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장소의 수직정원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Vertical Garden in Public Places for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6, 2021년, pp.75 - 81  

김철수 (부경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및 목적)도시 발전은 친환경 산업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공공 장소환경에서 시민들은 여러 분야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진정으로 자연 생태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건물 내부의 도시환경 공간을 식물과 함께 호흡하는 친환경적인 도시공공 시설로의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직정원을 통해 도시환경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수직정원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 도시의 공공장소 환경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 보완을 수직정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연구결과) 도시의 공공장소환경에 대한 연구 결과 우울한 환경, 열악한 공간 활용, 희미한 색상, 열악한 공기 질 등의 문제점을 발견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직정원을 조성하여 쾌적한 쉼터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러한 수직정원은 도시공공장소에 심미성 개선, 사회 가치 증가, 건물의 단열 및 방음 효과, 도시 열섬 효과 감소, 도시 녹색 환경 증가 등의 영향을 가져왔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 장소공간에서 수직정원을 이용하여 더욱 쾌적하고 정신건강과 신체적인 건강을 함께 공유하는 공공장소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Urban development ha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friendly industry. In the public environment, citizens are stressed in many areas, which has really made them need a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1)

  1. H. Y. Cho & S. T. Kim. (2015). Research on the gender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recognition through path finding in subway st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0(4), 41-53 

  2. D. N. Buck. (2006). Asia now: architecture in Asia. Prestel. 

  3. K. S. Jung. (2009). Development of spatial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for child-friendly residential communities.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4. K. Albarn & J. M. Smith. (1977). Diagram : the instrument of thought. Thomas & Hudson. 

  5. K. G. Lee, D. S. Kim & J. G. Choi. (2001). Electroencephalogram. Ko Ryeouihak. 

  6. Y. J. Lee & J. K. Lee. (2010). A Study on the Visual-Perceptive Sequence by Gestalt law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5(3), 47-56. 

  7. D. J. Shin & J. Y. Kim. (2016). A Study on Study Types of Healing Spaces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Study Trend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re of Culture Architecture, 55, 27-34. 

  8. Y. J. Lee. (2014.06). Research on Visual Perception Continuity in Square Open Space Design - National Symbol Road. Around Gwanghwamun Square -. Hongik University, Seoul.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Urban Agriculture Research Team. (2014). 'Green Healing Office' with 2% plants in the office-Indoor plants are good for health and mental stability, 2%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volume of space. 

  10. Z. Zhuan. (2010). Green Building Design Principles. Beijing : China Building Industry Press. 

  11. D. H. Lee. (2018.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hown in upcycling fashion brand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2. W. Chunyan. (2014). Interior Green Decoration and Design, 3rd Ed. Shanghai :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Press. 

  13. Q. Kang & Yang Weiju. (2011). Green Building Design and Technology. Nanjing : Southeast University Press. 

  14. L. Baizhan. (2007). Introduction to Green Building. Beijing : Chemical Industry Press. 

  15. M. Esther & M. D. Sternberg. (2013). Space Saves the Mind 

  16. X. Yang & W. Zhanzhu. (2011). Outdoor Environment Landscape Design. Shanghai : Shanghai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17. L. Fuying. (2013). Green Building Design Strategy. Beijing : China Building Industry Press. 

  18. W. Xiangrong & Lin Guan. (2005). Theory and Practice of Western Modern Landscape Design. Beijing : China Architecture and Building Press 

  19. S. J. Yang. (2011.11).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green design policies and strategies for creating sustainable cities fo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M. A. Lee. (2014.10). Hea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Development Self-Efficacy Sensitivity Development. Dong-Pusan College, Busan. 

  21. E. H. Jeong. (1997).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al design by ecological approach.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