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 동향과 사례 연구
International Trends in Public Library Performance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5 no.2, 2021년, pp.111 - 130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최영옥 ,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신영 (경일대학교 아동문헌정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국제적 동향과 해외 성과평가 실무 동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성과평가에서 현재 주류적으로 적용되는 이론모델로 논리모델을 검토하는 한편 해외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실제를 미국 동부 세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직접 방문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함으로써 사례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전후부터 국제 도서관계의 성과평가는 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삶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실제적 영향력을 측정하는 경향이 주류를 이루며 이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측정방법에 대한 국제 가이드라인과 함께 국가 차원의 성과지표 개발 노력 역시 활발하다. 개별 공공도서관들도 그 지역의 발전계획에 따라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도서관 성과도 그에 따라 측정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기존의 단순 산출지표를 넘어 장기적으로 지역주민 삶과 지역발전을 위해 어떤 변화를 만들었는지 그 영향력을 측정하는 성과지표가 강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성과평가 실무에서 활용되는 영향지표는 여전히 미흡하여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national trends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We examined major theoretical mode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s measurement guidelines and tools in the literature. We also conducted case studies to investigate actual practices in ma...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3)

  1. Lee, S.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use of program logic models: 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econdhand Smoking Free Seoul! Program. Korean Governance Review, 18(1), 211-243. 

  2. Chung, S. & Lee, H. (2015). A service level agreement-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 IT balanced scorecard and logic model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Management Engineers Society, 20(2), 1-15. 

  3.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5). Libraries Transform, an Initiative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vailable: http://www.ilovelibraries.org/librariestransform/ 

  4. Bickman, L. (1987). The functions of program theory.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33, 5-18. 

  5.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2015). Global Libraries Impact Planning and Assessment Guide. Available: http://www.publiclibraryadvocacy.org/wp-content/uploads/2015/06/IPA-Guide-2015.pdf 

  6. Creaser, C. (2018). Assessing the impact of libraries: the role of ISO 16439. Information and Learning Sciences, 119(1/2), 87-93. 

  7. District of Columbia Public Library Homepage (2021). Available: https://www.dclibrary.org/ 

  8. Dyehouse, M., Bennett, D., Harbor, J., Childress, A., & Dark, M. (2009). A comparison of linear and systems thinking approaches for program evaluation illustrated using the Indiana lnterdisciplinary GK-12.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32(3), 187-196. 

  9. Fairfax County Public Library Homepage (2021). Available: https://www.fairfaxcounty.gov/library/ 

  10. Free Library of Philadelphia Homepage (2021). Available: https://www.freelibrary.org/ 

  11. Hoe, N., Apgar, S., Meyers, A., Pierce , J., & Springstubb, D. (2017). Impact evaluation report. Free Library of Philadelphia. Available: https://libwww.freelibrary.org/assets/pdf/about/impact-evaluation-report.pdf 

  1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4). ISO 11620:201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s. Available: https://www.iso.org/standard/56755.html 

  1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4). ISO 16439:201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Libraries. Available: https://www.iso.org/standard/56756.html 

  14.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Using Logic Model to Bring Together Planning Evaluation, and Action. Battle Greek, MI: W. K. Kellogg Foundation. 

  15. Matthews, J. (2006). The library balanced scorecard: is it in your future? Public Libraries, 45(6), 64-71. 

  16. Matthews, J. (2015). Assessing outcomes and value: it's all a matter of persp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16(3), 211-233. 

  17. Matthews, J. (2018). Management frameworks and the broader perspective. Public Library Quarterly, 37(3), 263-278. 

  18. McLaughlin, J. & Jordan, G. (1999). 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s performance story.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19. National Impact Evaluation Group (2013). Impact of Libraries. Available: https://wiki.helsinki.fi/display/arvi/Theory 

  20. New York Public Library. Homepage (2021). Available: https://www.nypl.org/ 

  21. Orr, R. (1973). Measuring the goodness of library services. Journal of Documentation, 29(3), 315-52. 

  22. Public Library Association (2017). Project Outcome: 2017 Annual Report. Available: https://www.projectoutcome.org/ckeditor_assets/attachments/359/pla-projectoutcome-2-year-annual-report-final.pdf 

  23. Rochester Public Library Logic Model (2021). Available: https://www.wilder.org/wilder-research/research-library/rochester-public-library-logic-mode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