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동적 생활을 위한 걷기증진 공공사업에 관한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Public Program of Walking Promotion for Active Living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6 no.2, 2021년, pp.98 - 108  

김동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강재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걷기와 관련된 공공사업의 현황을 확인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의 법령, 중앙정부부처의 백서, 그리고 우수사례로서 서울시 사업을 고찰하였다. 지역사회 걷기와 관련된 법령에는 물리적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고, 관련 법령을 소관하는 중앙정부부처에서만 걷기를 목적으로 한 다수의 사업을 장기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지역사회 걷기증진을 위한 포괄적인 법적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서울시는 지역사회 걷기와 관련된 유관부서의 개입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부서를 아우르고 연계, 조정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의 개발과 걷기 친숙한 사회문화적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urrent public programs for community walking in Korea and to discuss their challenges. Method: We identified the literature related to community walking including five laws, 22 white papers from government departments and 84 program reports from the Seou...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2. Gauvin L, Riva M, Barnett T, Richard L, Craig CL, Spivock M, et al. Association between neighborhood active living potential and walking. Am J Epidemiol 2008; 167(8):944-953 

  3. Litman, TA. Economic value of walkability. Transp Res Rec 2003; 1828(1):3-11 

  4. Alfonzo M, Guo Z, Lin L, Day K. Walking, obesity and urban design in Chinese neighborhoods. Prev Med 2014; 69:S79-S85 

  5. Robertson R, Robertson A, Jepson R, Maxwell M. Walking for depression or depressive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nt Health Phys Act 2012; 5(1):66-75 

  6. Seetharam K, Yuen, BK. Developing living cities: From analysis to action. Toh Tuck, World Scientific, 2010 

  7. Jones DK, Evenson KR, Rodriguez DA, Aytur SA. Addressing pedestrian safety: A content analysis of pedestrian master plans in North Carolina. Traffic Inj Prev 2010;11(1):57-65 

  8. Litman T, Blair R, Demopoulos B, Eddy N, Fritzel A, Laidlaw D, et al. Pedestrian and bicycle planning. Victoria, British Columbia,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 2004 

  9. Pedestrian safety and convenience enhancement ac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cited 2021 May 18]. Available from: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45750&langENG 

  10. Kim JR, Jeong B, Park KS, Kang YS. Applications of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in health promotion.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1; 36(2):130-142 (Korean) 

  11. Introduction to Activities [Internet]. Seoul: Urban action network for a walkable city; [cited 2021 May 18]. Available from: http://www.dosi.or.kr/ 

  12. Lee MH, Song HS, Jang MY, Cho MJ, Choi MS. Planning process and organization of the healthy city in New York city: Focusing on the active design guidelines. JKPA 2014; 49(4):17-36 (Korean) 

  13. Kang J. Cooperation and structure of community organizations to promote walking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 (Korean)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6.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15. Yoo S. Built environment as a place for daily living and an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7;44(1):81-104 (Korean) 

  1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ternet]. Trends in prevalence of walking by city and county [cited 2021 June 20]. Available from: https://chs.kdca.go.kr/chs/recsRoom/ctprvnResultMain.do# 

  17. Lee SH, Jung SM. Policy effects and future directions for 'Pedestrian-friendly city,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2020 (Korean) 

  18. Dunton GF, Cousineau M, Reynolds KD. The intersection of public policy and health behavior theory in the physical activity arena. J Phys Act Health 2010;7(s1):S91-S98 

  19. Cho J.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KSME 2019;21(2):11-19 (Korean) 

  20. Song J, Koh KW, Kim H. The physical activity sector of Korean National Health Plan: Changes in four previous health plans and future direction.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20; 37(1):45-56 (Korean)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