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변형 면화 MON757, MON88702, COT67B, GHB811의 동시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simultaneous detection method for living modified cotton varieties MON757, MON88702, COT67B, and GHB811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9 no.4, 2021년, pp.415 - 422  

김일룡 (국립생태원 생태안전연구실) ,  설민아 (국립생태원 생태안전연구실) ,  윤아미 (국립생태원 생태안전연구실) ,  이중로 (국립생태원 생태안전연구실) ,  최원균 (국립생태원 생태안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면화는 중요한 섬유 작물로 종자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 작물 생명공학은 농업 분야에서 농업적 형질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어져 왔다. 국내 식품, 사료, 가공 제품에 유전자변형(LM) 면화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으로의 LM 면화의 비의도적 유출 또한 증가하고 있다. LMO 모니터링 사업에서 수집된 LM 면화를 검정하기 위하여 국내 수입 승인된 LM 면화의 검출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M 면화 MON757, MON88792, COT67B, GHB811 4종을 대상으로 동시검출법을 개발하였다. 이벤트에 대한 유전 정보는 유럽 JRC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보하였다. LM 면화의 동시검출법 개발을 위해 이벤트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설계하였으며 특이적인 증폭을 확인하였다. 특이도 검정, 무작위 표준물질 혼합물 분석, 검출한계 분석을 통하여 동시검출법의 정확도와 특이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동시검출법은 각각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LM 표준물질을 활용하여 특이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무작위 표준물질 조합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검출한계 분석에서는 25 ng의 미량의 주형 DNA로 단회 분석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4종의 LM 면화 동시검출법을 개발하였으며 LM 면화 자생체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tton is an important fiber crop, and its seeds are used as feed for dairy cattle. Crop biotechnology has been used to improve agronomic traits and quality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he frequent unintentional release of LM cotton into the environment in South Korea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주제어

참고문헌 (23)

  1.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2021. Quarantine Agency?Notic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Gimcheon,?Korea. Available from: http://www.qia.go.kr/bbs/lawAnn/viewLawWebAction.do?id183929&type0 (accessed on 1?September 2021). 

  2. Akbar W, RS Brown, WC Burns, TL Clark, A Gowda, A Pan,?X Shi, JW Stelzer and K Wu. 2017. U.S. Patent No. US?2017/0166922 A1.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Washington, DC. 

  3. Ali ME, MA Razaak and SB Abd Hamid. 2014. Multiplex PCR in?species authentication: Probability and Prospects - a review.?Food Anal. Methods 7:1933-1949. 

  4. Brownie J, S Shawcross and J Theaker. 1997. The elimination?of primer-dimer accumulation in PCR. Nucleic Acids Res.?25:3235-3241. 

  5. Cervantes FA, EA Backus, L Godfrey, MG Rojas, W Akbar and TL?Clark. 2019. Quantitative differences in feeding behavior of?Lygus lineolaris (Hemiptera: Miridae) o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cotton. J. Econ. Entomol. 112:1920-1925. 

  6. Choi W, IR Kim, HS Lim and JR Lee. 2020. A multiplex PCR?method for the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analysis of feral alfalfa in South Korea.?PNIE 1:83-89. 

  7. Eum SJ, IR Kim, HS Lim, JR Lee and W Choi. 2019. Eventspecific multiplex PCR method for four genetically modified cotton?varieties, and its application. Appl. Biol. Chem. 62:52. 

  8. Huseth AS, DA D'Ambrosio and GG Kennydy. 2020. Understanding the potential impact of continued seed treatment use?for resistance management in Cry51Aa2.834_16 Bt cotton?against Frankliniella fusca. PLoS One 15:e0239910. 

  9. ISAAA. 2019.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Crops in 2019: Biotech Crops Drive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Sustainable Environment in the New Frontier.?ISAAA Brief No. 55.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of Agri-biotech Applications. Ithaca, NY. 

  10. Jansens S, R Dreesen, W Aartsen, J Vanhaelen, H Moser and G?Light. 2017. U.S. Patent No. WO2017182420A1. U.S. Patent?and Trademark Office. Washington, DC. 

  11. Jo BH, MA Seol, SY Shin, IR Kim, W Choi, SJ Eum, HR Song?and JR Lee. 2016. Multiplex PCR method for environmental?monitoring of approved LM cotton events in Korea. J. Plant?Biotechnol. 43:91-98. 

  12. JRC. 2021. European Union Reference Laboratory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eed. European Commission, Joint?Research Centre. Brussels, Belgium. Available from: http://gmo-crl.jrc.ec.europa.eu(accessed on 1 September 2021). 

  13. KBCH. 2021. KBCH Trend Report. Korea Biosafety Clearing?House. Available from: http://biosafety.or.kr/ (accessed on 1?September 2021). 

  14. Kim DW, IR Kim, HS Lim, W Choi and JR Lee. 2019. Development of a multiplex PCR assay to monitor living modified?cottons in South Korea. Appl. Sci. 9:2688. 

  15. Kim IR, HS Lim, W Choi, DI Kang, SY Lee and JR Lee. 2020.?Monitoring living modified canola using an efficient multiplex?PCR assay in natural environments in South Korea. Appl. Sci.?10:7721. 

  16. Kim YJ, S Kloos, J Romeis and M Meissle. 2021. Effects of?mCry51Aa2-producing cotton on the non-target spider mite?Tetranychus urticae and the predatory bug Orius majusculus.?J. Pest Sci. 94:351-362. 

  17. Markoulatos P, N Siafakas and M Moncany. 2002. Multiplex?polymerase chain reaction: A practical approach. J. Clin. Lab.?Anal. 16:47-51. 

  18. NIE. 2019. Establishment of Detection Method for LMO.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19. NIE. 2020a. Establishment of Detection Method for LMO.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20. NIE. 2020b. Study o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Post-management of LMO.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Korea. 

  21. Park JH, MA Seol, SJ Eum, IR Kim, HS Lim, JR Lee and W?Choi. 2020. Development of a multiplex PCR method for?identification of four genetically modified maize lines and its?application in living modified organism identification. J. Plant?Biotechnol. 47:309-315. 

  22. Shin SY, HS Lim, MA Seol, YJ Jung, IR Kim, HR Song, JR Lee?and W Choi. 2016. Four multiplex PCR sets of 11 LM Maize?for LMO environmental monitoring in Korea. J. Plant Biotechnol. 43:473-478. 

  23. Wu Y, J Li, X Li, S Zhai, H Gao and Y Li. 2019. Development and?strategy of reference materials for the DNA-based detection?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al. Bioanal. Chem.?411:1729-1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