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merican English Vowels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285 - 294  

초미희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국어 습득과 달리 제2언어 또는 외국어 습득 분야에서는 발화와 인지의 관계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EFL 대학생들의 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테스트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인지와 발화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명의 수도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서 발화와 인지의 선행관계와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의 선행관계는 전체 모음의 결과에서 발화와 인지 정확도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인지 선행론이나 발화 선행론에 대한 증거가 되지 못했다. 개별 모음에서는 [ɛ], [α], [ɔ], [u] 모음들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 차이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모음들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발화와 인지의 선행 관계는 모음에 따라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전체 모음 뿐 만 아니라 개별 모음들에서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정확도가 높다고 해서 발화 정확도가 높거나, 거꾸로 발화 정확도가 높다고 해서 인지 정확도가 높을 만큼의 발화와 인지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언어습득은 인지와 발화를 통합하는 과정이고, Flege와 동료들이 보고한 것처럼 L2 경험이 많을수록 발화와 인지 능력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영어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EFL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는 발화와 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언어 습득 단계에 따라서 발화와 인지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현장에 접목하는 시도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tivated by the mixed results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depth through a case study on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roduce and perceive Amer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테스트 전에 설문지를 통해서 참여 대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배경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어권 국가에서 체류여부와 영어 능숙도에 대한 자가 평가 등을 통하여 참여 대학생들의 영어 능숙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영어 능숙도는 중에서 중 하로 나타났으며, 영어를 주로 교실에서 교재 위주로 배워왔으며 교실 밖에서는 영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전형적인 한국 EFL 영어 학습자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 그 후에 발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는데, 학생들이 미국영어의 11개 모음들을 포함하는 11개 단어들을 “Say ______ again."의 문장 속에 넣어서 Goldwav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녹음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 테스트는 컴퓨터 실습실에서 실행되었다. 먼저 참여대학생들의 영어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지 조사를 했으며 그 후에 인지와 발화 테스트를 위한 지침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국영어 11개 모음들에 대한 발음 기호와 각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핵심 단어들을 제시하여 단어와 발음기호에 친숙해지는 과정을 거쳤다.
  • 발화 테스트 후에 인지 테스트가 시행되었으며, 참여대학생들은 미리 준비한 원어민의 인지 테스트 자료를 헤드셋으로 듣고 원어민이 발화 테스트를 채점할 때 사용한 동일한 답안지에서 원어민들이 발음한 미국영어 모음을 고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국 학생들의 시험지는 정답에 따라서 채점되어 총 836개의 채점물이나왔다 (총 11개 모음*4명 원어민들의 발화*19명의 참여 대학생 판별).
  • 원어민 중 2명은 인지 테스트 자료를 녹음한동일한 원어민이었고 (남여 각 1명씩), 2명은 모두 남성으로 새로 모집하였으며 당시 수도권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었다. 원어민들의 채점은 참여 대학생들의 발화 파일을 듣고 미국영어 모음의 발음기호와 각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핵심 단어들이 제시된 시험지에서 참여 대학생들이 발음한 모음을 고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채점 후 총 836개의 채점물이 발생되었으며(총 11개 모음*19명의 한국인 학생들의 발화*4명의 원어민채점) 학생별로 모음별로 채점 결과를 엑셀 파일에 정리하였다.
  • 먼저 참여대학생들의 영어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지 조사를 했으며 그 후에 인지와 발화 테스트를 위한 지침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국영어 11개 모음들에 대한 발음 기호와 각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핵심 단어들을 제시하여 단어와 발음기호에 친숙해지는 과정을 거쳤다. 그 후에 발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는데, 학생들이 미국영어의 11개 모음들을 포함하는 11개 단어들을 “Say ______ again.
  • "의 문장 속에 넣어서 Goldwav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녹음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제출된 학생들의 녹음은 Goldwav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편집하였는데, 인지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참여 대학생들의 발화에서 단어만 추출하여 무작위로 섞고 단어와 단어 사이에 약 5초씩 간격을 두었다. 이렇게 학생별로 총 19개의 발화 파일들을 만들었다.
  • 한국 학생들의 시험지는 정답에 따라서 채점되어 총 836개의 채점물이나왔다 (총 11개 모음*4명 원어민들의 발화*19명의 참여 대학생 판별). 참여 대학생들의 발화와 인지 테스트 결과는 학생별, 모음별, 테스트별로 엑셀에 정리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 참여 대학생들은 총 19 명(남학생: 14, 여학생: 5)으로 남학생들이 많았고 참여대학생들의 평균 나이는 22세였다. 테스트 전에 설문지를 통해서 참여 대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배경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어권 국가에서 체류여부와 영어 능숙도에 대한 자가 평가 등을 통하여 참여 대학생들의 영어 능숙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의 발화와 인지 테스트에는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의 학부생들이 참여하였다. 참여 대학생들은 총 19 명(남학생: 14, 여학생: 5)으로 남학생들이 많았고 참여대학생들의 평균 나이는 22세였다.
  • 본 연구의 발화와 인지 테스트에는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의 학부생들이 참여하였다. 참여 대학생들은 총 19 명(남학생: 14, 여학생: 5)으로 남학생들이 많았고 참여대학생들의 평균 나이는 22세였다. 테스트 전에 설문지를 통해서 참여 대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배경을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 전술한 바와 같이 인지 정확도가 발화 정확도보다 유의하게 높으면 전통적인 인지 선행론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고, 역으로 발화 정확도가 인지 정확도보다 높으면 발화 선행론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발화와 인지 사이의 선행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 대학생들의 미국영어 모음의 발화 정확도와 인지 정확도 평균이 유의하게 다른지 전체 모음과 개별 모음에 대한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 모음의 종류에 따라서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지, 테스트의 종류에 따라서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모음의 종류와 테스트의 종류 두 요인 간에 교호작용 (interaction)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행하였다. 검정 결과 모음의 효과가 유의하게 있었으므로 (F(10, 396)=16.
  • 발화와 인지 정확도 전체 평균에 대한 상관관계 뿐만 아니라 개별 모음별로도 발화와 인지 정확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표 3]과 같이 개별 모음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에 대한 피어슨(Pearson) 상관계수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 V. Clark and B. F. Hecht, "Comprehension, production, and language acquisition," Annual Reviews of Psychology, Vol.34, pp.325-349, 1983. 

