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무력감,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ticultural Program Using Vertical Garden on Helplessn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2, 2021년, pp.291 - 296  

김미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  임동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무력감, 우울증,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6 월부터 10월까지 서울 E 병원 재활병원에 입원한 만성 정신장애 환자 21명에게 적용됐다. 그룹은 실험군 (N = 21)으로 주 5회 치료를 받았다. 20 주 동안, 각 세션은 30분 동안 지속하였다. 실험 그룹의 환자들은 일상적인 활동을 위한 인지 및 훈련을 향상시키는 치료를 결합한 일반 작업치료 4세션과 수직 정원을 사용하는 원예프로그램의 1세션을 하였다. 원예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 평가를 위해 무력감, 우울증 및 자존감을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실험군 환자의 무력감 평균 점수는 47.38에서 46.47로 0.91점 감소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실험군 환자의 우울증 평균 점수는 사전에 9.23 사후 6.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 = 0.035). 실험군 환자의 자존감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27.99에서 31.13로 3.14점 증가했다 (p = 0.001). 이 결과는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무력감, 우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며, 만성 정신장애의 지역사회로의 회복을 위해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으로 폐쇄적 치료공간에서 정신장애인들의 무력감이 회복되고 이러한 치료공간의 증가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dening programs using vertical gardens on helplessn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This study was applied to 21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who were admitted to the rehabilitation hospi...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9)

  1. Shin, M. S., M Lee, J Choi, S Seo, E Noh, J Cho, JS Kwon, et al. (2015). The Effect of a Smartphone-based Memory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ing in Old-aged Adults: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Health 

  2. Kim, M. S., Park, S .Y., young, Choi, J. S., (2020). Differences in Soci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Readmission and Dehospitalization in Long-Term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oi:10.16946/kjsr.2020.23.1.38 

  3. Kim, M.E., Yoo, K.H.,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s of Emotion Coaching for Adolescents in Suicidal Crisis. Scientific journal. 40: 109-137 

  4. Kim, N.R., Kim, M.S., Kwon, J.H., (2005). A Study on The Recovery of Korean Chronic Schizophrenic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4):739-754 

  5. Smitherman, G. W., (1981). nursing actions for helth promotion. philadelphia:davis,337-343. 

  6. Kim, J. S., Sim, M. J., Kwon, I. S. (2018).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Adolescents, JCCT, 4(4):57-65. https://doi.org/10.17703/JCCT.2018.4.4.57 

  7. Han, Y. S., Han, E. S., Hwang, T. Y. (1996). The relation between the ego function and the job adjustment in the chronic schizophrenics. The Bulletin of Yong-in Psychiatric Institute. 3(1):38-46. 

  8. Kim, C. K. (1996). Hospital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cs. 정신보건 1(1):5-11 

  9. Marcus, C. C., Barnes, M. J. (1999). Marcus, C.C. and M.J. Barnes. 1999. Heading garde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10. Son, K.C. 1999. Horticultural therapy.J. Reh. Psychol. 6(1):25-44. 

  11. Kim, M. Y.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on the Physcial and Psychological in hemiplegia patient after Stroke.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8(5):884-890 

  12. Lee, H. J. (2017).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1):63-68 

  13. Shin, J. S. (1993). The effect of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on power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J Nurs Acad Soc. 23(1):107-117. 

  14. Jeon, B. J.(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e abilit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Journal. 11(1):107-130. 

  15. Beck. A.T.(1967).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 

  16. Kavangh, J. 1998. Outdoor space and Adaptive Gardenins:Degin, Techique and Tool. 287-316 

  17. Relf, D. (1981). Dynamics of horticultural therapy. Rehab Lit. 42(5-6):147-150. 

  18. Jeong, S. H., Huh, M. R., Lee, B. H., Park, J. C. (2006). Effect of Horticulture Therapy on the Self-esteem of geriatric patients. J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4):79-87 

  19. Chae, J. H., Paik, I. H., Lee, K .H., Lee, C. K. (1997). Comparison of Soft Neurologic Signs in Neuroleptic-naive, Treated, and Chronically Institutionalized Schizophrenic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6(2):252-2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