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MO 온실가스 감축 조치의 국가별 영향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s of IMO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7 no.2, 2021년, pp.286 - 294  

김보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연구본부) ,  안영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해사기구는 해운에 의한 기후변화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왔으며, 특히 2018년 채택 선박 온실가스 배출 감축 초기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한편 이를 배경으로 회원국들은 IMO 제5차 온실가스 회기간 작업반 회의(ISWG-GHG: Intersessional Working Group on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에 다양한 감축 조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각 회원국들의 영향평가 측정방법은 평가 시 고려하는 항목이 상이하며, 이로 인해 국가별 영향평가의 객관적인 비교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실제로 회원국들이 IMO에 제출한 영향평가 측정방법의 분석 시 회원국마다 영향평가 절차나 영향평가 시에 고려하는 항목이 서로 상이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각국의 다양한 조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바 IMO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23년 이전에 영향평가 측정 시의 평가항목 등을 표준화하는 등 모든 국가가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영향평가 측정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조치의 영향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영향평가 세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각국 감축 전략의 실효성을 비교할 수 있는 세부 가이드라인을 도출 시 이를 통해 GHG 감축을 주도하는 해사환경 선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been seeking measures to prevent climate change caused by shipping and actively discussing the initial strategy of reducing ship greenhouse gas emissions adopted in 2018. Member states are proposing various reduction measures in the IMO's 5th Interna...

주제어

참고문헌 (17)

  1. Chen, J., Y. Fei, and Z. Wan(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global maritime fleets and GHG emission from shipp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242, pp. 31-39. 

  2. CSC(2019), ISWG-GHG 6/2/13, IMO Document. 

  3. Denmark(2019), ISWG-GHG 6/2/1, IMO Document. 

  4. Denmark, France and Germany(2020), ISWG-GHG 7/2/20, IMO Document. 

  5.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of Korea (2020), https://www.law.go.kr/. 

  6. Greece(2019), ISWG-GHG 6/2/5, IMO Document. 

  7. Greece, Japan, Norway and ICS(2020), ISWG-GHG 7/2/8, IMO Document. 

  8. IMO(2020), https://www.imo.org/. 

  9. IMO Circular(2019), MEPC.1/Cic.885. 

  10. Japan and Norway(2019), ISWG-GHG 6/2, IMO Document 

  11. Jin, S. J., S. H. Park, and S. H. Yoo(2016), Estimating the Market Siz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and Analyzing Their Economic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2, No. 5, pp. 536-546. 

  12. Kim, D. H.(2010), Global Wanning Effect on Marine Environments and Measure Practices against Global Wan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6, No. 4, pp. 421-425. 

  13. Kim, T. Y., J. I. Park, and J. H. Maeng(2014),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uideline for Tidal Current Energy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4, pp. 345-357. 

  14. Li, K., M. Wu, X. Gu, K. F. Yuen, and Y. Xiao(2020), Determinants of ship operators' options for compliance with IMO 2020,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Vol. 86. 

  15. Norway(2019), ISWG-GHG 5/4, IMO Document. 

  16. Sieber, S., T. S. Amjath-Babu, P. Reidsma, H. Koenig, A. Piorr, I. Bezlepkina, and K. Mueller(2018), Sustainability impact assessment tools for land use policy advice: A comparative analysis of five research approaches, Land Use Policy, Vol. 71, pp. 75-85. 

  17. Yi, Y. M., E. J. Jun, D. I. Lee, and G. Y. Kim(2019), The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Impact Assessment for Project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 Rest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5, No. 1, pp. 34-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