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excavated arrow bundle and its conservation treatment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5, 2021년, pp.9 - 26  

이병훈 (강원도문화재연구소) ,  최보배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  허일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 청동기 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화살다발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과정을 서술하였다. 화살은 화살촉과 화살대 부분으로 이루어진 유물이며, 화살대는 유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살대가 화살촉과 함께 완형으로 발굴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특히 정선 아우라지 화살다발은 무경식석촉과 탄화된 화살대가 결구된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으며, 나무의 끝을 갈라 화살촉에 끼워 넣는 방식이 확인된 중요한 사례이다. 정선 아우라지 화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 조사, 화살대 수종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촉의 마연흔을 통해 가공순서 및 방향, 도구의 입자 크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화살대 수종분석 결과 3년생 버드나무속(Salix spp.) 어린가지로 추정되었다. 현장에서의 경화처리 과정 중 경화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방수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약품을 사용하였고, 응급수습방법으로 'Bridge'법을 사용하였다. 보존처리실로 이관한 후 바닥면 작업을 위해 유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보강재를 선정하는데 신중히 하였다. 보강재로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으며, 물성이 우수한 인조점토를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물 접합 및 정리 작업 후 바닥면을 에폭시수지로 마무리 한 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production methods that were originally used for an arrow bundle excavated from a Bronze Age residential area in Auraji in Jeongseon, Gangwon-do Province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 that it subsequently underwent. An arrow conventionally consists of an arrowhead a...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28)

  1. 강원문화재연구소, 정선 아우라지 유적II,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2019).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창녕군, 창녕 송현동 고분군I-6.7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p12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원, (2012). 

  3. 국립중앙박물관편집부, 창원 茶戶里강, 1-7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p73, 국립중앙박물관, 서울,(2012). 

  4. 김권중 외, 泉田里, 강원문화재연구소학술총서 80,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2008). 

  5. 박상진 외,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6.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구조, 정민사, 파주, (1994). 

  7. 정성호 외, 한국산 유용수종의 목재성질,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2008). 

  8. 황창한, 무문토기시대 마제석촉 제작방법 연구, 호남고고학보 20, p38-39, 42-43, (2004). 

  9.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東京 高桐書院, (1948). 

  10. 황기덕, 조선에서 나타난 활촉의 기본 형태와 그 분포, 문화유산, (1958). 

  11. 中村大介, 無文土器時代前期における石鏃の變遷, 待兼山考古學論集, 都出比退志先生退任記念, 大阪: 大阪大學考古學硏究室, (2015). 

  12. 황창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야외고고학 13, p5-24, (2012). 

  13.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 http://blog.daum.net/plascamp/20 

  14. Shawn Woods, How to make an Ancient Mesolithic style arrow for Primitive Archery Hunting, https://youtu.be/NhRbGG_0kzc, (2016). 

  15. 손병화 외, 정선 아우라지유적 출토 화살대의 수종분석,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설 목재연륜소재은행 연구보고서, 청주, (2016). 

  16. 박원규 외, 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분석, 보존과학회지 8(1), p19-22, (1999). 

  17. 박상진 외, 출토고목재의 수종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I, 보존과학회지 2(2), p3-14, (1993). 

  18. 김준태 외, 우리나라 전통 숯의 물리화학적 특성, 대한위생학회지 20(4), p77-86, (2006). 

  19. 오영선 외, 숯에 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9(1), p461-467, (2000). 

  20.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7). 

  21. 정선군청, http://www.ariaritour.com/hb/tour/sub08, (2016). 

  22. 기상자료개방포털, https://data.kma.go.kr/stcs/grnd/grndRnList.do?pgmNo69, (2016). 

  23. Rohm & Hass, Coatings-Paraloid, R&H, (1998). 

  24. 정수연, 연질토기의 강화처리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p7-14, (2008). 

  25.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4%B8%ED%86%A4 

  26.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A0%8C 

  27. 위광철, 발굴현장에서의 유물수습, 보존과학기초연수, (2005). 

  28. 등록특허공보 제 10-1103849, 공작용 클레이의 제조방법 및 그 클레이,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