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 오염우려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Concerned Area in Gyeongnam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7 no.2, 2021년, pp.174 - 181  

차수연 (경상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생산기술공학과) ,  서양곤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지역의 오염감시전용측정망의 5년간(2013 ~ 2017) 자료를 이용하여 주오염원과 분기별 지하수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오염원은 산업단지지역, 광산·폐광산지역 및 하수처리시설로 구별하였다. 분석 항목은 현장측정 항목(수온, pH,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산화물환원전위), 양이온 그리고 음이온이었다. 수온과 pH는 주오염원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평균농도의 합은 산업단지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하수처리시설 그리고 광산·폐광산지역 순이었다. 산업단지지역에서는 전기전도도의 값이 가장 높았고, 용존산소의 값이 가장 낮았다. 산업단지지역은 나트륨이온이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인 반면 하수처리시설과 광산·폐광산지역에서는 칼슘이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주오염원에서 중탄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온, pH 그리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는 분기마다 크게 다르지 않았다. 수질유형 중 Na-HCO3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외부 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Na-Cl 유형도 오염감시전용측정망의 전체 자료 중 약 20%를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and quarter (season) by using data from the pollution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in the Gyeongsangnam-do area for five years (2013-2017).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was the industrial complex a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6)

  1. Loaiciga, H. A., Charbeneau, R. J., Everett, L. G., Fogg, G. E., Hobbs, B. F., and Rouhani, S., "Review of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esign," J. Hydraulic Eng., 118(1), 11-37 (1992). 

  2. Frapporti, G., Vriend, S. P., and van Gaans, P. F. M., "Hydrogeochemistry of the Shallow Dutch Groundwater: Interpretation of the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ater Resour. Res., 29(9), 2993-3004 (1993). 

  3. Reijnders, H. F. R., van Drecht, G., Prins, H. F., and Boumans, L. J. M., "The Quality of the Groundwater in the Netherlands," J. Hydrology, 207(3-4), 179-188 (1998). 

  4. Dawoud, M., A., "Design of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n Egypt," Environ. Monit. Assess., 96(1), 99-118 (2004). 

  5. Jousma, G., and Roelofsen, F. J., "World-wide Inventory on Groundwater Monitoring," International Groundwater Resources Assessment Centre Report GP 2004-1 (2004). 

  6. Dauhney, C. J., Raiber, M., Moreau-Fournier, M., Morgenstern, U., and van der Raaij, R., "Use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o Assess the Representativeness of a Baseline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Comparison of New Zealand's National and Regional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s," Hydrogeol. J., 20(1), 185-200 (2012).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roundwater Management Basic Plan Revision (2017~2026)," (2017). 

  8. Ministry of Environment,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Water Pollution Measurement Plan," (2017). 

  9.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tegrated National Groundwater Measurement (Observation) Network," (2019). 

  10. Kim, N, J., Cho, M. J., and Woo N. C., "Developing a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Hydrogeol. J., 3(4) 89-94 (1995). 

  11. Park, J. K., Kim, R. H., Lee, J. Y., Choi, D. H., and Kim, T. D., "Evaluation of Status of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f Korea: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J. Soil Groundwater Environ., 12(6), 92-99 (2007). 

  12. Lee, J. Y., Yi, M. J., Yoo, Y. K., Ahn, K. H., Kim, G. B., and Won J. H., "A Review of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Hydrol. Process., 21(7), 907-919 (2007). 

  13. Lee, J. Y., and Kwon, K. D., "Current Status of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in Korea," Water, 8(4) 168 (2016). 

  14. Choi, B. Y., Yun, S. T., Kim, K. H., Kim, J. W., Kim, H. M., Koh, Y. K., "Hydro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South Korean Groundwater Monitoring Data Using Self-Organizing Maps," J. Geochem. Explor., 137, 73-84 (2014). 

  15. Bang, S., Yoo, K., and Park, J., "Temporal Trend Analysis of Contamination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ata," J. Korean Soc. Water Quality, 27(1), 120-128 (2011). 

  16. Cha, S., and Seo, Y. G., "Groundwater Quality in Gyeongnam Region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th and Geological Features by Background Water Quality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Clean Technol., 26(1) 39-54 (2020).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Groundwater Annular Report," (2020). 

  18. http://sgis.nier.go.kr/ (accessed Jun. 2019). 

  19. Seo, Y. G., "A Study 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atistical Interpretations of Groundwater using Long-Term Groundwater Monitoring Data,"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uwon (2015). 

  20. Han, S. W., Kim, B. J., and Lee, G. J., "Study on the Quality of Ground Water in Kyungbuk Region 2: Study on the State of Ground Water by the Depth," J. Ind. Technol., 3(1), 434-437 (2000). 

  21. Kim, J. K., Kwon, K. A., Byeon, J. H., Park, J. H., Park, H. G., and Lim, Y. J., "Characteristic Analysis of Water Quality from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the North Area of Gyeonggi-do," J. KIHE, 20, 207-214 (2007). 

  22. Yang, K. H., "The Comparative Assessment on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Pollution Through the Best Selection of Background Area," MS Thesis, Inha University (2011). 

  23. Han, S. W., Yang, D. S., and Kim, B. J., "A Study on the Quality of Ground Water in Kyungbuk Region 4: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by Rock Types," J. Ind. Technol., 5(1), 713-718 (2002). 

  24.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xplanation of Standards of Drinking Water Quality,"(2017). 

  25. Kim, G., Choi, D., Yoon, P., and Kim K., "Trends of Groundwater Quality in the Areas with a High Possibility of Pollution," J. Kor. Geo-Environ. Soc., 11(3), 5-16 (2010). 

  26. Lee, E. J., Woo, N. C., Lee, B. S., and Kim, Y. B., "Variation in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 Farmland in Gyeonggi-do, Korea," Econ. Environ. Geol., 41(4) 393-40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