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감독, 활동공유, 교육지향행동, 스마트폰 허용여부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Monitoring, Shared Activities, Education-Oriented Behavior, and Allowing Children to Own Smart-Phones on the Smart Media Usag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3, 2021년, pp.65 - 87  

김윤경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오소정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monitoring, shared activities with children, maternal education-oriented behavior, and allowing children to own smart-phones on smart media usage patterns based on smart-phone usage time and purpos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57)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2019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연구보고서 NIAVIII-RSE-C-19067).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s://www.iapc.or.kr/mediaView.do?idx28&article_idICCART_0000000113015&typeA1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연구보고서 NIAVIII-RSE-A-20017).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s://www.iapc.or.kr/mediaView.do?idx28&article_idICCART_0000000113023&typeA1에서 2021년 5월 19일 인출 

  3. 구현영, 김은정 (2015). 학령 초기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와 영향 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1), 55-63. doi:10.4094/chnr.2015.21.1.55 

  4. 김기태, 이현주, 문신일 (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네트워크 크기, 이용행태, 또래친구와의 관계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4), 5-40. 

  5.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김효진, 오미애, 정은희 등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정책보고서 2013-92).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view?typeall&seq28724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6. 김보미, 장경은, 오현미 (2019).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조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57-73. doi:10.14698/jkcce.2019.15.01.057 

  7. 김윤화 (2018). 어린이와 청소년의 휴대폰 보유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Report, 18(20), 1-7. 

  8. 김종민, 최은아 (2019).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8(4), 197-225. doi:10.21183/kjcm.2019.12.18.4.197 

  9. 김지현, 신혜영 (2013).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 내 인터넷,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이용 실태. 사이버교육연구, 7(2), 97-117 

  10. 노언경 (2019).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 분류와 예측 및 긍정적.부정적 결과 차이 검증. 교육문제연구, 32(3), 261-287. 

  11. 민미희 (2015).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73-89. doi:10.14698/jkcce.2015.11.073 

  12. 박현지, 이강원, 진승후 (2020). 코로나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Post-Digital) (연구보고서 NRF-20141223-1-20). 서울: 한국연구재단. https://www.nrf.re.kr/cms/board/library/view?menu_no419&nts_no141735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13. 백혜원, 신윤미, 신경민 (2014).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정서 및 행동의 문제. 신경정신의학, 53(5), 320-326. doi:10.4306/jknpa.2014.53.5.320 

  14. 신지형, 김윤화, 오윤석 (2020). 2020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정책자료 20-15-02).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s://www.kisdi.re.kr/report/view.do?keym2101113024973에서 2021년 4월 12일 인출 

  15. 양일영, 이수영 (2011).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1), 109-139. 

  16. 엄명용, 김태웅 (2010). 디지털 콘텐츠 몰입경험: 온라인게임 사례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209-216. 

  17. 오소정, 김윤경, 박주희 (2020). 아동의 스마트 기기 사용패턴에 따른 잠재집단 프로파일 분석 사용패턴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스마트 기기 중독. 아동학회지, 41(1), 47-60. doi:10.5723/kjcs.2020.41.1.47 

  18. 오윤석 (2017). 미디어 동시 이용행태 분석: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KISDI STAT Report, 17(8), 1-5. 

  19. 이귀옥 (2020).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 사용시간 궤적과 학교적응 궤적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2(1), 105-124. doi:10.36431/JPE.12.1.6 

  20. 이성대, 염동문 (2012).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9(4), 163-181. 

  21. 이수정 (201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6), 1-8. doi:10.32431/kace.2014.17.6.001 

  22. 이재희, 김근진, 엄지원 (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연구보고서 2017-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1&manage_idx30&board_idx28266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23. 이창호, 김경희, 장상아 (201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 연구(연구보고서 13-R08).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www.nypi.re.kr/brdartcl/boardarticleView.do?brd_idBDIDX_O3aFj6GGWW6WZ3z20i95P2&cont_idx199&menu_nix8V15Pij5&edomweivgpR에서 2021년 5월 19일 인출 

  24. 이창호, 김기헌 (2017). 인터넷사회의 부모와 자녀관계에 관한 한. 중. 일 비교: 한국사례 분석(과제번호. 17-R23).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www.nypi.re.kr/brdrr/boardrrView.do?menu_nix4o9771b7&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tab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25. 이호영, 최항섭, 오주현 (2011).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이용자 정책(연구보고서 11-07). 경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 8fe3e5ce30d04e50ffe0bdc3ef48d419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26. 임양미 (2014).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 속성이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 및 활용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2), 163-174. 

  27. 전은옥, 최나야 (2017).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한국보육학회지, 17(1), 75-98. doi:10.21213/kjcec.2017.17.1.75 

  28. 최정원, 전현희, 오현정, 홍세희 (2020).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화 및 스마트폰 의존도와의 관계 분석- 연락 및 sns 사용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5), 331-354. doi:10.21509/KJYS.2020.05.27.5.331 

  29. 한효정, 장영은 (2020). 가족여가 및 가족의례가 아동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시간과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5(2), 141-161. doi:10.13049/kfwa.2020.25.2 

  30.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31. 현주, 이재분, 이혜영 (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연구보고서 RR-2003-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riss.kr/index.do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32. 홍세희 (2019). 잠재계층, 잠재전이, 성장혼합모형. 서울: 박영사. 

