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판 미의 광범위한 개념 척도(K-BCBS)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359 - 366  

안분숙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현진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CBS(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는 내면적 미의 척도로 개인의 내면적 미의 기준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번안과정을 거쳐 구성된 최종 한글판 BCBS 9문항을 사용하여 여자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글판 BCBS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Cronbach's 𝜶는 0.878, 주관적 미 0.874, 신체적 미 0.808, 심리적 미 0.880로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한글판 BCBS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한글판 BCBS는 여성의 광범위한 미의 개념을 종합하여 평가하는 유용한 측정도구로 입증되었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내면화된 미의 전문적인 발전과 연구에 활용되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CBS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 is a measurement tool designed to evaluate the standards of an individual's inner beauty. In this stud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were verified for 100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the final Korean version BCBS 9 questions that were formed through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내면적인 미의 평가기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Tylka와 Iannantuono가 개발한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BCBS)를 국내 실정에 맞춰 수정 및 보완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우리나라 여자대학생들의 내면적 미의 기준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Tylka와 Iannantuono의 미의 척도 측정 도구를 번역, 수정, 보완하여 한글판 BCBS를 개발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이하나, 박옥련, "남성의 연령별 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13권, 제6호, pp.891-901, 2015. 

  2. 이현옥, 구양숙, "대학생의 외모유용성과 외모 관련 변인들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0-39, 2017. 

  3. L. J. Heinberg, J. K. Thompson, and S. Storm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SATQ),"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17, No.1, pp.81-89, 1995. 

  4. J. K. Thompson and E. Stice, "Thin-Ideal Internalization: Mounting Evidence for a New Risk Factor for Body-Image Disturbance and Eating Patholog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0, No.5, pp. 181-183, 2016. 

  5. 장미숙, 여성의 외모관리와 체형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6. 이승희, 이시원, "성별에 따른 공적 자기의식, 신체이미지, 사회문화적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패션비지니스회, 제13권, 제5호, pp.45-54, 2009. 

  7. 홍수남, "20~30대 여성의 미의식과 신체만족도가 외모자가인식에 미치는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지, 제15권, 제4호, pp.483-492, 2014. 

  8. 강평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9. L. J. Heinberg, J. K. Thompson, and S. Stom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17, No.1, pp.81-89, 1995. 

  10. 홍금희,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가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8권, 제1호, pp.48-54, 2006. 

  11. 이인숙, "성형광고노출이 외모만족도 및 성형수술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모기준 내면화의 매개변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지, 제16권, 제3호, pp.49-76, 2016. 

  12. T. L Tylka and A. C. Iannantuono, "Perceiving beauty in all women: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 Body Image, Vol.17, pp.67-81, 2016. 

  13.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제26권, 제2호, pp.329-349, 2007. 

  14. S. Parker, M Nichter, N. Vuckovic, C. Sims, and C. Ritenbaugh, "Body image and weight concerns among African American and White adolescentfemales: Differences that make a difference," Human Organization, Vol.54, No.2, pp.103-114, 1995. 

  15. R. M. Calogero, S. ntleff-Dunn, and J. K. Thompson(Eds.). "Self-objectification in women: Causes, consequences, and counteractio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48, No,11, pp.187-21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