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individual SPA brand and luxury brand on awareness, preferences and buying intention for collaboration item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1 no.4, 2019년, pp.139 - 152  

강지영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  정성지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김동건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of collaboration products created by SPA and luxury brands using specific examples of collaborations, which are now becoming prevelent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 dist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몇몇 브랜드들은 콜라보레이션을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명확히하고 인지도를 확장하는 기회로 영리하게 사용하고 있다(삼성디자인넷, 2019). 그러므로 본 연구는 패션브랜드들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브랜드들의 인지도,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전, 후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협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이후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콜라보레이션 후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표본에 제시되는 브랜드가 중요하다.
  • 본 연구는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인지도, 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이후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콜라보레이션 후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를 통하여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이 중요하게 이슈가 되는만큼 패션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브랜드에게 마케팅전략적인 관점에서 올바른 협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갖고자 한다.
  • 3) 콜라보레이션 제품 : 두 개의 브랜드의 결합으로 탄생한 작업을 일컫는 말로 콜라보레이션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제품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들과의 혼돈을 막고자 브랜드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콜라보레이션 제품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H&M과 베르사체(VERSACE)가 콜라보레이션한Versace for H&M, UNIQLO와 질샌더(JILSANDER)거 콜라보레이션한 +J로 지칭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패션브랜드들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브랜드들의 인지도,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전, 후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협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이후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콜라보레이션 후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를 통하여 패션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브랜드에게 마케팅 전략적인 관점에서 올바른 협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을 갖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인지도, 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이후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콜라보레이션 후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를 통하여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이 중요하게 이슈가 되는만큼 패션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브랜드에게 마케팅전략적인 관점에서 올바른 협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갖고자 한다.
  • 이를 위해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이후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콜라보레이션 후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를 통하여 패션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브랜드에게 마케팅 전략적인 관점에서 올바른 협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을 갖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 인지도가 두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 선호도가 두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제품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 및 선호도는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 인지도 및 선호도가 두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 및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 및 선호도는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여 가설을 설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란 무엇인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은 사전적으로 공동작업, 협력, 합작이라는 뜻으로, 한 브랜드가 다른 브랜드와 일하는 것의 협업을 뜻하며 ‘모두 일하는’, ‘협력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콜라보레이션은 전략적 제휴의 개념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가 서로의 경쟁력과 핵심역량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서로간의 경쟁력을 결합하여 시너지를 발휘하는 것으로 공동마케팅(Co-Marketing)보다는 제품 개발, 생산, 마케팅등 전 제품단계에 있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협력한다는 의미로 결합도가 더 강화된 끈끈한 관계를 요구 하는 것이다.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이 공동마케팅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것이다(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서로간의 경쟁력을 결합하여 시너지를 발휘하는 것으로 공동마케팅(Co-Marketing)보다는 제품 개발, 생산, 마케팅등 전 제품단계에 있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협력한다는 의미로 결합도가 더 강화된 끈끈한 관계를 요구 하는 것이다.
패션분야에서 콜라보레이션을 처음으로 시도한 사람은 누구인가? 패션분야에서의 콜라보레이션을 처음으로 시도한 사람은 샤넬(Gabrielle Chanel, 1883-1971)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작업은 1900년대 예술인들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된 오페라 무대의상 제작과 같은 예술과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시대에 대중적으로 주목받는 분야를 중심으로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마케팅과학연구학회지. 14, 59-80. 

  2. 김곡미. (2014). Collaboration을 이용한 상품디자인의 가치 증가에 관한 연구, 한국, 상품문화디자인학회논문집, 37, 13-28. 

  3. 김보연. (2012).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 전략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서연. (2013). 패션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이 여대생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관리연구학회지, 6(1), 51-74 

  5. 김영민. (2014).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동 브랜드의 결합 형태에 따른 지각된 품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정구. (1998). 브랜드 개성을 통한 광고전략 연구. 광고학연구학회지, 9(1), 37-52. 

  7. 김정구, 안용현. (2000). 브랜드개성의 FCB 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학 연구학회지, 11(4). 65-85. 

  8. 김지선. (2005).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브랜드 협력(Collabolation) 전략의 소비자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컬래버레이션. (n.d.). 시사상식사전.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1013&cid43667&categoryId43667 

  10. 박유리, 조경숙. (2014). 패션산업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최신 경향 연구: 2012-2013년 사례를 중심으로. 패션 비즈니스 학회지, 18(2), 95-112. 

  11. 박진경. (2011). 쇼핑성향, 인지도와 콜레보레이션 특성 인식이 상품유형별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혜나. (2011). 명품 브랜드 요소와 명품선호도 결정요인: 해외패션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지, 29(2), 13-28. 

  13. 안광호, 김동훈, 유창조. (2001). 촉진관리-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접근(1판). 서울: 학현사. 

  14. 안광호, 한상만, 전상률. (1999). 전략적 브랜드 관리(1판). 서울: 학현사. 

  15.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2010). 패션마케팅(3판). 서울: 수학사. 

  16. 안지은. (2014).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극대화의 디자인 마케팅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유미혜. (2008).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이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유혜진. (2013). TV홈쇼핑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의 특성인식이 제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윤은정. (2004).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 및 제품특성에 따른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 거주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윤지영, 전호경. (2009). 의류시장에서 제휴제품에 대한 사전지식, 파트너 브랜드의 부정적 정보와 시장 지위가 제휴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4), 519-530. 

  21. 이미숙, 한혜련. (2014). 패션 판매공간의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선호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 글로벌 SPA브랜드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3(4), 120-128. 

  22. 이상민. (2002). 기업광고의 호감도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미치는 효과. 경영 연구학회지, 4, 162-183. 

  23. 이유재, 라선아. (2002). 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자산 모형. 마케팅 연구학회지, 17(3), 1-32. 

  24. 이현주. (2008). 브랜드 편익과 보완성에 따른 패션산업의 브랜드간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에 대한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성환. (2011). 음료 패키지를 통한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영향 연구 -코카콜라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전향희. (2003). 소비자의 쇼핑가치,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판촉유형이 다발가격매김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전현배. (2002). 전략적 제휴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연구학회지. 25(1), 173-191. 

  28. 정두영. (2005).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여성 의류브랜드 유형과 소비자 특성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정민수. (2002).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충성도가 브랜드확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주영진. (2013).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신뢰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지식경제 용어사전. 지식경제부. 자료검색일 2015. 3. 31,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skbeom/ 

  32. 채영지. (2004). 브랜드 성격과 광고 모델 이미지의 일치성이 광고 선호도, 브랜드 선호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최유진. (2010). 남녀 명품소비자의 과시소비 성향과 유행선도력이 명품추구 혜택 및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현민. (2002). 스포츠 제품 구매시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한상미. (2010). 패션브랜드와 아티스트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콜레보레이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홍원표. (2005). 패션기업의 콜레보레이션 특성에 따른 성과 및 만족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Aaker, Davi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 New York: The Free Press. 

  38. Aaker, David A. (2005). Man aging brand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39. Chang and Wildt. (1994).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king Science, 22(1), 16-27. 

  40. Devlin and Bleakley. (1988). Strategic Alliances Guidelines for success, Long Range Planning, 21(5), 18-23. 

  41. Engel, Blackwell, & Miniard. (2005). Consumer behavior. Cincinnati: South-Western College Pub. 

  42. Fashion collaboration marketing now.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9. 8.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library.dongduk.ac.kr:8010/Fashion/Report 

  43. Fournier, Susan. (1998).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343-373. 

  44. Grossman, Gene M. & Carl Shapiro.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1), 59-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