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기본소득제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Guarantee for Rural Resident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8 no.2, 2021년, pp.69 - 83  

박경철 (충남연구원 사회통합연구실) ,  한승석 (충남연구원 지역도시문화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premise of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study raised criticism that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in South Korea, which had been promoted in earnest aft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adversely deepened the development gap between urban and ...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44)

  1. 가이 스탠딩. (2017). 일과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본소득. 안효상 옮김. 고양: 창비. 

  2. 강남훈. (2014). 모두에게 존엄과 자유를: 우리 앞에 다가오고 있는 '기본소득'. 계간 민주, 10, 136-157. 

  3. 강남훈. (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 고양: 박종철출판사. 

  4. 강남훈, 안효상, 권정임, 곽노완, & 박이은상. (2014).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고양: 박종철출판사. 

  5. 곽노안. (2014).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녹색평론, 134(1/2), 43-58. 

  6. 김교성. (2009).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36(2), 33-57. 

  7. 김은경. (2007).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여성경제연구, 4(2), 133-153. 

  8. 김성훈. (2015.1.8.). 농가에 기본소득을!. 프레시안. 

  9. 김현호. (2007). 국가균형발전정책의 개관. 월간 자치발전, 8, 16-24. 

  10. 다니엘 라벤토스. (2016).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이한주.이재명 옮김. 서울: 책담. 

  11.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2018). 문재인정부 국가균형발전 비전과 전략. 정부간행물. 

  12. 모성은. (2009).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효율적 추진 방안. 월간 자치발전, 5, 17-23. 

  13. 박경철. (2013). 충남형 기본소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 충남발전연구원 정책포커스, 38, 1-7. 

  14. 박경철. (2015). 충남형 농촌주민 기본소득제 도입 방안 연구. 충남연구원 전략과제. 

  15. 박경철. (2016). 농민기본소득제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남도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3(1), 73-82. 

  16. 박경철, 강마야, & 한승석. (2019). 충남 농민기본소득보장제 도입방안 연구. 충남도의회. 

  17. 배준구. (2008).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평가와 과제. 월간 자치발전, 1월호, 17-23. 

  18. 성경륭. (2005). 균형발전이 미래이다. 열린충남, 가을호, 2-3. 

  19. 오준호. (2017).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고양: 개마고원. 

  20. 이명현, & 강대선. (2011). 한국에서의 기본소득도입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AHP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정책, 38(2), 39-64. 

  21. 이원재, 윤형중, 이상민, & 이승주. (2019). 국민기본소득제: 2021년부터 재정적으로 실현 가능한 모델 제안. LAB2050. 

  22. 이종용. (2008). 국가균형발전 정책 추진의 평가와 과제. 지리학연구, 42(1), 91-101. 

  23. 이호영. (2006).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한계와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의 모색. 경제연구, 4(3). 167-195. 

  24. 임준홍. (2013). 새정부의 '국민대통합을 위한 지역균형 발전' 정책에 대한 제안. 열린충남, 봄호, 7-11. 

  25. 정기석. (2014). 공익농민 월급형 기본소득제 실행모델 개발: 제도의 필요성 및 타당성 연구를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 (미간행). 

  26. 정기석. (2018). 농민에게 기본소득을. 서울: 삶창 

  27. 정철모. (2005).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낙후지역개발 및 지역혁신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0(2), 173-186. 

  28. 윤정미, 유학열, 박경철, 조영재, & 이도경. (2017). 서천군 한계마을 실태분석 및 유형별 정책 대응 방안. 서천군. 

  29. 차재권. (2017). 역대정부 균형발전정책의 성과 평가: 박정희정부에서 박근혜 정부까지. 사회과학연구, 25(2), 130-174. 

  30. 최광온. (2010).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21세기 지구를 뒤흔들 희망 프로젝트. 고양: 박종철출판사. 

  31. 필리프 판 파레이스, & 야니크 판데르보흐트. (2018).21세기 기본소득. 홍기빈 옮김. 서울: 흐름출판. 

  32. 하승수. (2015).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대구: 한티재. 

  33. Casassa, J. H. (2007). Basic income and the republican ideal: Rethinking material inde-pendence in contemporary societies. Basic Income Studies, 2(2), 1-7. https://doi.org/10.2202/1932-0183.1081 

  34. Casassa, J. H. (2016). Economic sovereignty as the democratization of work: The role of basic income. Basic Income Studies, 11(1), 1-15. https://doi.org/10.1515/bis-2016-0007 

  35. Forget, E. (2011). The town with no poverty: The health effects of a Canadian guaranteed annual income field experiment. Canadian Public Policy, 37(3), 283-305. https://doi.org/10.3138/cpp.37.3.283 

  36. Kangas, O., Jauhiainen, O., Miska Simanainen, M., & Ylikanno, M. (2019) The basic income experiment 2017-2018 in Finland. Helsinki, Finland: Preliminary results,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37. King, J. E., & Marangos, J. (2006). Two for basic income: Thomas Paine(1737-1809) and Thomas Spence (1750-1814). History of Economic Ideas, 14(1), 55-71. https://doi.org/10.1108/03068290810861576 

  38. Meade, J. E. (1991). Basic income in the new Europe. BIRG Bulletin, 13, 4-6. 

  39. O'Donoghue, C., & Howley, P. (2012). The single farm pa yment: A ba sic income for Fa rmers? Basic Income Studies, 7(1), 1-23. https://doi.org/10.1515/1932-0183.1196 

  40. Osterka mp, R. (2013). The ba sic income gra nt pilot project in Namibia: A critial assessment. Basic Income Studies, 8(1), 71-81. https://doi.org/10.1515/bis-2012-0007 

  41. Paine, T. (1797). Agrarian justice (Digital ed.). Retrieved from www.grundskyld.dk 

  42. Revenu De Base Agrucole. (2017). Considering basic income through the lense of agriclture: An innovative food policy measure to support fairer and more sustainable food systems. Research Paper 17th BIEN Cingrass 2017. Unconditional basic income Europe. 

  43. Standing, G. (2013). Unconditional basic income: Two pilots in Madhya Pradesh. A background note prepared for the Delhi Conference, May 30-31, 2013. 

  44. van Parijs, P. (2020). Basic income: Finland's final verdict. Retrieved May 7, 2020, from http://www.socialeurope.eu/basic-income-positive-results-from-finland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