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서비스 구성원의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urnover Intention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China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elf-Effica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6, 2021년, pp.47 - 52  

황란쥔 (호남대학교 경영학과) ,  진춘화 (호남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의 핵심요소인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에 초점을 맞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직무특성의 핵심요소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의 서비스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직무특성의 하위요인들인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모두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은 기술다양성, 자율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직무특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서비스업 기업과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서비스업 기업의 실무자에게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key elements of job characteristics such as technical diversity, task identity, task importance, autonomy, and feedback. Moreover, it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se five element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Self-Efficacy. To verify this, a...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1)

  1. J. W. Lee. (1997). The Mediating Role of Job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Attitudes.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5(1), 87-122. 

  2. J. R. Hackman & G. R. Oldham.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170. 

  3. W. H. Mobley. (1977).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238. 

  4.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5. S. K. Lee., D. G. Choi., D. Y. Kim., E. G. Kang., & S. M. Lee.(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o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7), 113-121. 

  6. Y. G. Kim.(2014). A study on influences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and self-efficacy up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7. J. R. Hackman & G. R. Oldham.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170. 

  8. J. R. Hackman & G. R. Oldham. (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6(2). 250-279. 

  9. M. H. Lee.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Doctoral Dissertation. Baejae University, Daejeon. 

  10. A. Bandura. (1994). Self-Efficacy. Encyclopedia of psychology, 2(3), 368-369. 

  11. J. R. Hackman & G. R. Oldham.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170. 

  12. Ilgen, D. & Hollenbeck, J. R.(1991). The Structure of Work: Job Design and Roles, In Dunnette, M. D., Hough, L. M(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 165-207.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 

  13. Y. Park. (2019). Management plan through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practice in public service.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4. S. H. Kim. & J. S. Kim. (2020).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urnover Intention and Self-efficacy on Job Stress in New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1), 547-558. 

  15. H. K. Hong. (2012).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embeddedness innovation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16. H. S. Choi. (2016).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x among Job Autonomy,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1(8), 235-252. 

  17. Y. S. Choi. (2017). Influences of Job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of Elderly Care Fac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Korea Academy of Care Management, 24, 57-85. 

  18. W. M. Choi. (2019).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disabled daycare facilit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University, Seoul. 

  19. W. J. Kim. (2010).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relationship ch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tel employees according to perceived support. Doctoral Dissertatio.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 J. H. Lee. (2014).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Positive Capital,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Focusing on the employees of food and beverage departments of five-star hotels in Seoul. Doctoral Disserta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H. J. Kim. (2018).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General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