  2. N. O. Schiller and A. S. Myer, "Introduction to the relation between speech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honetics and Phonology in Languag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De Gruyter Mouton, pp.1-7, 2003. 

  3. P. Jusczyk, The Discovery of Spoken Language, MIT Press, 1997. 

  4. J. Pater, "Bridging the gap between receptive and productive development with minimally violable constraints," Constraints in Phonological Acqui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219-244, 2004. 

  5. J. E. Fledge,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Theory, findings and problems," Speech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erience: Issues in Cross-language Research, York Press, pp.233-277, 1995. 

  6. A. Bradlow, D. Pisoni, R. Akahane-Yamada, and Y. Tohkura, "Training Japanese listeners to identify English /r/ and /l/: Some effects of perceptual learning on speech productio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101, No.4, pp.2299-2310, 1997. 

  7. E. Dupoux, K. Kakehi, Y. Hirose, C. Pallier, and J. Mehler, "Epenthetic vowels in Japanese: A perceptual illus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25, No.6, pp.1568-1578, 1999. 

  8. J. Archibald, "The acquisition of English stress by speakers of nonaccentual languages: Lexical storage versus computation of stress," Linguistics, Vol.35, pp.167-181, 1997. 

  9. S. Guion, "Knowledge of English word stress patterns in early and late bilingual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acquisition, Vol.27, No.4, pp.503-533, 2005. 

  10. A. Sheldon and W. Strange, "The acquisition of /r/ and /l/ by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Evidence that speech production can precede speech perception," Applied Psycholinguistics, Vol.3, pp.243-261, 1982. 

  11. R. A. Yamada, W. Strange, J. S. Magnuson, J. S. Pruitt, and W. D. Clark, "The intelligibility of Japanese speakers' production of American English /r/, /l/, and /w/, as evaluated by native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In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oken Language Processing, pp.2023-2026, 1994. 

  12. J. Flege, O. S. Bohn, and S. Jang, "Effects of experience on non-native speaker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Journal of Phonetics, Vol.25, pp.437-470, 1997. 

  13. K. de Jong, Y. Hao, and H. Park, "Evidence for featural units in the acquisition of speech production skills: Linguistic structure in foreign accent," Journal of Phonetics, Vol.37, 2009. 

  14. S.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L2 English stress acquisitio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Vol.12, No.3, pp.661-685, 2006. 

  15. E. Sung, "Phonotactic knowledge in L2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Vol.15, No.2, pp.231-262, 2009. 

  16. S. Shin, "Research on mutual transfer of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learning: focusing on English phonemes and phonotactics," The Journal of Modern British & American Language & Literature, Vol.30, No.2, pp.47-73, 2012. 

  17. M. Kato and M. Baese-Berk, "The effect of input promp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non-native sounds," Journal of Phonetics, Vol.79, pp.1-20, 2020. 

  18. S. Lee and M. Cho, "A comparison of vowel perception between American English and British English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20, No.7, pp.203-211, 2020. 

  19. M. Yavas, Applied English Phonology, Wiley Blackwell, 2016. 

  20. S. Lee and M. Cho, "Predicting L2 vowel identification accuracy from cross-language mappings between L2 English and L1 Korean," Language Sciences, Vol.66, pp.183-198, 2018. 

  21. G. E. Peterson and H. L. Barney, "Control methods in a study of the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n, Vol.24, pp.175-184, 1952. 

  22. B. Yang,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Vol.24, pp.245-261, 1996. 

  23. R. Wardhaugh,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TESOL Quarterly, Vol.4, No.2, pp.123-130, 1970. 

  24. D. Liu, G. S. Ahn, K. S. Baek, and N. O. Han, "South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code switching: Questions and challenges in the drive for maximal use of English in teaching," TESOL Quarterly, Vol.38, No.4, pp.605-638, 2004. 

  25. S. Jin, "A comparative study of two university English language classrooms, an ESL classroom in the U.S. vs. an EFL classroom in Korea: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ing, Vol.24, No.4, pp.195-22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