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방동시통합작전 구현을 위한 종심작전 효과분석 연구
A study on Deep Operations Effect Analysis for Realization of Simultaneous Offense-Defence Integrated Opera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6, 2021년, pp.116 - 126  

조정근 (국립공주대학교 군사과학정보학과) ,  유병주 (지상작전사령부) ,  한도헌 (지상작전사령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상작전사령부는 지상작전수행개념인 "결정적 통합작전" 구현을 위해 작전계획 및 작전수행체계 발전을 지속해서 추진하였고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전쟁 초기부터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실시하여 종심지역의 적을 무력화시켜 아군에게 유리한 여건을 조기에 조성하기 위한 "공방동시통합작전"을 중점적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기존의 M&S 체계만으로는 종심작전 효과분석이 제한되어 지휘관에게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이 불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장관리체계에서 사용 가능한 종심작전 효과분석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종심작전 수행 구성요소인 감시, 물리적타격, 비물리적타격 효과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하여 각각의 특징 및 제한사항을 고찰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전·평시 지구사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이 반영된 종심작전 효과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전투실험 및 자료수집 등을 통해 분야별 입력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종심작전효과예측모델 (DECAM)을 구현하고 지구사 및 군단 전투참모단에 배포하여 연합연습 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분석 방법론 및 개발된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구사 및 군단의 종심작전 수행능력 발전에 기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 Component Command (GCC) has been developing operational planning and execution systems to implement "Decisive Integrated Operations", which is the concept of ground operations execution, and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particular, "Simultaneous Offense-Defense Integrated Operations" is de...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11)

  1. Kim, K. Y. "[2020 Government Inspection] ROKA excute Defense - Counterattack Simultanously..., 'ROKA established Simultaneous Offense - Defence Integrated Operations' concept", www.edaily.co.kr OCT. 2020. 

  2. Lee W. Y., "An Optimization Model of Surveillance - Reconnaissance Plannig for Ground Targets" Journal of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pp. 3~17, DEC. 2018. DOI: https://dx.doi.org/10.30529/amsok.2018.16.6.001 

  3. Min H. K., An Analysis for Measure of Effective- nes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Simulation, Master thesis,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28-32, 2012. 

  4. Jung Y. H., "A Study on the working effect of UAV hitting mine artille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 17, No. 4, pp. 175-182, DEC. 2008. 

  5. Lim J. W. and Lee T. E., "Modeling and Analysis for Efficient Joint Combat Fire Operation of Army Artillery and Army Avi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 23, No. 2, pp. 47-55, JUN. 2014. DOI: http://dx.doi.org/10.9709/JKSS.2014.23.2.047 

  6. Kim C. Y and etc. Thesis and Application of Military OR, DooNam, KOR, pp. 122-123, 2005. 

  7. Lee J. M. and Han H. J. "The methodology for estimation munitions effectiveness of demestic developed weapon systems",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Vol 44, NO.2, pp. 21-31, DEC. 2018. 

  8. Kim H. Y., "A Study on a Combination Model Develop- ment for Counterfire Operation with Heterogeneous Weapon System",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53, NO.2, pp. 221-224., FEB. 2016 DOI: http://dx.doi.org/10.5573/ieie.2016.53.2.062 

  9. Steven C. B.,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Usind Simulation to Assess the Combat of Intelligence and Electronic Warfare", The Rand Corporation, USA, pp. 3-4, 1992. 

  10. Y. B. and Lee J. Y., "A Proposal of New MOE to Assess the Combat Power Synergistic Effect of Warfare Information System", IE Interfaces Vol. 22, No. 3, pp. 205-213, SEP. 2009. 

  11.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ELECTRONIC WARFARE TECHNIQUES", ATP 3-12.3, USA, pp. 1-1~3,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