness Approach on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International Forum of Teaching and Studies, Vol.13, No.1, pp.11-22, 2017. 

  25. 장지혜, "대화주의 관점에서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연구," 작문연구, Vol.31, pp.203-228, 2016. 

  26. 조해숙, "한국어 문화교육론,"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2, pp.409-434, 아카넷, 2013. 

  27. 이란, "한국어 문화교육과 표현활동의 통합적 다양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pp.681-692,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