  33. Asparouhov, T., & Muthen, B. (2014).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 approaches using M pl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1(3), 329-341. doi:10.1080/10705511.2014.915181 

  34. Barron, B., Martin, C. K., Takeuchi, L., & Fithian, R. (2009). Parents as learning partners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flu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and Media, 1(2), 55-77. doi:10.1162/IJLM.2009.0021 

  35. Bian, M., & Leung, L. (2015). Linking loneliness, shynes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and patterns of smartphone use to social capital.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3(1), 61-79. doi:10.1177/0894439314528779 

  36. Clark, S. L., & Muthen, B. (2009). Relating latent class analysis results to variable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statmodel.com/download/relatinglca.pdf 

  37. Coleman, J. (2008, March). Theories of youth development: Controversies of age and stage. Paper presented at ESRC seminar, Oxford, UK. 

  38. Connell, S. L., Lauricella, A. R., & Wartella, E. (2015). Parental co-use of media technology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the USA.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9(1), 5-21, doi:10.1080/17482798.2015.997440 

  39. Genteile, D. (2009). Pathological video-game use among youth age 8 to 18: A national study. Psychological Science, 20(5), 594-602. doi:10.1111/j.1467-9280.2009.02340.x 

  40. Gentile, D. A., Coyne, S., & Walsh, D. A. (2011). Media violence, physical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school age children: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Aggressive Behavior, 37(2), 193-206. doi:10.1002/ab.20380 

  41. Heim, J., Brandtzieg, P. B., Kaare, B. H., Endestad, T., & Torgersen, L. (2007). Children's usage of media technologies and psychosocial factors. New Media & Society, 9(3), 425-454. doi:10.1177/1461444807076971 

  42. Hill, K. G., White, H. R., Chung, I.-J., Hawkins, J. D., & Catalano, R. F. (2000). Early adult outcomes of adolescent binge drinking: Person- 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of binge drinking trajectori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4(6), 892-901. doi:10.1111/j.1530-0277.2000.tb02071.x 

  43. Kostyrka-Allchorne, K., Cooper, N. R., & Simpson, A. (2017). Touchscreen generation: Children's current media use, parental supervision methods and attitudes towards contemporary media. Acta Paediatrica, 106(4), 654-662. doi:10.1111/apa.13707 

  44. Laursen, B., & Hoff, E. (2006).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pproaches to longitudinal data. Merrill-Palmer Quarterly, 52(3), 377-389. doi:10.1353/mpq.2006.0029 

  45. Lin, C. H., Lin, S. H., & Wu, C. P. (2009).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leisure boredom on adolescents'internet addiction. Adolescence, 44(176), 993-1004. 

  46. Livingstone, S., & Helsper, E. (2007). Gradations in digital inclusion: Children, young people and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9(4), 671-696. doi:10.1177/1461444807080335 

  47. Muthen, B. O. (2004). Latent variable analysis: Growth mixture modeling and related techniques for longitudinal data. In D. Kaplan (Ed.),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pp. 345-368). Thousand Oaks, CA: Sage. 

  48. Nathanson, A, I. (2015). Media and the family: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9(1), 133-139. doi:10.1080/17482798.2015.997145 

  49. Nooner, K. B., Litrownik, A. J., Thompson, R., Margolis, B., English, D. J., Knigh, E. D., et al. (2010). Youth self-report of physical and sexual abuse: A latent class analysis. Child Abuse & Neglect, 34(3), 146-154. doi:10.1016/j.chiabu.2008.10.007 

  50. Nylund, K. L., Asparouhov, T., & Muthen, B., O.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4), 535-569. doi:10.1080/10705510701575396 

  51. Pastor, D. A., Barron, K. E., Miller, B. J., & Davis, S. L. (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1), 8-47. doi:10.1016/j.cedpsych.2006.10.003 

  52. Sanders, W., Parent, J., Forehand, R., Sullivan, A. D., & Jones, D. J. (2016). Parental perceptions of technology and technology focused parenting: Associations with youth screen tim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4, 28-38. doi:10.1016/j.appdev.2016.02.005 

  53. Simpkins, S. D., Davis-Kean, P. E., & Eccles, J. S. (2005). Parents' socializing behavior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math, science, and computer out-of-school activitie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9(1), 14-30. doi:10.1207/s1532480xads0901_3 

  54. Suk, Y., Cho, Y. H., & Jeong, D. H. (2017). Profil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device usage.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8(1), 27-47. 

  55. Vaala, S. E., & Bleakley, A. (2015). Monitoring, mediating, and modeling: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 computer and internet use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9(1), 40-57. doi:10.1080/17482798.2015.997103 

  56. Vermunt, J. K. (2010). Latent class modeling with covariates: Two improved three-step approaches. Political Analysis, 18(4), 450-469. doi:10.1093/pan/mpq025 

  57. Xu, Z., Turel, O., & Yuan, Y. (2012). Online gam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Motivation and prevention factor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1(3), 321-340. doi:10.1057/ejis.2011.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