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축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National Parks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8 no.2, 2021년, pp.97 - 111  

김정은 (국립공원연구원 생태조사부) ,  노백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이정윤 (생태공간정보연구소) ,  조형진 (에코앤지오) ,  진승남 (에코앤지오) ,  최진우 (환경생태연구재단) ,  명현호 (국립공원연구원 식물보전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종과 서식지 간의 관계를 공간적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 생물종의 생태적 특성, 공간 유형, 식생군락, 지형 및 지질 조건을 기준으로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개발하고 서식지 분류 지도를 제작하였다. 서식지 유형의 체계적 분류 및 판정을 위해 분류기준표를 제작하였다. 분류 체계는 구조적 서식지를 중심으로 6개 대분류로 구분하였으며, 중분류는 59개의 생태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산림생태계는 20개, 하천 및 습지생태계는 8개, 해안생태계는 16개, 농경지는 6개, 개발지는 9개, 해양생태계는 1개로 분류하였다. 서식지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정사영상, 정밀식생도, 임상도를 활용하여 서식지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다. 서식지 분류 지도는 21개 국립공원에 대해 1,461개 도엽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서식지 조건을 고려한 서식지 분류 체계 고도화와 조사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서식지 평가에 적용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ap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spatial type, vegetation, topography, and geological conditions preferred by speci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nd their habitats in Korean na...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0)

  1. Bossard, M., Feranec, J., and Otahel, J. 2000. CORINE land cover technical guide: Addendum 2000. (in English) 

  2. Bruelheide, H., Jansen, F., Jandt, U., Bernhardt-Romermann, M., Bonn, A., Bowler, D., Dengler, J., Eichenberg, D., Grescho, V., Harter, D., and Jugelt, M.. 2020. Using incomplete floristic monitoring data from habitat mapping programmes to detect species trend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26(7): 782-794. (in English) 

  3. Cooper, K.M., Bolam, S.G., Downie, A.L., and Barry, J. 2019. Biolgocial-based habitat classification approaches promote cost-efficient monitoring: An example using seabed assemblag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56(5): 1085-1098. (in English) 

  4. Choi, T.Y., Kwon, H.S., Woo, D.G., and Park, C.H. 2012.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322-332. (in Korean) 

  5. Davies, C.E., Moss, D., and Hill, M.O. 2004. EUNIS habitat classification revised 2004. Report to: European Agency-European Topic Centre on Nature Protection and Biodiversity. pp. 127-143. (in English) 

  6. Dennis, R.L., Shreeve, T.G., and Van Dyck, H. 2006. Habitats and resources: the need for a resource-based definition to conserve butterflies. Biodiversity & Conservation. 15: 1943-1966. (in English) 

  7. Romao, C. 1996. Interpretation manual of European Union habitats. (in English) 

  8. JNCC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2010. Hand-book for phase 1 habitat survey: A technique for environmental audit. pp. 1-80. (in English) 

  9. KE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8. Study of on building of strategy of ecological network in east-north Asia. pp. 163. (in Korean) 

  10. Keith, D.A., Rodriguez, J.P., Rodriguez-Clark, K.M., Nicholson, E., Aapala, K., Alonso, A., Asmussen, M., Bachman, S., Basset, A., Barrow, E.G., and Benson, J.S. 2013. Scientific foundations for an IUCN Red List of Ecosystems. PLOS one 8(5): 62111. (in English) 

  11. Kim, A.R., Lee, J.M., and Jang, G.S. 2017. Mode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oe Deer (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4): 139-151. 

  12. KLIC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16. Natural Parks Act. Act No. 14228. (in Korean) 

  13. MOE and NI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Biotope maps guideline. (in Korean) 

  1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A study on the reform tasks for the efficient direction of land cover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n) 

  15.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Standardization and activation of biotope map production. (in Korean) 

  16. Moss, D. and Wyatt, B.K., 1994. The CORINE biotopes project: a database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wildlife in the European community. Applied Geography 14(4): 327-349. (in English) 

  17. Odum, E.P. 1971. Fundamental of ecology. 3rd Edition, W.B. Saunders, Philadelphia. (in English) 

  18. Oh, J.G., Won, H.J., and H.H. Myeong. 2016. A study on the method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9(2): 147-152. (in Korean) 

  19. Paek, W.K., Lee, H.S., Kim, I.K., Han, S.W., Lee, S.W., Song, M.J., and Lee, J.W. 2003. Study of avifauna and habitat preference and management from Manbokdae to Siribong in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4): 409-420. (in Korean) 

  20. Van Dyck, H. 2012. Changing organisms in rapidly changing anthropogenic landscapes: the significance of the 'Umwelt'-concept and functional habitat for animal conservation. Evolutionary Applications 5(2012): 144-153 (in English)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