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 선택요인이 제품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selective factors of collaboration fashion products on product preferences and behavioral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3 no.2, 2021년, pp.53 - 65  

김유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of behavioral intention in the fashion industry, until recently, focused on the variables of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purchase, and were limited to specific individuals who were fashion consumers. It was found that variables of intention of recommendation have a greater impact on ...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강지영, 정성지, 김동건. (2019).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1(4), 139-152. 

  2.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4(1), 59-80. 

  3. 김선영. (2014). Marc Jacobs 패션 콜래보레이션의 가치 탐색. 복식문화연구, 22(3), 383-398. 

  4. 김정매, 강양선. (2020). 커피전문점에 관한 점포이미지가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경기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6(2), 233-247. 

  5. 김현정, 박혜원. (2020). 럭셔리 브랜드 루이 비통(Louis Vuitton)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특징과 의미 - 2000년 이후 가방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24(2), 100-118. 

  6. 박유리, 조경숙. (2014). 패션산업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최신 경향 연구 : 2012-2013년 사례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8(2), 95-112. 

  7. 손종원, 나승화. (2013). 백화점 이용고객의 명품브랜드 선호도 유형에 따른 구매행태 분석. 유통과학연구, 11(10), 5-15. 

  8. 신원혜. (2005). 패션브랜드 유형과 상품 속성, 브랜드인지 및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효진, 김칠순, 김유영, 김태은, 배연진, 손졸, 양희순. (2012).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태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567-577. 

  10. 왕붕교, 이미숙. (2019). 중국 20-30대 여성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류제품의 인터넷 쇼핑 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1(3), 37-53. 

  11. 유혜진. (2013). TV홈쇼핑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의 특성 인식이 제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미숙, 한혜련. (2014). 패션 판매공간의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선호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글로벌 SPA브랜드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3(4), 120-128. 

  13. 이은옥. (2013). H&M 콜라보레이션에 참여한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자체 제품과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활용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연구. 복식문화연구, 21(1), 93-116. doi.org/10.7741/rjcc.2013.21.1.093. 

  14. 이희승, 김지영. (2014). 의 영화의상과 콜라보레이션 연구. 패션비즈니스, 18(4), 80-96. 

  15. 정영남. (2016). 상징성 및 기능성 브랜드이미지가 골프클럽의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3), 233-244. 

  16. 조원섭, 김판영. (2013).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5(4), 189-206. 

  17. 최영현, 이규혜. (2020). 「겨울왕국2」의 콜라보레이션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 리뷰-의미 네트워크와 감성 분석. 복식문화연구, 28(2), 265-284. 

  18. Argenti, P. A., & Druckenmiller, B. (2004). Reputation and the corporate brand. Corporate Reputation Review, 6(4), 368-374. 

  19. Boulding, W., Kalra, A., Staelin, R., & Zeithaml, V. A.(1993).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1), 7-27. 

  20. Lennon, S. J., Sanik, M. M., & Stanforth, N. F. (2003). Motivations for television shopping: Clothing purchase frequenc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1(2), 63-74. 

  21. Richard, J. H. & Fishbein, M. & Ajzen, I. (1977).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Contemporary Sociology, 6(2), 244-245. 

  22. Yoo, B. H., Donthu, N., & Lee, S. H. (2000). An examination of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 and brand equity.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2), 195-2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