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뿔투구꽃 서식지의 입지환경 및 식생구조
Location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Aconitum austrokoreense Habitat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2, 2021년, pp.165 - 178  

조선희 (서울대학교 학술림) ,  이계한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의 멸종위기생물(식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종의 보존이나 서식지 확대를 위한 기본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시·구례군 백운산 내 서식하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식물) 2급인 세뿔투구꽃의 주요 서식지를 대상으로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환경 인자인 기상, 입지, 토양, 임분구조를 조사하여 세뿔투구꽃이 선호하는 서식지와 위협 요인을 분석하였다. 백운산 내 5개 조사지를 선정해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세뿔투구꽃 자생지의 해발고도는 420~675 m 구간, 방위는 북동쪽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경사는 15~37°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평균 개체 수는 156개체였고, 조사지 4(550 m)에서 372개체로 가장 많이 분포했고, 높이는 평균 0.6 m이었다. 토양수분은 평균 20.48%, 상대광도는 평균 7.34%였다. A층 토양은 모래 함량이 많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Sandy loam)를 선호한다고 판단된다. 서식지의 토양 pH는 평균 5.2이었고, 유기물은 평균 16.46%, 질소는 평균 0.86%, 유효인산은 평균 11.86 mg/kg, 전기전도도는 평균 0.44 dS/m, 양이온치환용량은 평균 37.04 cmolc/kg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내 총탄소량의 평균은 10.68%로 나타났다. 세뿔투구꽃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조사지 1은 잣나무-비목나무, 조사지 2는 일본목련-서어나무, 조사지 3은 느티나무-굴참나무, 조사지 4는 고추나무-비목나무, 조사지 5는 산뽕나무-때죽나무-서어나무 우점군집으로 해석되었다. 대부분의 서식지가 등산로 및 고로쇠나무 수액채취 지역과 인접해 있어서 인위적 훼손과 교란의 잠재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있는 상황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the lack of consistent research on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there are insufficient data to preservespecies and expand habitats.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red habitat and threats to the survival of Aconitum austrokoreense, found on Baekwun Mountain in Gurye-gun, Gwangyang-si, J...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7)

  1. Ahn, Y.S., Chun, G.W., Park, W.G., Kim, C.U., An, G.W., Oh, K.I., 2002. Distribution of vegetation around watershed in the western part of yeonyeobsan. Journar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Journal of regular academic presentation 2002: 164-166 (in Korea). 

  2. Bakker, J.P. 2005. Vegetation conservation, management and restoration. In Vegetation Ecolog, edited by van der maarel. Malden, Oxford, Calton: Blackwell science Ltd. pp. 309-331. 

  3. Choo, G.C., Kim, G.T. 2005.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05(2): 2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rabherr, G., Gottfried, M. and Pauli, H. 1994. Climate effects on mountain plants. Nature 369: 448. 

  5. Grime, J., Hodgson, P. and Hunt, R. 1988. Comparative Plant Ecology. Unwinhyman. London. pp. 742. 

  6. Groves, R.H. and Williams, J.D. 1975. Growth of skeleton weed as affected by growth of subterranean clove and infection by Puccinia chondrilla Bubak an and Syd.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26(6): 975-983. 

  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 Metz, O.R. Davidson, P.R. Bosch, R. Dave, L.A. Mey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8. Jang, S.W., 2019. Concepttual soilogy. Seoulgosigak Publisher. Seoul. pp. 460 (in Korea). 

  9. Jeong, J.H., Koo, K.S.,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r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eong, Y.H. 1991. 91 Survey of natural ecosystems (Gwangyang Mt. Baegun). Ministry of Environment. pp. 47-93 (in Korean). 

  11. Jin, H.H. 1994. Forest soil science. Hyanglim Publishing. Seoul. pp. 325. 

  12. Kim, J.H. et al. 2007. Modern ecology. Gyomun publishers. Paju, Korea. pp. 434 (in Korea). 

  13. Kim, W.C. 2018. Predictive analysis on natural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habitat of Aconitum austrokoreense for the designation of the wildlife refuge: Focused on Mt. Jangan region in Jangsu gun. Jeonju. Jeonbuk National University. pp. 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rea Institute for Environmental Policy Evaluation. 2001. A study on th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wildlife and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pp. 338 (in Korean). 

  15. Korea Resources Conservation Association.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designation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and protected wildlife.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pp. 162 (in Korean). 

  16. Kudoh, H., Shibaike, H., Takasu, H., Whigham, D.F. and Kawano, S. 1999. Geant structure and determinants of clonal structure in a temperate deciduous woodland herb Uvularia prefoliata. Journal of Ecology 87: 244-257. 

  17. Lee, G.J., Han, S.S., Kim, J.H. and Kim, E.S. 1999. Forest ecology. Hyangmun Publisher. Seoul, Korea. pp. 395 (in Korean). 

  18. Lee, K.H. 2003. Soil respiration and microbial biomass i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L.) plantations treated with irrigation and nitrogen fertilization. Journar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92(5): 435-4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im, J.H., Woo, S.Y., Kwon, M.J., Chun, J.H. and Shin, J.H.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nar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95(6): 750-7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1. Climate change, Forests and Humans. Research New book. Seoul, Korea 53: 178-179 (in Korean). 

  21. Oh, H.G. 2015. Population dynamics and IUCN regional red list assessment of endangered plants in Korea.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J.G., Pi, J.H., Park, J.S., Yang, H.H., Lee, C.H., Suh, G.U., and Son, S.W. 2016. Environment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habita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logy 30(5): 896-9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J.S. 2011. Vascular plants of the Eokbulbong Baegunsan in Kwangyang-si. Sunch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p. 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N.W. and Jang, D.H. 2011. Use of space-time autocorrelation information in time-series temperature mapping.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7(4): 432-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ickering, C. 1830.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 274-284. 

  26. Woo, B.M. 1996. 50 year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s, Jeongmin Publishing, Gyeonggi Province, Korea. pp. 386 (in Korean). 

  27. Woodward, F.I. 1987, Stomatal numbers are sensitive to increases in CO 2 from pre-Industries levels, Nature 327: 617-6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