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지역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 사회 참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derly's ADL,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on Suicidal Ideation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2, 2021년, pp.105 - 118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ctivities Daily Living(ADL)(physical health), depression(mental health), social participation(social health)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184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in one coun...

주제어

참고문헌 (50)

  1. 권중돈. (2013).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2. 김기태 외 5명. (2011). 가족구조와 심리사회적 요인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205-228. 

  3. 김근아. (2009). 사회참여활동유형과 알코올 사용에 관한 고찰-지역사회노인을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6(3), 1-18. 

  4. 김동배, 손의성. (2005).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5(4), 167-187. 

  5. 김종기, 전진환. (2009). 국내 MIS 연구에서 구조 방정식모형 활용에 관한 메타분석.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4), 47-75. 

  6. 김종일, 최혜지. (2006). 쉽게 쓴 노인복지론. 서울: 청목출판사. 

  7. 김창진, 황진수. (2008). 노인성 질환과 우울증이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 한국노년학, 28(3), 425-442. 

  8. 노갑렬. (2019).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사회 환경적 요인, 심리적 안녕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용인: 칼빈대학교 대학원. 

  9. 박봉길, 전석균. (2006).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58-90. 

  10. 반금옥, 김혜자. (2012).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우울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한국농촌간호학회지, 7(1), 19-27. 

  11. 보건복지부. (2020). 2020 자살예방백서. 세종: 보건복지부. 

  12. 배진희. (2011). 노인 자살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21(1), 39-67. 

  13. 배진희, 엄기욱. (2009). 노인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지, 29(4), 1427-1444. 

  14. 백정만, 전상남. (2020).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1(2), 1-14. 

  15. 서문진희, 이현아. (2011).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4, 361-385. 

  16. 송영달, 손지아, 박순미. (2010).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30(2), 643-660. 

  17. 신근영. (2016).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강릉: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18. 신복기, 이성진. (2016). 한국 노인들의 은퇴이후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6, 1-33. 

  19. 선우덕 외 5명. (2014). 노인 보건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엄인숙. (2012). 노인의 생활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22(1), 73-90. 

  21. 오지현. (2021). 노인의 신체적 기능,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대전: 충남대학교 대학원. 

  22. 오창석. (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179-191. 

  23. 이묘숙. (2012).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대회, 2(1), 28-44. 

  24. 이은석, 이선장. (2009). 농촌지역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2), 35-54. 

  25. 이종경, 이인주. (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 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 34(3), 17-26. 

  26. 이홍식 외 31명. (2002). 자살의 이해와 예방. 서울: 학지사. 

  27. 양옥경, 주소희. (2011). 독거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 321-347. 

  28. 정진영, 김동현. (2016). 독거노인 자살예방사업의 효과 평가-서울시 노원구 사례. 대한보건연구, 42(3), 39-52. 

  29. 정진영, 이수인. (2017).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신체적 건강문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43(4), 59-72. 

  30. 정명희, 허성희. (2017).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2(1), 305-333. 

  31.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32. 최봄이. (2021). 노년기 사회적 고립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 사회통합의 조절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33. 최영애. (2003). 노인들의 우울, 자존감 및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1, 27-47. 

  34. 통계청. (2020). 2019 사망원인통계. 대전: 통계청. 

  3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017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황혜남, 변혜선. (2021).여성 노인의 자살위험 영향 요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2(2), 297-307. 

  37. Beck, AT, Rush AJ. (1978).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and Suicide.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32(2), 201-219. 

  38. Bonnewyn, A, Shah A, Demyttenaere K. (2009). Suicidality and suicide in older peopl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9, 271-294. 

  39. Canetto SS, Sakinofsky I. (1998). The gender paradox in sui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8(1), 1-23. 

  40. Cheong KS 외 6명. (2012). Suicide rate differences by sex, age, and urbanicity, and related regional factor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5(2), 70-77. 

  41. Cumming E, Henry W. (1961). Growing Old: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ew York: Basic Books. 

  42. Eric AP, Petek M, Tusic R, Cubra M. (2013. 6). Depression and suicidality among elderly patients after suffering a stroke. 53rd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Congress. Pula. 

  43. Handley TE 외 6명. (2012). You've got to have friends: the predictive value of social integration and support in suicidal ideation among rural communiti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7(8), 1281-1290. 

  44. Havighurst RJ. (1968). A social-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The Gerontologist, 8(2), 67-71. 

  45. Masuda N, Kurahashi L, Onari H. (2013). Suicide ideation of individuals in Online Social Networks and impulsive, Plos One, 8(4), 1-8. 

  46. Kumar, G, Steer R. (1995). Psychosocial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3), 339. 

  47. Kumar, PS, Anish PK, George B. (2015). Risk factors for suicide in elderly in comparison to younger age groups. Indian journal of psychiatry, 57(3), 249. 

  48.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Spring). 

  49. Rowe JW, Kahn R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50. Rowe JW, Kahn R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